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써멀구리스 바르는방법 - 메인보드 CPU 쿨러 발열
컴퓨터 써멀구리스 바르는방법 - 메인보드 CPU 쿨러 발열
컴퓨터에는 주기적으로 유지보수를 해서 관리를 해야 컴퓨터 수명과 함께 기본적으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메인보드 건전지를 교체해야하는것과 CPU 쿨러등에 써멀구리스하고 하느걸 발라줘야 합니다.
메인보드 건전지 교체 방법 및 교체시기 확인
메인보드 건전지 교체 방법 및 교체시기 확인 메인보드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컴퓨터의 메인을 담당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컴퓨터 부품중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메인보드에 들어있는 정보로
jab-guyver.co.kr
메인보드에 건전지가 들어간다고? 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메인보드 건전지가 없다면 컴퓨터 부팅이 안되거나 부팅이 되더라도 윈도우나 바이오스 설정에서 날짜 요일 시간등이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대략 4.5년에 한번씩 메인보드 건전지를 미리 교체해 주느것이 좋습니다.
컴퓨터 써멀구리스 용도?
그렇다면 컴퓨터에 써멀구리스는 무엇일까요?

처음에 컴퓨터를 구입 후 조립 시에 CPU와 쿨러사이에 써멀구리스라고 하는 구리스를 발라주는데 이게 시간이 지날수록 마르거나 굳어버릴 수 있끼 때문에 이 경우 컴퓨터 발열 및 블루스크린 오류 및 자주 셧다운이 되는 프리징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노트북의 경우 본체를 뜯어 구리스를 바르기 쉽지 않지만 데스크탑 PC의 경우 쉽게 구리스를 발라줄 수 있습니다.
노트북 온도 낮추기 8가지 - 발열 원인 및 수명관리 - 노랗IT월드
노트북은 일반 데스크탑과 달리 발열에 취약한 PC로서 가벼운 무게와 휴대성을 강조하기 위해 냉각쿨러의 갯수나 히트싱크등이 일반 데스크탑 PC와는 구조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노트북 온도 낮
yellowit.co.kr
컴퓨터 써멀구리스 추천 MX4
써멀구리스는 인터넷에 검색하면 2천원부터 비싼건 몇만원까지 하는데 가장저렴한걸 구입해도 상관없지만 우선 적당한 가격에 추천하는 제품은 8천원 정도에 구입할 수 있는 M4 써멀구리스 입니다.
컴퓨터 CPU 쿨러 교체 및 구리스 바르는 방법
컴퓨터 CPU 쿨러 교체 및 구리스 바르는 방법 컴퓨터뿐만 아니라 모든 전자제품은 "발열과의 싸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발열은 제품의 성능과 내구성과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jab-guyver.co.kr
그 외에 2천원짜리도 구입해봤는데 크게 사용엔 문제는 없었고 발열이나 소음등도 줄어들었으며 만약 내 컴퓨터에 조금 애착이 있다면 조금 더 주고 MX4 구입해도 좋을거 같습니다.
제품은 아틱 써멀 컴파운드 MX-4로 2021년에 새롭게 출시했으며 사용수명은 8년이기 때문에 한번 바르면 컴퓨터 망가질때까지 사용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미세카본입자로 뛰어난 열전도성을 입증했기 때문에 인텔 CPU 및 AMD 라이젠 CPU 및 RTX 급 최상급 그래픽카드 온도를 낮춰줍니다.
노트북의 경우 본체를 뜯기가 어렵기 때문에 쿨러 속도를 통해 발열을 낮춰줍니다.
노트북 발열 온도 낮추기 - 진동 소음 쿨러 펜속도 조절
노트북 발열 온도 낮추기 - 진동 소음 쿨러 펜속도 조절 노트북을 사용할때 성능을 중요시 여기고 구입한 장비라면 생각보다 크고 무거움에 당황할 수 있는데 그뿐만 아니라 노트북을 사용 시
jab-guyver.co.kr
써멀구리스의 성능으로는 높은 열전도율과 낮은 열저항성으로 PC의 CPU와 그래픽카드 쿨러 칩셋의 쿨링효과를 높여 발열을 줄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고사양 게임을 돌리거나 3D 렌더링등을 하는 디자이너라면 써멀구리스를 좋은제품을 발라주는것이 컴퓨터 발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써멀구리스는 여러가지 타입이 있는데 그중 주사기 타입이 사용하기도 편리하고 사용 후 남은 구리스는 보관하기에도 좋습니다.


구리스는 어디다 바르냐 했을때 컴퓨터 본체를 열어보면 이렇게 생긴 쿨러펜이 있습니다.
바이마르 블레스트 무선 에어건 자전거 + 컴퓨터 먼지청소
바이마르 블레스트 무선 에어건 자전거 + 컴퓨터 먼지청소 최근에 무선 에어건을 하나 사야겠다고 마음먹었는데 국내에 가격이 생각보다 비싸단 생각이 들었고 과연 사서 얼마나 활용적으로 쓸
jab-guyver.co.kr
좌우에 있는 볼트방식이나 후크타입 종류에 따라 풀어주면 그냥 떨어지며 이때 쿨러펜 먼지등은 화장실로 가져가서 솔이나 먼지제거 스프레이등을 통해서 먼지를 제거해줍니다.

이렇게 열어보면 보이느게 바로 CPU인데 CPU에 아무것도 없고 밋밋한걸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밑에 메인보드 건전지인 CR2023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래 저 CPU 써멀구리스가 있어야 하는데 5년넘게 사용하면서 구리스가 사라졌거나 아니면 처음 구입 후 조립할때부터 이미 구리스를 적게 발라둔것입니다.

이걸 써멀구리스 MX-4를 발라주는데 발라주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지그제그 방식 & X자 방식 & 동그라미 방식등등 정해진 답이 있느건 아닌데 고르게 발라주느게 중요합니다.
써멀구리스는 점성이 있기 때문에 골고루 잘 발라서 펜을 닫아서 밀착시켜 골고루 퍼지도록 하느게 좋으며 이렇게 써멀구리스도 바르고 먼지제거 후 컴퓨터 온도를 측정합니다.
컴퓨터 온도측정 CPU-Z & 하드웨어모니터
컴퓨터 온도측정을 하는 프로그램은 다양한데 그 중 무료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건 hwmonitor 및 CPU-Z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다운로드는 위 파일을 첨부합니다.


CPU Z를 실행하면 CPU 및 메인보드, 메모리카드, 그래픽카드 등 성능 및 온도 칩셋속도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드웨어모니터 "hwmonitor" 통해서도 컴퓨터 온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은 써멀구리스를 바르기전 50도까지 올라가던 CPU 코어 온도가 바르고 난뒤 44도까지 떨어진것을 볼 수 있으며 아래로 내려보면 파워전력 또한 17W -> 26W로 상승되었습니다.
Nvidia 그래픽카드 설정 게임 최적화 - Geforce Experience
Nvidia 그래픽카드 설정 게임 최적화 - Geforce Experience 엔비디아에서 출시한 지포스 그래픽카드인 GTX, RTX, 쿼드로 등의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면서 최신게임을 즐길고자 한다면 Nvidia 제어판을 통한
jab-guyver.co.kr
컴퓨터를 2.3년 이상 사용했고 그래픽작업이나 게임등을 자주하고 발열이 심한경우에 컴퓨터 CPU 및 그래픽카드 쿨러에 써멀구리스를 발라주느것이 좋습니다.
컴퓨터 분해 청소 먼지 제거 - 전원 안켜짐, 멈춤 프리징 소음 발열감소
컴퓨터 분해 청소 먼지 제거 - 전원 안켜짐, 멈춤 프리징 소음 발열감소 모든 전자제품에는 수명이라는게 있고 그러한 수명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관리가 중요합니다. 특히 컴퓨터의
jab-guyver.co.kr
FAQ
CPU 온도가 100도 이상인데 전원이 꺼지거나 블루스크린이 뜹니다.
이 증상은 대부분 과열 보호 회로가 작동하면서 시스템이 강제로 셧다운되는 상황입니다.
CPU 자체는 보호되지만, VRM(전원부)이나 SSD, 그래픽카드 쪽이 함께 과열될 수 있습니다.
특히 수랭쿨러 펌프 불량일 때는 팬은 돌아가는데 냉각수가 순환하지 않아 CPU 코어 온도가 순식간에 100도를 넘고 시스템이 꺼집니다.
이 경우 펌프 작동 소리가 없거나, 냉각수 튜브가 미지근할 때 불량 가능성이 높습니다. 펌프 교체 비용은 약 5만~10만 원대, 수랭 쿨러 전체 교체 시는 10만 원대 중반 정도가 일반적입니다.
부팅하자마자 CPU 온도가 80도 이상 뜨는데 왜 그런가요?
윈도우 진입 전부터 70~80도가 찍힌다면 BIOS 팬 곡선 설정 오류 혹은 쿨러 접촉 불량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팬이 저속으로만 돌거나 멈춘 상태일 수도 있으니, 부팅 시 팬 회전 상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세요.
쿨러 재장착이나 서멀 재도포만으로도 20~30도 이상 낮아질 수 있으며, 정비점 의뢰 시 평균 3~5만 원 수준입니다.
서멀구리스가 오래되면 CPU 온도에 얼마나 영향이 있나요?
시간이 지나면서 구리스가 건조·수축되어 미세한 틈이 생깁니다. 보통 2년 이상 사용 시 10~15도 정도 온도 상승이 관찰됩니다. 특히 노트북은 얇은 방열판 구조라 서멀패드 열화가 더 심합니다.
서비스센터에서는 구리스 교체와 내부 먼지 청소를 함께 진행하는데, 5만~7만 원 정도면 충분합니다. 고성능 써멀(예: Thermal Grizzly, MX-6 등) 사용 시 추가 비용이 1~2만 원 정도 더 붙습니다.
팬은 최대속도로 도는데 온도가 계속 100도를 유지해요.
이 경우는 방열판에 먼지가 압축된 상태이거나 쿨러 베이스 면과 CPU 히트스프레더 사이에 틈이 생긴 상황입니다. 특히 노트북은 흡기구 먼지 덩어리 때문에 공기가 통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압축 공기나 브러시로 먼지를 제거하고, 필요시 분해 청소를 해야 하며, 전문 분해 청소 시 5만 원 내외로 해결 가능합니다.
써멀 재도포를 했는데도 95~100도에서 내려오지 않습니다.
서멀 도포 후에도 온도가 잡히지 않는다면 쿨러 체결 압력 부족 혹은 히트파이프 내부 냉매 누출 가능성이 있습니다.
히트파이프가 오래되면 내부의 냉매가 증발하면서 열전달 능력이 떨어지는데 이 경우 쿨러 교체 외에는 해결이 어렵습니다. 타워형 공랭쿨러 교체비는 부품 포함 4~8만 원대, 수랭쿨러는 10만 원 이상입니다.
게임 중 프레임이 급격히 떨어지는데 온도도 함께 오른다면?
이는 전형적인 열 스로틀링(thermal throttling) 현상입니다. CPU가 온도를 낮추기 위해 자동으로 클록을 줄이는 동작인데, 게임 프레임이 떨어지고 팬이 심하게 돌아가면 바로 이 상황입니다.
해결을 위해선 GPU와 CPU 양쪽의 냉각 효율을 점검하고, 케이스 내부 공기 흐름(흡기·배기 밸런스)을 재조정해야 합니다. 케이스 팬 1~2개 추가 장착만으로도 평균 5~10도 이상 온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노트북에서 키보드가 뜨겁고 CPU 온도가 항상 높아요.
노트북은 공간 제약 때문에 발열 해소가 어렵습니다. 내부 먼지, 막힌 통풍구 외에도 썸머패드 위치 이탈이 자주 발생합니다. GPU·CPU 위에 붙은 패드가 위치가 어긋나면 열이 잘 전달되지 않죠.
노트북 제조사 서비스센터에서는 패드 재정렬과 써멀 보강을 포함해 7만~10만 원 정도의 정비비용이 발생합니다. 정비 후 팬소음, 프레임 안정성, 배터리 효율이 모두 개선됩니다.
CPU 온도 100도 상태로 계속 쓰면 실제로 망가질 수 있나요?
즉시 타버리거나 고장이 나는 건 아니지만, 장시간 상한 온도에서 운용하면 수명 단축과 전자부품 변색이 일어납니다.
VRM 콘덴서와 SSD 컨트롤러가 열에 약해, 주변 온도가 80도 이상 지속되면 손상이 누적됩니다. 장기적으로는 성능 하락(클록 유지 불안정)이나 부팅 오류 등의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수리 맡기기 전, 자가 점검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 HWMonitor나 HWiNFO로 CPU·VRM 온도 동시에 체크
- 팬 회전속도 수동 조정으로 온도 반응 비교
- 케이스 측면 열감 확인 (한쪽만 과열되면 접촉 불량 가능)
- BIOS에서 전력제한(PL1, PL2)을 기본값으로 복원
이후에도 개선이 없으면 쿨러 교체나 메인보드 점검이 필요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