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가민 Garmin

가민엣지 전원버튼 찢어짐 뒷판교체 없이 복구방법

잡가이버 2025. 7. 17. 09:23
728x90
반응형

가민엣지 전원버튼 찢어짐 뒷판교체 없이 복구방법

이번에 5년넘게 사용하던 가민엣지1000의 전원버튼이 찢어지면서 망가져버렸습니다. 이러한 전원버튼 망가지는 이슈는 인터넷 검색을 해보면 흔히 찾아볼 수 있는데 가민 전원버튼이 고무로 되어 있고 버튼자체가 얇아서 사용하다보면 삭아서나 손톱으로 누르는등으로 인해 내구성이 급격하게 떨어지는데 특히 가민엣지1000, 가민엣지510, 520, 810 등에서 전원버튼아 잘 찢어지는거 같습니다.

다행히 1030 이후부터 출시된 가민은 전원버튼이 잘 안찢어지느것 같은데 우선 이렇게 찢어진 전원버튼을 해결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 가민 공식 서비스 센터를 통해 워런티 수리교체
  • 알리익스프레스 가민 뒷판패널 구입해서 자가교체
  • 전원버튼을 지우개나 고무로 자작해서 만들어 사용

가민엣지 전원버튼 사망 찢어짐으로 교체

가장 좋은방법은 공식 가민 수입사 서비스센터를 방문해서 교체하느것이지만 오래 사용한 경우 중고로 구입하는거나 수리비용이나 크게 차이가 없기 때문에 가성비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뒷판을 구입하거나 전원버튼만 따로 제작해서 글루건이나 테이프로 붙히는 방식입니다.

적당히 푹신한 고무로 짤라줍니다.

특히 가민엣지1000의 경우 곧 단종이 될 예정이기 때문에 저 같은 경우는 3번으로 대충 지우개나 면봉으로 임시로 1달정도 사용할 예정입니다.

찢어진 전원버튼 사이로 넣어줍니다.

전원버튼이 찢여진 상태로 얇은 핀으로 눌러서 전원을 킬 수 있는데 빼족하게 사용하면 전원버튼이 구멍이 나거나 망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두께로 지우개를 짤라 사용하느걸 추천합니다.

테이프로 마감

그 외에 저처럼 간단하게 사용하고 싶다면 면봉의 솜 부분만 잘라서 붙혀줍니다.

이때 깔끔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글루건을 추천하며 저처럼 임시로 잠깐 사용한다면 절연테이프나 종이테이프등을 사용하며 간단하게 전원버튼을 눌러주면 실행이 문제가없습니다.

단 임시방편의 경우 방수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비가오거나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

 

 

가민엣지 공장초기화 기기설정 리셋 방법

가민엣지 공장초기화 기기설정 리셋 방법 자전거에서 사용되는 사이클링 컴퓨터인 가민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출시된 시리즈도 매우 다양하게 있습니다. 미니멀한 가

jab-guyver.co.kr

가민엣지 시리즈 전원버튼 고장 및 자주 묻는 문제 해결

가민엣지 전원버튼이 찢어졌는데 계속 사용해도 되나요?

전원만 켜는 데는 임시 수단으로 지우개, 면봉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물이나 땀이 내부로 스며들 위험이 있어 권장되지 않습니다. 특히 가민은 생활 방수 기능을 갖춘 제품이기 때문에, 버튼 손상 시 방수 기능이 사실상 무력화됩니다.

전원버튼이 찢어진 상태에서 물이 들어갔을 경우 대처법은?

즉시 전원을 끄고, 습기 제거를 위해 기기를 열지 않은 상태로 실리카겔이나 쌀통에 수일간 보관하는 방법이 임시 대응입니다. 내부에 수분이 남아 있다면 부식이나 쇼트 위험이 있으니, 서비스센터에 빠르게 점검을 맡기는 것이 안전합니다.

가민엣지 뒷판은 직접 교체해도 문제가 없나요?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되는 가민 뒷판은 정밀한 가공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방수 성능이 크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DIY 수리는 비용은 절감되지만 실리콘 마감이나 방수 보강 작업을 병행하지 않으면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전원버튼만 교체하는 부품도 구매 가능한가요?

대부분 뒷판 전체를 구매해야 하며, 버튼만 따로 판매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다만 일부 수리 커뮤니티나 3D프린팅 커뮤니티에서는 전원버튼만 인쇄하거나 제작해주는 사례도 있으며, 실리콘 몰드를 직접 만드는 사용자도 있습니다.

가민엣지 시리즈 중 전원버튼 고장이 잦은 모델은?

Edge 510, 520, 810, 1000 모델에서 동일한 문제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반면 Edge 1030 이후 출시 모델은 개선된 전원버튼 구조로 인해 동일한 고장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임시방편으로 만든 고무버튼을 장기간 사용해도 되나요?

단기적으로는 무방하지만, 고무 자재가 열이나 땀에 약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시 경화되거나 접착제와 함께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가급적 1~2개월 이내 교체를 권장합니다.

자작 버튼을 글루건으로 붙이면 문제는 없을까요?

글루건을 사용할 경우 일정 온도 이상에서 쉽게 떨어지거나 녹을 수 있습니다.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에폭시 계열의 방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입니다.

가민엣지 공장초기화 후에도 설정이 복구되는 경우는 왜 그런가요?

가민은 일부 설정이나 기록 데이터를 Garmin Connect 계정에 연동해 저장하기 때문에 공장초기화 후에도 로그인하면 데이터가 자동 복원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완전한 초기화를 원할 경우, 계정 로그아웃과 저장된 장치 정보 삭제까지 병행해야 합니다.

가민엣지 중고 구입 시 전원버튼 상태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중고 제품은 외관 사진으로는 전원버튼 손상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입 전 셀러에게 전원버튼 클로즈업 사진과 방수 테스트 여부, 작동 영상 요청을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미세한 찢어짐이라도 장시간 사용 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공식 A/S와 사설 수리의 차이는?

공식 A/S는 정품 부품과 방수 보증이 있지만, 비용이 비교적 높고 오래된 모델은 수리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반면 사설 수리는 저렴하고 빠르지만 부품 품질이나 방수 성능이 보장되지 않으니, 사용 환경(예: 우천 라이딩 여부)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Edge 500, 510, 520 모델은 지금도 수리가 가능한가요?

이 구형 모델들은 대부분 공식 A/S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으며, 국내 공식 수입사도 부품 수급이 어려워 수리보다는 교환을 권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신 사설 수리점이나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부품(배터리, 버튼, 뒷판)을 구해 자가 수리하는 방법이 일반적입니다.

수리 호환성

  • 510 ↔ 520: 버튼 구조 유사, 일부 뒷판 호환
  • 500은 구조가 달라 호환성 낮음

예상 수리비

  • 배터리 교체: 3만~5만 원
  • 전원버튼 수리: 1만~3만 원
  • 뒷판 교체: 5만 원 내외 (부품 수급 포함)

Edge 810, 820 모델은 어떤 고장이 많고 수리 가능성은 어떤가요?

이 모델군도 전원버튼 고장이 잦고, GPS 오류나 터치 미작동 문제도 자주 발생합니다. 공식 센터에서는 수리보다 제품 리퍼 제안이 일반적이며, 사설 수리점에서는 뒷판, 버튼, 배터리 교체가 가능합니다.

고장 빈도

  • 전원버튼 찢어짐
  • GPS 수신 오류
  • 화면 멈춤/터치 불량

수리 호환성

  • 810, 820은 부품 구조가 달라 상호 호환 불가
  • 부품은 알리익스프레스 또는 해외 사이트 의존

예상 수리비

  • 배터리: 4만~6만 원
  • 버튼 자작 수리: 1만 원 내외
  • 터치스크린 교체: 8만 원 이상 (부품 구하기 어려움)

Edge 1000, 1030 시리즈는 고장 시 수리 효율이 괜찮은 편인가요?

Edge 1000은 구형이지만 사용자층이 많아 부품 수급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DIY 사례도 많습니다. 반면 1030은 내구성이 개선되어 전원버튼 고장 빈도는 낮지만, 고장 시 수리비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1000 모델 고장 유형

  • 전원버튼 찢어짐
  • 배터리 수명 저하
  • 뒷판 마모

1030 고장 유형

  • 충전 단자 파손
  • 내부 기판 쇼트
  • 드물지만 터치 오류

수리 호환성

  • 1000 ↔ 1000 Explore 일부 부품 호환
  • 1030은 Explore 버전과 뒷판 일부 호환 가능

예상 수리비

  • 전원버튼: 자작 시 1만 원 내외
  • 배터리: 5만~7만 원
  • 충전 단자: 3만~5만 원
  • 전체 뒷판 교체: 6만~8만 원

Edge 530, 830, 1040 등 최신 모델들은 수리 호환성이나 수리비용은 어떤가요?

이들 모델은 비교적 최근 출시되어 아직 고장 사례가 적고, 전원버튼 고장이나 배터리 이슈도 크게 보고되지 않는 편입니다. 다만 충전 단자 파손이나 센서 오류가 발생하면 부품 수급이 어렵고, 공식 수리비도 높은 편입니다.

호환성

  • 530 ↔ 830: 내부 구조 일부 유사하나, 버튼/터치 유무로 완전 호환은 어려움
  • 1040은 구조가 독립적이며 상위 모델 간 호환 불가

예상 수리비 (공식 기준)

  • 기판 수리: 10만 원 이상
  • 충전 포트 교체: 5~6만 원
  • 디스플레이 교체: 10만 원 이상

가민 수리 시, 어떤 고장은 사설 수리가 더 적합한가요?

아래 고장은 공식 센터보다 사설 수리가 가성비 좋고 빠릅니다.

  • 배터리 교체
  • 전원버튼 찢어짐
  • 뒷판 교체
  • 충전 단자 수리
  • 방수 실링 재처리

하지만 GPS 모듈 고장, 화면 불량, 메인보드 쇼트는 사설 수리도 어렵거나 비용이 매우 높을 수 있으므로 공식 리퍼 제품 교체와 비교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