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리뷰/윈도우 Tip

TKFsFtM 서비스 TKFsFt64.sys 삭제하고 윈도우 시작 자동실행 중지

잡가이버 2025. 11. 20. 09:29
728x90
반응형

TKFsFtM 서비스와 TKFsFt64.sys로 인한 윈도우 자동실행 깔끔하게 정리하기

인터넷 뱅킹이나 공공 웹사이트를 이용하다 보면 INCA Internet의 보안 모듈이 자동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 TACHYON Internet Security 5.0은 실시간 감시 기능을 제공하면서 시작 프로그램 및 서비스에 등록되어 윈도우가 켜질 때마다 함께 올라오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보안을 위해서는 나쁘지 않지만, 더 이상 프로그램을 쓰지 않거나 다른 백신과 충돌이 생기는 상황이라면 자동실행을 끄고 TKFsFtM 서비스와 TKFsFt64.sys를 정리해 두는 편이 훨씬 관리가 수월합니다.

아래 내용에서는 서비스 비활성화부터 서비스 삭제, 보안 프로그램 제거까지 차이가 무엇인지 정리하면서, 필요할 때 바로 쓸 수 있는 명령어까지 같이 짚어보겠습니다.

TKFsFtM 서비스와 TKFsFt64.sys 파일의 역할 이해하기

TACHYON Internet Security 5.0 보안 프로그램 화면
TACHYON Internet Security 5.0

TKFsFtMTACHYON Internet Security 5.0에서 사용하는 서비스 이름 중 하나로, 윈도우 서비스 목록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 서비스가 켜져 있으면 시스템이 부팅될 때마다 보안 모듈이 함께 동작하며, 관련 드라이버인 TKFsFt64.sys도 같은 흐름으로 올라옵니다.

기본적으로는 악성 프로세스를 탐지하고 웹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요소지만, 이미 다른 백신을 쓰고 있거나 특정 업무용 프로그램과 충돌이 생겼다면 자동실행을 끄거나 아예 삭제하고 싶은 경우가 생깁니다.

그럴 때는 단순히 시작 프로그램만 지우는 수준이 아니라 서비스와 드라이버까지 제대로 정리하는 쪽이 더 깔끔합니다.

명령프롬프트로 TKFsFtM 서비스 자동실행 중지하기

윈도우 명령프롬프트 실행 메뉴 화면

TKFsFtM 서비스를 끄는 가장 직관적인 방법은 명령프롬프트에서 서비스 상태를 직접 조정하는 것입니다.

우선 윈도우에서 명령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줍니다. 운영체제는 Windows 7, 8, 10, 11 어디라도 상관없지만, 서비스 제어 명령을 쓰려면 반드시 관리자 권한이 필요합니다.

TKFsFtM 서비스 중지 명령을 입력하는 명령프롬프트 화면

관리자 권한 명령프롬프트가 열렸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sc stop "TKFsFtM"
sc config "TKFsFtM" start= disabled

위 명령은 TKFsFtM 서비스를 즉시 중지하고, 시작 유형을 disabled(사용 안 함)으로 설정해 윈도우 부팅 시 더 이상 자동으로 올라오지 않도록 만들어 줍니다.

서비스 이름은 시스템 환경이나 프로그램 버전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표기 방식이 다른 경우에는 서비스 목록에서 실제 이름을 먼저 확인해 두는 편이 안전합니다.

서비스 관리 도구에서 TKFsFtM 사용 안 함으로 바꾸기

명령어 입력이 익숙하지 않다면 윈도우 기본 관리 도구만으로도 설정을 바꿀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경에서 [제어판] - [관리 도구] - [서비스]로 이동하면 서비스 목록을 볼 수 있고, 여기에서 TKFsFtM 관련 항목을 찾아 속성을 열어 서비스 중지시작 유형 변경을 할 수 있습니다.

이때 표시되는 서비스 이름과 실제 내부 서비스 이름은 프로그램 버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름에 TACHYON, INCA, TKFsFt 등이 포함되어 있는지 천천히 살펴보면 찾기가 한결 수월합니다.

TKFsFtM 서비스 완전히 삭제하고 기록 정리하기

TKFsFtM 서비스 삭제 명령을 실행하는 화면

자동실행만 막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자체를 서비스 목록에서 지우고 싶다면 아래 명령을 사용합니다.

sc delete "TKFsFtM"

이 명령은 서비스 레지스트리 항목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서비스가 실제로 동작 중이라면 즉시 삭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보통은 먼저 서비스 중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재부팅 후 다시 명령을 실행하면 목록에서 말끔히 사라집니다.

작업 방식 특징 추천 상황
서비스 사용 안 함 서비스는 남아 있지만 자동실행이 비활성화됨 언제든 다시 켤 가능성이 있을 때
서비스 삭제 서비스 목록과 레지스트리 항목이 제거됨 TACHYON을 더 이상 쓰지 않을 때
프로그램 완전 제거 서비스, 드라이버, 프로그램 파일까지 한 번에 정리 다른 백신으로 갈아탄 뒤 완전 정리하고 싶을 때

서비스 삭제는 시스템 영역을 건드리는 작업이라서 반드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하고, 서버나 업무용 PC처럼 민감한 환경이라면 변경 전후로 복원 지점을 만들어 두는 편이 마음이 한결 편합니다.

 

윈도우 시작시 자동실행 부팅 프로그램 추가 삭제

윈도우 시작시 자동실행 부팅 프로그램 추가 삭제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부팅 속도를 단축시키기 위해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삭제하곤 하는데요 반대로 부팅시부팅 시 원하

jab-guyver.co.kr

TACHYON Internet Security 5.0 프로그램 자체 삭제와 TKFsFt64.sys 제거

제어판 프로그램 추가 제거에서 TACHYON Internet Security 5.0 삭제 화면

서비스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면 TACHYON Internet Security 5.0 프로그램 자체를 삭제하는 쪽이 더 확실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 또는 [앱 및 기능]에서 TACHYON Internet Security 5.0을 찾아 제거하면 서비스와 대부분의 구성 요소가 함께 삭제됩니다.

간혹 제거 도중 오류가 발생하거나 항목이 남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프로그램 파일과 드라이버 파일을 수동으로 정리해 줘야 할 때가 있습니다.

TKFsFt64.sys 드라이버 파일 위치를 보여주는 화면

일반적으로 드라이버 파일 경로에는 C:\Windows\system32\TKFsFt64.sys처럼 표시됩니다. 이 파일이 남아 있으면 서비스 삭제 후에도 찌꺼기처럼 흔적이 남을 수 있어, 프로그램 제거 후 확인해서 필요하다면 직접 삭제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로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관련 키를 찾아 없앨 수도 있습니다. 다만 레지스트리는 잘못 건드리면 다른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익숙하지 않다면 삭제 전 레지스트리 백업을 만들어두고 신중하게 삭제하는 편이 좋습니다.

제작사 INCA Internet의 정보는 http://www.windowexe.com, http://tachyonlab.com)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최신 버전이나 제품군이 바뀐 경우 지원 페이지에서 보다 구체적인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TKFsFtM 서비스 비활성화와 삭제 중 어떤 선택이 더 적절할까?

이미 다른 백신이나 보안 솔루션을 쓰고 있다면 TACHYON 관련 서비스는 겹치는 기능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다 지우기보다, 향후 다시 사용할 가능성현재 시스템 안정성을 함께 생각해 보는 편이 좋습니다.

  • 다시 쓸 가능성이 있다 → 서비스만 사용 안 함으로 두고 기록은 남긴다.
  • 완전히 정리하고 싶다 → 서비스 삭제 + 프로그램 제거 + TKFsFt64.sys 확인.
  • 충돌이나 오류가 반복된다 → 우선 서비스 중지 후 삭제, 필요하면 레지스트리까지 점검.

특히 2026년 기준으로는 윈도우 자체 보안 기능과 여러 상용 백신이 충분히 발전한 상태라, 특정 사이트를 이용할 때만 TACHYON을 설치하고 이후에는 정리해 두는 식으로 관리하는 사용자가 꽤 많습니다. 그런 경우 TKFsFtM, TKFsFt64.sys를 어디까지 정리해 둘지 한 번쯤 생각해 보고 정리해 두면 나중에 문제를 찾기가 훨씬 수월합니다.

TACHYON Internet Security 5.0 관련 오류 정리와 기본 점검 포인트

윈도우 서비스 관리에서 TKFsFtM 서비스 사용 안 함 설정 화면

TKFsFtM 서비스나 TACHYON Internet Security 5.0과 연관된 오류를 줄이려면, 단순히 끄는 것뿐 아니라 어디서 어떻게 등록되어 있는지를 같이 보는 편이 좋습니다. 서비스, 시작 프로그램, 드라이버, 레지스트리 위치를 대략 알고 있으면 나중에 문제를 다시 찾을 때 시간을 많이 아낄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다음 순서로 살펴보는 구성이 가장 무난합니다.

먼저 서비스 관리 도구에서 TKFsFtM 항목을 찾아 중지 후 시작 유형을 사용 안 함으로 바꾸고, 다음으로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TACHYON Internet Security 5.0을 삭제합니다. 필요하다면 C:\Windows\system32\TKFsFt64.sys 파일과 관련 레지스트리 키까지 확인해 남은 흔적을 정리해 주면 됩니다.

운영체제가 Windows 7·8·10·11 중 어느 것이든, 이런 작업은 공통적으로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니 이 부분만 잊지 않으면 됩니다.

TKFsFtM·TKFsFt64.sys 삭제 전후로 자주 묻는 질문(FAQ)

TKFsFtM 서비스를 사용 안 함으로만 둬도 자동실행은 완전히 막을 수 있나요?

네, 서비스의 시작 유형을 disabled(사용 안 함)으로 바꾸면 시스템이 부팅될 때 TKFsFtM은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습니다. 서비스 항목은 목록에 남지만, 보안 모듈이 매번 올라오지는 않습니다.

sc delete로 TKFsFtM을 삭제하면 나중에 다시 설치할 수 있나요?

서비스 삭제 후에도 TACHYON Internet Security 5.0 설치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하면 필요한 서비스가 다시 등록됩니다. 다만 기업용 환경처럼 커스터마이징된 배포본이라면 담당 부서에서 받은 설치 파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TKFsFt64.sys 드라이버 파일은 반드시 삭제해야 하나요?

프로그램과 서비스가 모두 제거된 뒤에도 TKFsFt64.sys가 남아 있다면 깔끔하게 정리하는 차원에서 삭제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삭제 전에는 해당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서비스가 더 이상 없는지 먼저 확인해 주세요.

명령프롬프트와 PowerShell 중 어느 쪽을 써도 상관없나요?

서비스 제어 명령인 sc는 명령프롬프트와 PowerShell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어떤 창을 쓰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서비스 이름이 TKFsFtM이 아니라 다른 이름으로 보이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버전이나 빌드에 따라 서비스 이름이 다르게 표시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서비스 속성에서 실행 파일 경로나 설명에 TACHYON, INCA 등의 키워드가 있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삭제가 되지 않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제거 도중 오류가 발생한다면 공식 제거 도구 유무를 먼저 확인해 보고, 없을 경우에만 수동으로 파일과 레지스트리를 정리하는 방법을 고려하는 편이 좋습니다. 수동 삭제 전에는 가능하면 복원 지점과 레지스트리 백업을 만들어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다른 백신 프로그램과 충돌이 의심될 때 TKFsFtM만 꺼도 효과가 있나요?

실시간 감시 모듈이 겹쳐서 충돌이 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TKFsFtM 서비스와 관련 프로세스를 중지하는 것만으로도 체감되는 변화가 있는 편입니다. 그래도 문제가 이어지면 프로그램 제거까지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비스 삭제 후 재부팅했는데 또 비슷한 서비스가 생겼습니다. 왜 그런가요?

일부 보안 솔루션은 자동 복원 기능을 가진 모듈이 따로 있어, 남아 있는 프로그램 파일이 다시 서비스를 등록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 TACHYON Internet Security 5.0 자체 삭제까지 같이 진행해야 깔끔하게 정리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이 너무 부담스러운데 꼭 해야 할까요?

서비스 비활성화와 프로그램 삭제만으로도 일반 사용 환경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레지스트리 정리는 완전히 흔적을 없애고 싶은 경우에 선택적으로 진행해도 충분합니다.

INCA Internet 제품을 계속 사용할 계획인데 자동실행만 줄이고 싶다면 어떻게 하나요?

이 경우에는 서비스 삭제보다는 서비스 사용 안 함 + 필요할 때만 수동 실행 쪽이 더 적당합니다.

환경에 따라서는 일부 웹사이트에서 자동 점검 기능이 제한될 수 있으니, 꼭 필요한 사이트라면 다시 한 번 접속 후 동작 여부를 확인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