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리뷰/게임 리뷰

게이밍 최적화 환경 테어링, 스터터링, 인풋렉 해결 및 G-Sync 호환 설정

잡가이버 2025. 7. 28. 11:48
728x90
반응형

부드러운 게임 플레이를 위한 그래픽 설정 G-Sync과 어댑티브 싱크 활용법

요즘 게임 환경은 단순히 고사양 PC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걸 많은 게이머들이 체감하고 있어요. 특히 FPS나 레이싱, 액션 장르처럼 빠른 반응과 정확한 타이밍이 중요한 게임에선 '부드러움'이 승패를 가르죠. 이럴 때 G-Sync나 어댑티브 싱크 같은 화면 동기화 기술은 단순한 옵션이 아니라 거의 필수 기능처럼 여겨지고 있어요.

게임 끊김 해결법, G-Sync로 부드러운 화면 만드는 방법
게이밍 최적화 환경 테어링, 스터터링, 인풋렉 해결 및 G-Sync 호환 설정

특히 고사양 그래픽과 빠른 반응 속도를 요구하는 게임들이 늘어나면서,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의 성능은 게이머들에게 더욱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았으며 그중 특히 FPS(Fast-Paced Shooter)나 액션 게임과 같이 찰나의 승리가 결정되는 장르에서는 부드러운 화면과 빠른 응답 속도가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풋렉 줄이기 위한 그래픽카드와 모니터 설정법

이러한 최적의 게이밍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테어링(tearing), 스터터링(stuttering), 인풋렉(input lag) 등을 최소화하면서 G-Sync 호환 및 어댑티브 싱크(adaptive sync)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테어링, 스터터링, 인풋렉이란?

테어링(Tearing)

테어링은 모니터의 주사율과 그래픽 카드의 프레임이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화면 찢김 현상을 말합니다.

게임 속도와 반응 개선, G-Sync 활용 핵심 정리

예를 들어, 60Hz의 주사율을 가진 모니터에서 그래픽 카드가 75fps로 프레임을 출력하면, 화면이 찢겨 보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화면이 업데이트되는 시점과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이 맞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테어링 발생 원인

  • 주사율과 프레임 속도의 불일치: 모니터의 주사율(Hz)과 그래픽 카드의 프레임 속도(fps)가 일치하지 않을 때 테어링이 발생합니다.
  • 수직 동기화(V-Sync) 미사용: V-Sync를 사용하지 않으면 그래픽 카드가 모니터의 주사율을 초과하여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어 테어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스터터링(Stuttering)

스터터링은 화면이 간헐적으로 끊기는 현상으로, 그래픽 카드가 일시적으로 프레임을 충분히 출력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이는 주로 그래픽 카드의 과부하나 시스템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게임 플레이의 부드러움을 저해합니다.

스터터링 발생 원인

  • 그래픽 카드 과부하: 복잡한 그래픽을 렌더링할 때 그래픽 카드가 과부하 상태가 되어 프레임을 일정하게 출력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 주사율과 프레임 속도의 불일치: V-Sync 사용 시 그래픽 카드가 주사율을 따라가지 못하면 스터터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풋렉(Input Lag)

인풋렉은 사용자의 입력(키보드, 마우스 등)이 화면에 반영되는 데 걸리는 시간 지연을 의미합니다. 인풋렉이 증가하면 게임 내에서의 반응 속도가 늦어져 플레이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인풋렉 발생 원인

  • V-Sync 사용 시 지연: V-Sync를 활성화하면 그래픽 카드가 모니터의 주사율에 맞추기 위해 프레임을 대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입력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그래픽 설정 과다: 높은 그래픽 설정으로 인해 프레임이 저하되면 인풋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어댑티브 싱크(Aadaptive Sync)와 G-Sync

반응형

어댑티브 싱크(Adaptive Sync)

어댑티브 싱크는 모니터의 주사율을 그래픽 카드의 프레임 속도에 맞추어 동적으로 조절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테어링과 스터터링을 줄이고, 부드러운 게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합니다. 대표적인 어댑티브 싱크 기술로는 NVIDIA의 G-Sync와 AMD의 FreeSync가 있습니다.

G-Sync(G-Sync Compatible)

G-Sync는 NVIDIA가 개발한 어댑티브 싱크 기술로, 그래픽 카드의 프레임 속도에 맞춰 모니터의 주사율을 동적으로 조절합니다.

이를 통해 테어링과 스터터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인풋렉을 최소화합니다. G-Sync를 지원하는 모니터는 전용 모듈이 탑재되어 있어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합니다.

모델명 제조사 크기 해상도 주사율 패널   특징 가격대
ASUS ROG Swift PG259QN ASUS 24.5인치 1920×1080 360Hz TN 초고속 주사율, NVIDIA Reflex, G-Sync 모듈 탑재 고가
Acer Predator X27 Acer 27인치 3840×2160 (4K) 144Hz IPS HDR 지원, NVIDIA G-Sync, 뛰어난 색 정확도 고가
Dell Alienware AW2721D Dell 27인치 2560×1440 240Hz IPS 빠른 응답 시간, NVIDIA G-Sync, VRR (가변 재생률) 지원 고가
LG UltraGear 27GN950-B LG Electronics 27인치 3840×2160 (4K) 144Hz IPS HDR, NVIDIA G-Sync, 높은 색 재현율 고가
BenQ ZOWIE XL2546K BenQ 24.5인치 1920×1080 240Hz TN 빠른 응답 속도, NVIDIA G-Sync, DyAc+ 기술 중고가
MSI Optix MAG274QRF-QD MSI 27인치 2560×1440 165Hz IPS Quantum Dot 기술, NVIDIA G-Sync, HDR 지원 중고가
Samsung Odyssey G7 Samsung 27인치 / 32인치 2560×1440 240Hz VA 커브드 디자인, HDR600, NVIDIA G-Sync 중고가
Gigabyte AORUS FI27Q-X Gigabyte 27인치 2560×1440 165Hz IPS HDR400, NVIDIA G-Sync, 높은 색 재현율 중고가
HP Omen X 27 HP 27인치 2560×1440 240Hz IPS NVIDIA G-Sync, HDR, 빠른 응답 시간 중고가
ViewSonic Elite XG270QG ViewSonic 27인치 2560×1440 165Hz IPS NVIDIA G-Sync, Quantum Dot, HDR10 지원 중고가

G-Sync 설정을 위해서는 Nvidia 설정을 지원하는 모니터를 구입해야하며 이때 가장 추천하는 모델은 가격대별로 위 모니터를 추천합니다.

G-Sync 설정 방법

  1.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최신 NVIDIA 드라이버를 설치합니다.
  2. G-Sync 활성화: NVIDIA 제어판에서 '디스플레이' > 'G-Sync 설정'으로 이동하여 G-Sync를 활성화합니다.
  3. 모니터 설정 확인: G-Sync를 지원하는 모니터에서 관련 설정을 활성화합니다.
  4. 게임 설정 최적화: 게임 내 그래픽 설정에서 V-Sync를 비활성화하고, G-Sync를 활용합니다.

최적의 게이밍 환경을 위한 설정 방법

1. 그래픽 카드 제어판에서 어댑티브 싱크 활성화

그래픽카드 모델별 최적 설정값 추천
그래픽카드 모델 수직동기화
(V-Sync)
G-Sync / FreeSync 프레임 제한
(Frame Rate Limit)
기타 최적화 설정
NVIDIA GeForce RTX 4090 OFF G-Sync ON 모니터 주사율 - 2~3fps
(예: 144Hz → 141fps)
- NVIDIA 제어판에서 '저지연 모드'를 '울트라'로 설정
- 전원 관리 모드를 '최대 성능 우선'으로 설정
NVIDIA GeForce RTX 4080 OFF G-Sync ON 모니터 주사율 - 2~3fps
(예: 144Hz → 141fps)
- G-Sync 활성화
-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최신 버전 유지
NVIDIA GeForce RTX 4070 OFF G-Sync ON 모니터 주사율 - 2~3fps
(예: 144Hz → 141fps)
- 저지연 모드 '울트라' 설정
- 배틀그라운드 등 FPS 게임에서 프레임 제한 설정
NVIDIA GeForce GTX 1660 Ti ON 없음 V-Sync 활성 시, 모니터 주사율에 맞춤
(예: 60Hz → 60fps)
- V-Sync 활성화
-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최신 버전 유지
AMD Radeon RX 7900 XTX OFF FreeSync ON 모니터 주사율 - 2~3fps
(예: 144Hz → 141fps)
- AMD Radeon Software에서 FreeSync 활성화
- 그래픽 설정에서 V-Sync 비활성화
AMD Radeon RX 7800 XT OFF FreeSync ON 모니터 주사율 - 2~3fps
(예: 144Hz → 141fps)
- FreeSync 활성화
-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최신 버전 유지
AMD Radeon RX 7600 OFF FreeSync ON 모니터 주사율 - 2~3fps
(예: 144Hz → 141fps)
- FreeSync 활성화
- 그래픽 설정에서 V-Sync 비활성화
NVIDIA GeForce RTX 3060 ON 없음 V-Sync 활성 시, 모니터 주사율에 맞춤
(예: 60Hz → 60fps)
- V-Sync 활성화
-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최신 버전 유지
AMD Radeon RX 5700 XT ON 없음 V-Sync 활성 시, 모니터 주사율에 맞춤
(예: 60Hz → 60fps)
- V-Sync 활성화
-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최신 버전 유지

먼저, 보유하고 있는 그래픽 카드의 제어판에서 어댑티브 싱크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NVIDIA의 경우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NVIDIA 제어판 열기: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NVIDIA 제어판'을 선택합니다.
  2. 디스플레이 설정: '디스플레이' > 'G-Sync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3. G-Sync 활성화: 'G-Sync 지원 모니터에서 G-Sync 사용'을 체크하고, '전체 화면 모드에서 G-Sync 활성화'를 선택합니다.
  4. 적용: 설정을 적용합니다.

2. 3D 설정 관리

NVIDIA 제어판에서 다음과 같이 3D 설정을 관리합니다:

  1. 3D 설정 관리: '3D 설정 관리' 메뉴로 이동합니다.
  2. 전역 설정 탭: '전역 설정' 탭에서 다음 옵션을 설정합니다.
    • 수직 동기화(V-Sync): '켜기'로 설정합니다.
    • 저지연 모드: '울트라'로 설정하여 입력 지연을 최소화합니다.
  3. 적용: 변경 사항을 적용합니다.

3. 게임 내 설정 최적화

 

저사양 그래픽카드 성능향상 방법 - GPU 최적화 설정

저사양 그래픽카드 성능향상 방법 - GPU 최적화 설정 신작 게임이 출시되거나 PC방에서 플레이하던 3D 게임을 집에서 즐기려는 순간, 그래픽카드의 성능 부족으로 인해 난관에 부딪히는 일이 흔합

jab-guyver.co.kr

게임 내에서도 몇 가지 설정을 조정하여 최적의 성능을 얻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틀그라운드(PUBG)와 같은 FPS 게임의 경우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프레임 제한: 게임 내 그래픽 설정에서 프레임 제한 옵션을 찾습니다.
  2. 최대 프레임 설정: 모니터의 최고 주사율에서 2-3fps를 뺀 값으로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144Hz 모니터라면 최대 프레임을 141fps로 설정합니다.
  3. 적용: 설정을 저장하고 게임을 재시작합니다.

4. 추가 최적화 팁

모니터 최적화 그래픽 설정 차이 비교

  • 모니터 주사율 설정 확인: Windows 설정에서 모니터의 주사율이 최대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최소화: 게임 실행 시 백그라운드에서 불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여 시스템 자원을 확보합니다.
  • 그래픽 카드 오버클럭: 그래픽 카드의 오버클럭 기능을 활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단, 과도한 오버클럭은 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최적의 게이밍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 핵심 설정을 기억하세요.

  1. 게임 내 수직 동기화(V-Sync) 비활성화: V-Sync는 스터터링과 인풋렉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비활성화합니다.
  2. G-Sync 활성화: NVIDIA 제어판에서 G-Sync를 활성화하여 모니터의 주사율을 그래픽 카드의 프레임 속도에 맞춥니다.
  3. 저지연 모드 설정 및 프레임 제한: G-Sync의 저지연 모드를 '울트라'로 설정하거나, 개별 프로그램에서 프레임을 제한하여 안정적인 프레임 속도를 유지합니다.

이러한 설정을 통해 테어링과 스터터링을 최소화하고, 인풋렉을 줄여 부드럽고 빠른 반응 속도의 게이밍 환경을 즐길 수 있습니다. 빠른 응답 속도를 요구하는 게임에서 이러한 최적화는 승리를 좌우할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FAQ

모니터가 G-Sync 지원 여부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가장 정확한 방법은 제조사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모니터 모델명을 검색해 스펙 시트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NVIDIA G-Sync Compatible’, ‘G-Sync Certified’ 등의 문구가 명시돼 있다면 G-Sync 지원 모델입니다. 또한 NVIDIA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호환 모니터 목록을 제공하고 있으니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G-Sync와 FreeSync, 둘 다 지원되는 모니터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일부 모니터는 Dual Sync 기능을 제공하여 G-Sync와 FreeSync를 모두 지원하지만, G-Sync 모드는 NVIDIA 그래픽 카드에서, FreeSync는 AMD 그래픽 카드에서만 작동합니다.

같은 모니터라도 그래픽 카드에 따라 최적화 수준이 달라지므로 그래픽 카드에 맞는 싱크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Sync를 켰는데 오히려 프레임이 줄어드는 것 같아요. 왜 그런가요?

G-Sync는 주사율과 프레임 속도를 동기화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프레임을 조절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V-Sync처럼 ‘부드러움’을 위해 프레임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체감 성능이 떨어진다고 느낄 수 있으며, 고주사율 모니터의 경우에는 설정값을 세밀하게 조정하거나 FPS 제한을 따로 적용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듀얼 모니터 환경에서도 G-Sync를 적용할 수 있나요?

기본적으로 G-Sync는 주 디스플레이(기본 모니터)에만 적용됩니다. 보조 모니터에서 G-Sync를 사용하려면 두 모니터 모두 G-Sync를 지원해야 하며, 동일한 주사율과 해상도로 설정되어 있어야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화면 깜빡임이나 버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G-Sync와 저지연 모드 ‘울트라’는 꼭 같이 사용해야 하나요?

반드시 같이 사용할 필요는 없지만 함께 사용하면 최적의 반응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G-Sync는 화면 동기화에 중점을 두고, 저지연 모드는 입력 반응 속도를 줄여주는 기능이기 때문에 두 기술을 병행하면 테어링 없이 빠른 컨트롤이 가능해집니다.

G-Sync 호환 모니터는 G-Sync 모듈 탑재 모델과 차이가 있나요?

네, 차이가 있습니다. ‘G-Sync Compatible’은 NVIDIA의 소프트웨어 검증만 받은 모델로, 모니터 내부에 전용 G-Sync 모듈이 탑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반면, ‘G-Sync 모듈 탑재’ 모델은 하드웨어 수준에서 최적화되어 더 낮은 인풋렉과 부드러운 화면 전환을 제공합니다. 가격 차이도 이에 따라 큽니다.

Adaptive Sync는 게임 외 다른 영상 콘텐츠에도 효과가 있나요?

Adaptive Sync는 기본적으로 실시간 렌더링 기반의 게임에서 가장 큰 효과를 보입니다.

일반 영상 콘텐츠(예: 유튜브, 넷플릭스 등)는 고정된 프레임으로 재생되기 때문에 효과가 제한적이며, 오히려 부작용으로 화면 끊김이 생기는 경우도 있어 게임용으로만 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는 꼭 최신으로 유지해야 하나요?

G-Sync나 FreeSync 기능은 드라이버 최적화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항상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새로운 게임을 출시 직후 플레이할 계획이라면 최신 드라이버가 성능 향상이나 버그 수정에 도움이 됩니다.

G-Sync 사용 중인데 간헐적인 깜빡임이 발생하는 이유는?

해당 증상은 G-Sync 지원이 완벽하지 않은 모니터에서 종종 나타납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창 모드’ 대신 ‘전체 화면 모드’로 전환하거나, NVIDIA 제어판에서 ‘G-Sync를 전체 화면에서만 사용’ 설정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G-Sync 설정 후에도 인풋렉이 느껴질 때 개선 방법은?

G-Sync 자체는 인풋렉을 줄여주는 기술이지만, 그래픽 카드가 고부하 상태이거나 프레임 제한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인풋렉이 생길 수 있습니다.

NVIDIA 제어판에서 저지연 모드를 ‘울트라’로 설정하고, 모니터 주사율보다 약간 낮은 프레임 제한(FPS)을 설정하면 개선됩니다.

G-Sync를 설정했는데 화면이 오히려 더 끊기거나 깜빡이는 이유는?

G-Sync는 전체 화면 모드에서만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일부 게임은 창 모드 또는 창 모드 전체 화면(Borderless Fullscreen)에서 실행될 때 G-Sync가 제대로 적용되지 않아 화면 깜빡임, 지연, 끊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요.

이 경우 NVIDIA 제어판에서 '전체 화면에서만 G-Sync 사용'으로 설정을 변경하거나, 게임 자체를 '진짜 전체 화면 모드'로 실행해야 합니다.

G-Sync가 켜져 있는데도 테어링 현상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는 G-Sync가 실제로 적용되지 않았거나, 게임 내에서 V-Sync 설정이 비활성화되어 있어 프레임 제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일 수 있습니다.

NVIDIA 제어판에서 '수직 동기화(V-Sync)'를 '켜기'로 설정하고, 게임 내 설정에서는 V-Sync를 꺼두는 조합이 가장 안정적인 방식입니다. 또한 프레임 제한을 모니터 주사율보다 2~3fps 낮춰주는 설정이 필요합니다.

게임 실행 시마다 G-Sync가 자동으로 비활성화돼요

게임 실행 시 특정 프로그램이나 오버레이(예: Discord, Steam 오버레이, GeForce Experience)가 그래픽 출력을 간섭하면서 G-Sync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어요.

이럴 경우, 오버레이 기능을 꺼보고 테스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Windows에서 '게임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일시적인 비활성화가 발생할 수 있으니, 해당 옵션도 끄고 테스트해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G-Sync 호환 모니터인데 설정 항목이 NVIDIA 제어판에 안 보여요

가장 흔한 이유는 모니터와 PC 간 연결 방식 때문이에요. G-Sync는 DisplayPort 케이블을 통해 연결했을 때만 활성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HDMI로 연결한 경우 NVIDIA 제어판에서 G-Sync 관련 옵션이 아예 보이지 않을 수 있어요. 반드시 DisplayPort 1.2 이상 규격의 케이블로 연결해야 G-Sync 설정 항목이 표시됩니다.

G-Sync 설정 후 그래픽 깨짐, 컬러 왜곡이 발생할 경우는?

이는 드물지만, 그래픽 드라이버가 손상되었거나, 모니터 펌웨어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 드라이버를 완전히 삭제한 후 최신 버전으로 재설치하거나, 모니터 제조사 사이트에서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HDR 기능과 G-Sync를 동시에 사용할 때 충돌이 나는 경우도 있으므로 HDR을 끄고 테스트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게임마다 G-Sync 작동 여부가 다른 이유는?

G-Sync는 기본적으로 전체 화면 기반의 동기화 기술이기 때문에, 게임 엔진 자체가 전체 화면 최적화를 제대로 지원하지 않는 경우 G-Sync가 정상 작동하지 않을 수 있어요.

또한 일부 게임은 자체 V-Sync나 프레임 제한 기능이 G-Sync 기능과 충돌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어, 게임 내 설정과 NVIDIA 제어판 설정을 일치시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Adaptive Sync나 FreeSync에서 화면이 깜빡이거나 블랙아웃 되는 이유는?

Adaptive Sync 기술은 특정 주사율 범위(예: 48~144Hz) 내에서만 작동합니다.

만약 GPU 성능 저하로 인해 프레임이 이 범위를 벗어나면, 싱크 기능이 꺼지며 화면이 깜빡이거나 검게 나올 수 있습니다. 이때는 프레임 제한 기능을 활용해 일정 범위 내에서 프레임을 유지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NVIDIA 제어판에서 설정을 저장했는데도 G-Sync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는?

간혹 Windows의 고급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기본 모니터로 설정된 모니터와 실제 사용 중인 모니터가 다를 경우, NVIDIA 설정이 무시될 수 있어요.

이럴 땐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사용 중인 모니터를 '기본 디스플레이'로 재지정한 뒤 다시 NVIDIA 제어판에서 G-Sync를 활성화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