설날 명절 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상차림
설날 명절 제사 지내는 순서와 제사상 차림, 한 번에 정리
설날은 음력 정월 초하루, 한 해의 시작을 알리는 가장 큰 명절입니다. 옛 문헌에서는 원일(元日), 원단(元旦), 원정(元正), 원신(元新), 원조(元朝), 정조(正朝), 세수(歲首), 세초(歲初), 연두(年頭), 연수(年首), 연시(年始) 등 다양한 이름으로도 불렸는데, 모두 한 해의 첫날을 뜻한다는 점에서 같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묵은해를 보내고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날인 만큼 사람들은 새 옷을 차려입고 마음을 다잡으며 가족과 함께 조상을 기리고, 서로의 건강과 복을 빌었습니다.
설이라는 말에는 “아직 익숙하지 않은 날, 새해에 대한 낯섦”이라는 느낌이 담겨 있습니다. 한 해를 처음 시작하는 날이라 마음가짐을 조심스럽게 하자는 의미에서 신일(愼日)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그만큼 말과 행동을 삼가고 서로에게 복된 말을 나누는 날이었죠.
설날에 대한 기록은 신라시대부터 찾아볼 수 있고, 고려시대에는 9대 명절 중 하나로, 조선시대에는 한식,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자리 잡았습니다. 시대는 많이 바뀌었지만, 설날 아침에 가족이 모여 조상께 차례를 올리고 떡국을 나누는 장면은 여전히 많은 집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설날 및 추석 지역별 제사상차림 및 차례 지내는 순서 - 노랗 잡동산 - 세금 부동산 절세
서울 및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제주도 등 각 지역의 문화와 특색이 반영된 제사상과 차례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다양한 지역별 제사상과 차례상의
yellow-realeatate.co.kr
설날 아침 풍경과 떡국, 그리고 세배
설날 아침이 밝으면 가장 먼저 설빔으로 갈아입고 집안의 웃어른께 세배를 합니다. 그다음 조상님께 차례를 올리고, 차례가 끝난 뒤에는 친척과 가까운 이웃 어른들께도 찾아뵙고 세배를 드리며 서로의 안부와 덕담을 나눕니다.
이때 빠질 수 없는 것이 떡국입니다. 흰 가래떡을 썰어 만든 떡국은 새해에 한 살 더 먹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고, 맑고 흰 국물은 새해를 깨끗하게 시작하고 싶다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떡국 외에도 도소주, 수정과 등을 함께 내어 가족과 나누어 마시곤 합니다.
1896년 양력이 도입되고 일제강점기에는 민족문화를 약화시키려는 정책 속에서 양력 1월 1일이 공식 명절로 더 강조되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많은 집에서는 계속 음력 설을 지켜왔고, 한동안은 양력설 = 신정, 음력설 = 구정이라는 이름으로 함께 불리기도 했습니다.
오랜 논의 끝에 1985년에는 음력 설이 민속의 날로 지정되었고, 1989년에 다시 설날이라는 이름을 되찾았습니다. 1991년부터는 지금처럼 3일 연휴가 시행되면서 매년 귀성·귀경 행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재택근무, 1인 가구 증가, 가족 형태 변화 등으로 차례를 간소화하거나 제사상 일부만 준비하는 집도 많지만, 조상을 기리는 마음 자체는 그대로 이어지는 편입니다.
설날 제사상 차림 기본 구성
설날 제사상은 보는 순간 복잡해 보이지만, 기본 원칙을 한 번 익혀두면 매년 훨씬 편해집니다. 아래 표는 대표적인 설날 제사상 구성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 열 | 위치·원칙 | 대표 제물 | 기억하기 좋은 포인트 |
|---|---|---|---|
| 1열 | 조상님과 마주 보는 쪽, 가장 앞 | 시접(수저 그릇), 잔반(잔과 받침) | “제사상과 가장 가까운 곳은 수저와 잔” |
| 2열 | 어동육서, 두동미서 | 생선·고기류 |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두동미서 : 생선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
| 3열 | 중간 라인 | 탕류(두부탕, 고기탕 등) | 국과 탕이 가운데에 모이도록 배치 |
| 4열 | 좌포우혜 | 포, 식혜·전통 음료 | 좌포우혜 : 왼쪽 끝은 포, 오른쪽 끝은 식혜 |
| 5열 | 과일·대추·밤 라인 | 대추, 밤, 배, 곶감 등 | 조율이시 : 대추–밤–배–곶감 순으로 왼쪽에서 오른쪽 홍동백서 :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
정리하면, 앞줄에는 수저와 잔, 가운데에는 고기·탕, 뒷줄에는 과일과 포 정도로 기억해도 설날 제사상 차림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집집마다 전통이나 종교, 가족 사정에 따라 조금씩 방식이 달라질 수 있으니, 가장 중요한 것은 형식보다는 조상과 가족을 향한 마음이라는 점을 기억하면 편해집니다.
설날 차례 지내는 순서
1. 강신(降神)
제사를 주관하는 제주가 먼저 자리에 꿇어앉아 향을 피웁니다. 집사가 술을 잔에 따라주면 제주는 모삿그릇에 술을 세 번에 나누어 붓고, 정성스럽게 두 번 절을 올립니다. 이 순간이 조상님을 자리에 모시는 시작이라 생각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2. 참신(參神)
제주뿐 아니라 차례에 참여하는 모든 가족이 함께 두 번 절을 합니다. 조상님을 모셨다는 마음으로 온 가족이 인사를 올리는 시간이라 분위기를 차분하게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
3. 헌주(獻酒, 현주)
강신이 끝나면 제주가 상 위에 올려진 잔에 술을 직접 따릅니다. 일반적인 기일 제사와 다른 부분은 집사가 아닌 제주가 직접 잔에 술을 따른다는 점입니다. 한 해의 첫 인사를 올리는 자리인 만큼 조금 더 정성을 담아 술을 올린다고 생각하면 자연스럽습니다.
4. 삽시정저(揷匙正箸)
이 단계에서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리게 됩니다. 숟가락의 바닥이 동쪽을 향하도록 그릇에 꽂고, 젓가락의 자루는 서쪽을 향하게 시접 위에 가지런히 올립니다. 조상님께서 식사를 하신다고 생각하며 수저를 올리는 순간이라, 가족들도 자연스럽게 자세를 고쳐 앉게 되는 때입니다.
5. 시립(侍立)
제주와 참석자 모두 자리에 공손히 서서 잠시 묵념하듯 서 있습니다. 이 시간 동안에는 말을 줄이고, 올 한 해에 대한 다짐이나 고마웠던 기억을 떠올리며 조용히 마음을 가지런히 하면 더 의미 있게 느껴집니다.
6. 사신(辭神)
조상님을 정성껏 모신 뒤에는 다시 잘 보내드리는 과정이 이어집니다. 수저를 거두고 음식의 뚜껑을 덮은 후, 제주와 참석자 모두 두 번 절을 합니다. 이후 지방이나 축문을 태우고, 신주를 모시는 집이라면 다시 제자리에 모십니다. “이제 편히 돌아가십시오”라는 마음을 담는 시간입니다.
7. 철상·음복
마지막으로 상을 정리한 뒤, 차례상에 올렸던 음식을 가족들이 함께 나누어 먹습니다. 이를 음복(飮福)이라고 하는데, 조상님께서 내려주신 복을 나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모든 음식을 다 먹기보다, 상징적인 음식 위주로 간단히 나누는 집도 많습니다. 중요한 것은 여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가족이 둘러앉아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입니다.
지역별 설날 제사상 차림, 어떤 차이가 있을까?
설날 제사상 전라도 제사상차림 제사지내는 순서
전라도 제사상 제사상차림 제사지내는 순서 전라도 지역 관할 구역 목포 목포부 각국 거류지 일원, 부내면 내양동, 신창동, 연치동 일부, 남교동 일부, 북교동 일부, 죽동 일부, 온금동 일부 목포
jab-guyver.co.kr
설날 제사상 경상도 제사상차림 제사지내는 순서
설날 제사상 경상도 제사상차림 제사지내는 순서 경상도식 대가족제사상은 한국의 전통 문화 중 하나로, 가족들이 모여 선조들을 기리고 경의를 표하는 의례입니다. 이 의례는 상차림을 포함한
jab-guyver.co.kr
< b>기본 원칙은 전국적으로 비슷하지만, 제사상에 올라가는 음식과 양은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달라집니다. 전라도는 반찬 종류가 풍성하고 해산물이 자주 올라가는 편이고, 경상도는 깔끔하게 정리된 고기·탕류 중심의 상차림이 많다는 식으로 특징이 나뉩니다.
서울·경기권은 여러 지역 문화가 섞여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편이고, 강원·제주 등 지역 특산물이 풍부한 곳은 해산물·나물·잡곡 등이 상에 자주 올라갑니다. 그렇다 보니 2026년 현재에는 “우리 집 전통에 맞게, 그리고 준비하는 사람에게 무리가 되지 않게” 조율해서 올리는 집이 더 많아졌습니다.
요즘 설날 제사, 이렇게 달라지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설날 제사를 둘러싼 분위기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제사 음식 주문, 온라인 제수용품, 간소화된 상차림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있고, 종교와 생활 방식에 따라 설날 아침 식사만 떡국으로 간단히 나누는 집도 많습니다.
중요한 것은 형식이 아니라, “설날에 가족이 모여 서로의 안부를 묻고 한 해의 복을 빌어주는 마음”입니다. 조상께 예를 다하는 방식도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할 수 있지만, 감사하는 마음과 서로를 챙기는 정만큼은 그대로 이어지면 충분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는 분위기입니다.
설날 제사 지내는 순서, 자주 묻는 질문 모음
Q. 설날 제사 지내는 순서에 꼭 맞춰야 하나요?
전통적으로 정해진 순서는 있지만, 집안마다 오랜 습관이나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지내도 괜찮습니다. 강신–참신–헌주–삽시정저–시립–사신–철상·음복으로 이어지는 큰 흐름만 유지한다면, 세부 방식은 가족이 편안하게 지킬 수 있는 방향으로 맞추는 편이 요즘 분위기와도 잘 어울립니다.
Q. 제사상에는 어떤 음식을 올리는 것이 무난할까요?
기본적으로는 밥과 국, 탕류, 고기와 생선, 나물, 포, 떡, 과일, 술이 자주 올라갑니다. 지역이나 종가마다 금기 사항이 있을 수 있으니, 어른들 말씀을 한 번 들은 뒤에 정리해두면 매년 준비가 훨씬 편해집니다. 요즘에는 가족이 실제로 즐겨 먹는 음식을 조금 더 비중 있게 올리는 집도 많습니다.
Q. 떡국은 언제 먹는 것이 좋나요?
보통은 차례를 마치고 음복을 한 뒤, 설날 아침 식사로 온 가족이 둘러앉아 떡국을 함께 먹습니다. “떡국을 먹어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처럼, 떡국은 새해를 맞는 상징적인 음식이라 차례와 세배를 마친 뒤 한숨 돌리고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Q. 1인 가구나 해외 거주 중에도 설날 제사를 지내도 될까요?
물론입니다. 꼭 큰 상을 차리지 않더라도, 조용히 상징적인 음식 몇 가지만 올려놓고 마음속으로 조상을 떠올리며 감사 인사를 전해도 충분합니다. 해외에 살고 있다면 현지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로 간단히 차려도 좋고, 영상 통화로 가족과 인사를 나누면서 마음을 나누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Q. 설날 제사와 기일 제사는 어떻게 다르게 생각하면 될까요?
기일 제사가 특정 조상 한 분을 중심으로 하는 날이라면, 설날 제사는 한 해를 여는 시점에 가문 전체 조상을 향해 인사드리는 자리라는 느낌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상차림과 술잔을 올리는 과정은 비슷하지만, 설날에는 한 해의 건강과 복을 빌고, 가족 모두가 함께 마음을 새로 다지는 의미가 조금 더 강하게 담겨 있습니다.
Q. 전통 방식과 종교가 겹칠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가족 구성원의 종교가 다양하다면, 각자의 신앙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서로 조율해 나가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조용히 묵념만 함께하거나, 절 대신 인사로 마음을 표현하는 식으로 서로가 편안한 방식으로 합의하는 집도 많습니다. 결국 설날 제사의 핵심은 가족 간의 존중과 배려에 있습니다.
Q. 설날에 꼭 큰 제사상을 차려야 할까요?
요즘은 맞벌이 부부, 핵가족, 1인 가구가 많아지면서 전통적인 대가족 제사상을 그대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이야기도 자주 나옵니다. 그래서 형식보다는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간단한 차례상만 준비하거나, 추모와 감사의 시간만 따로 가지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조상께서도 가족이 다투거나 지쳐가며 예를 올리는 모습보다는, 서로 웃으며 건강하게 지내는 모습을 더 기뻐하실 거라는 생각으로 접근하면 마음이 훨씬 편해집니다.
Q. 아이들에게 설날 제사를 어떻게 알려주면 좋을까요?
아이들에게는 어려운 말보다, “우리 가족의 할머니·할아버지, 그보다 위에 계셨던 분들께 새해 인사 올리는 날”이라고 설명해주는 것이 이해하기 쉽습니다. 수저 올리는 모습이나 절하는 모습을 함께 해보면서 자연스럽게 몸으로 익히게 하면, 설날 제사가 부담스러운 의식이 아니라 가족 문화의 한 부분으로 더 편안하게 다가갑니다.
Q. 설날 제사 준비가 너무 힘들게 느껴질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하려고 할수록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가족끼리 미리 역할을 나누거나, 일부 음식은 반조리·완제품을 활용하는 등 현실적인 방법을 함께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내년에는 이 정도만 하자” 하고 기준을 가족끼리 합의해두면, 설날 제사가 훨씬 가벼운 마음으로 기다려지는 자리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