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호스트 프로 호스팅에서 VPS 서버 업그레이드 워드프레스 속도후기
블루호스트 프로 호스팅에서 VPS 서버 업그레이드 워드프레스 속도후기
워드프레스 기반 웹사이트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서버 환경은 점점 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저 역시 블루호스트의 기본 호스팅 요금제를 사용하며 하루 방문자 수가 1만 명을 넘기 시작하면서, 사이트 속도가 급격히 느려지고 간헐적인 서버 다운까지 겪게 되었죠.
당시 블루호스트는 '무제한 트래픽'이라는 강점을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서버 리소스 제약이 많았고, 실사용자 입장에서 그 한계를 뼈저리게 느낄 수밖에 없었습니다. 결국 성능 개선을 위해 VPS 서버로 업그레이드를 결심했고, 그 후 2년이 지난 지금, VPS에서 워드프레스를 운영하며 느낀 장단점, 속도 개선 효과, 그리고 예상치 못했던 비용 부담과 고장 증상까지 겪은 리얼 경험을 공유해보려 합니다.
단순한 서버 속도 개선 후기 그 이상으로, CentOS 지원 종료와 AlmaLinux 마이그레이션, 블루호스트 고객 지원 대응까지 실제 상황에서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솔직하게 다뤄보겠습니다.
지금 VPS 업그레이드를 고민하고 있거나 워드프레스 성능에 불만이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블루호스트 기본 서버 사용 경험
블루호스트의 기본 서버에서는 특히 방문자 수가 많은 웹사이트에서 성능이 크게 떨어진다는 점을 깨달았고 제 웹사이트는 하루 방문자가 1만명에서 많게는 2만명 가까이 유입이 발생하면서 그만큼 서버에 과부하가 걸리기 시작했고, 페이지 로딩 속도도 눈에 띄게 느려졌습니다. 기본 서버의 성능으로는 웹사이트 운영이 어려운 수준이었죠.
이때부터 서버 성능을 업그레이드해야겠다고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블루호스트 VPS WHM & C-Panel 업데이트 설치
블루호스트 VPS WHM & C-Panel 업데이트 설치저는 블루호스트의 워드프레스 VPS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근들어 계속 메일로 WHM & C-Panel Version이 30일 뒤 서비스가 종료된다고 메일이 계속 오면
jab-guyver.co.kr
우선 트래픽 무제한이 중요한 요소일 수 있지만, 서버 속도와 안정성이 떨어지면 결국 방문자들이 사이트를 떠나게 됩니다. 그래서 결국 업그레이드를 고려하게 되었습니다. 블루호스트에서 제공하는 프로 요금제로 업그레이드를 한 후, 웹사이트 속도는 확실히 빨라졌지만, 여전히 만족스럽지 않았습니다.
또한 방문자가 많을 때마다 서버가 버거워하는 모습이 여전했죠. 이로 인해 저는 결국 VPS 서버로의 마이그레이션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2. VPS 서버로의 업그레이드
VPS 서버는 과연 저에게 필요한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이 있었습니다.
블루호스트에서 VPS로의 업그레이드는 제공하지 않는 기능들이 많다는 점이 문제였죠. 특히, 업체에서 제공하는 자동 마이그레이션 서비스는 없어서 이 점이 많이 불편했습니다. VPS 서버로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해서는, 직접 파일을 이전해야 하므로, 마이그레이션 작업이 번거로웠습니다.
다행히, 업체와 지속적으로 대화를 나누다 보니, 결국 무료로 마이그레이션을 해주는 서비스도 제공되었고, 그 덕분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은, 그 동안의 기술적 지원과 커뮤니케이션이 불편했던 점입니다. 업체가 이러한 부분을 미리 안내해주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3. VPS 서버의 장점과 단점
VPS 서버는 기본적으로 더 많은 자원(메모리, CPU, 디스크 공간)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성능 면에서는 확실히 만족스러웠습니다. 웹사이트 속도와 안정성은 이전보다 확실히 개선되었습니다. 하루 방문자 수가 많아도 서버가 버티는 모습을 보면서 속도와 성능에서 큰 만족감을 느꼈습니다.
또한, 서버의 자원을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와의 자원 공유로 인한 성능 저하가 없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었습니다.
그러나 VPS 서버를 이용하면서 가장 큰 문제는 "용량"과 "비용"이었습니다.
기본 서버와는 달리, VPS 서버는 백업 용량이 별도로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백업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용량을 구매해야 했습니다.
예를 들어, 워드프레스 사이트에서 20GB 정도의 용량을 사용하고 있다면, 백업을 위해서는 최소 40GB 이상의 추가 용량이 필요합니다. 주말과 평일 데이터를 각각 백업하려면, 80GB 이상의 여유 용량이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부담이 되었습니다. 이 부분을 고려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4. 블루호스트 VPS 비용의 문제
또한, VPS 서버는 그만큼 비용도 비쌉니다. 기존에는 1년에 약 30만 원도 안 되는 비용으로 운영할 수 있었던 사이트가, VPS 서버로 업그레이드 후에는 3년 기준으로 약 65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들었습니다.
다행히 초기에는 할인을 받아서 약 450만 원 정도로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었지만, 3년 이후에는 할인 혜택이 없어질 예정이기 때문에 그때는 더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비용 상승은 많은 사람들이 VPS 서버를 고려할 때 가장 큰 고민거리가 될 수 있습니다.
VPS 서버로 업그레이드한 후에는 속도 면에서 확실히 만족스러웠고, 안정성도 높아졌지만. 하지만, 용량과 비용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추가 용량을 구매해야 하는 점과, 장기적으로 보면 비용이 부담스러워지는 점에서 다시 고민하게 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웹사이트의 성능과 속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당장에는 VPS 서버로 운영하는 것이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돌아간다면 블루호스트 VPS 서버를 구입할까?
우선 이글을 쓰는 지금 VPS 서버로 업그레이드한 지 이제 2년이 지났고 처음에는 속도와 성능에서 확실한 차이를 느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용량 부족 문제와 추가 비용에 대한 부담이 점점 커졌습니다.
특히, 웹사이트 용량이 증가하면서 추가적인 용량 업그레이드가 필요했고, 그에 따라 금액이 더 오르게 되었습니다. 이 추가 비용이 점점 부담스러워졌고, 생각보다 서버 운영에 드는 비용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모습에 고민이 많았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CentOS 지원 종료 소식이 들려오면서 큰 문제가 발생했는데 우선 CentOS 7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제 CentOS가 공식 지원을 종료한다는 소식에 따라, AlmaLinux 8로의 업그레이드를 진행해야 했습니다. 이를 위해 블루호스트와 오랜 대화를 거쳐 결국 새 서버를 구입하게 되었는데, 이때 오랜만에 다시 큰 스트레스를 받았고 블루호스트와 업체와 채팅을 하느데 많은 시간을 허비했습니다.
블루호스트 VPS WHM & C-Panel 업데이트 설치
블루호스트 VPS WHM & C-Panel 업데이트 설치저는 블루호스트의 워드프레스 VPS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근들어 계속 메일로 WHM & C-Panel Version이 30일 뒤 서비스가 종료된다고 메일이 계속 오면
jab-guyver.co.kr
이렇게 VPS 서버 업그레이드와 관련된 문제는 그 자체로 어려운 힘든 과정이었는데 그뿐만 아니라 기존 서버에 대한 환불 문제까지 얽혀 있어서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대화를 나누며 해결을 시도했다느게 너무 컸습니다.
결과적으로 3개월 넘게 환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다시 한 번 서버 관련 문제에서 큰 실망을 하다 결국 환불을 받았느데 기존에는 직통으로 환불을 받았느데 이번엔 페이팔로만 환불이 된다고해서 페이팔 계정도 만들고 여간 번거롭고 스트레스를 받았던거 같습니다.
저처럼 워드프레스를 운영하기 위해 처음 선택했던 블루호스트는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하게 했고, 이 과정에서 여러 번의 고민과 스트레스가 있었습니다.
다른 호스팅 업체들도 많지만, 이런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잘 고려하고, 워드프레스를 선택하고자 한다면,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달았습니다. 웹사이트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서버가 필요하지만, 서버 선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미리 고려하고 준비하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VPS 서버로의 업그레이드 후 성능 면에서는 만족스러운 부분도 있지만, 용량 문제나 비용 상승, 서버 관리의 복잡함은 계속해서 고민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블루호스트를 선택하는 것이 좋은 선택이었는지에 대해서도 많은 고민을 하게 되었고, 앞으로 워드프레스를 운영하려는 분들은 이러한 점들을 충분히 고려한 후, 자신에게 맞는 서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남기고 싶습니다. 서버의 성능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운영과 관련된 문제들을 모두 점검한 뒤,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더 효율적인 서버 운영 방법을 찾기 위해 추가적인 공부와 연구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FAQ
VPS 서버로 업그레이드하면 속도 외에 어떤 실질적인 변화가 있나요?
속도 향상은 가장 눈에 띄는 변화지만, 동시에 백엔드 작업에서의 반응 속도, 대량 트래픽 처리, 관리자 페이지의 응답성도 함께 개선됩니다. 또한 서버 리소스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로 인해 속도가 느려지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다만, 설정부터 보안, 백업까지 모두 직접 관리해야 한다는 점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VPS 서버는 왜 백업 용량이 기본 제공되지 않나요?
VPS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환경에서 운영되는 독립 서버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설정한 자원 외에는 추가적인 백업 공간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사용자 맞춤 구성을 위해 설계된 구조이며, 백업도 사용자가 직접 계획하고 외부 스토리지를 연동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블루호스트는 기본 요금제에는 자동 백업을 포함하지 않으며, 별도로 구매해야 합니다.
서버 마이그레이션이 필요한 시점은 언제인가요?
웹사이트 방문자가 하루 수천 명을 넘기 시작하거나 트래픽 급증에 따른 서버 다운, 페이지 로딩 속도 저하 등이 반복된다면 마이그레이션을 고려해야 할 시점입니다.
특히 워드프레스처럼 동적인 사이트에서는 기본 호스팅으로는 한계가 명확히 드러나므로, VPS 또는 클라우드 기반으로의 이전이 필수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블루호스트는 VPS에서 자동 마이그레이션을 지원하지 않나요?
일반 공유 호스팅에서 VPS로 전환할 경우, 자동 마이그레이션 기능이 제한적입니다.
특히 사용자 설정이 많거나 커스터마이징된 사이트의 경우 수동 이전이 요구됩니다. 최근에는 블루호스트 측에서 케이스별로 무료 마이그레이션을 지원하는 경우도 있으니 반드시 고객센터와 사전 조율이 필요합니다.
VPS 갱신 비용은 왜 그렇게 높게 책정되나요?
초기 VPS 요금제는 대부분 첫 해에만 할인된 금액으로 제공됩니다.
갱신 시에는 정가 기준으로 자동 갱신되기 때문에 금액이 크게 오르게 됩니다. 이 때문에 장기 운영을 고려한다면, 갱신 전 가격 정책을 반드시 확인하고, 필요 시 연 단위가 아닌 월 단위로 전환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AlmaLinux로의 전환은 꼭 해야 하나요?
CentOS 7의 공식 지원 종료는 2024년 7월 31일자로 확정되었습니다. 이 이후에도 사용은 가능하지만, 보안 패치나 업데이트가 중단되므로 보안 위협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신 WHM과 cPanel을 계속 사용하고,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려면 AlmaLinux 또는 Rocky Linux 8 이상의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것이 사실상 필수입니다.
VPS에서 용량을 추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블루호스트에서는 VPS 용량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별도 옵션이 제공됩니다.
만약 사용 중인 플랜에 따라 업그레이드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실시간 채팅 또는 고객지원센터를 통해 가능한 스토리지 용량과 가격, 적용 방법을 확인해야 합니다. 일부 플랜은 리소스 업그레이드 시 전체 서버 마이그레이션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VPS 환경에서 워드프레스 최적화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단순히 서버만 업그레이드한다고 해서 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지진 않습니다.
캐시 플러그인 설치, 이미지 최적화, DB 정리, 클라우드플레어와 같은 CDN 연동 등 여러 가지 최적화 작업을 함께 해야 합니다. VPS는 기본적으로 리소스가 넉넉하지만, 워드프레스 자체의 무거움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서버 관련 이슈로 인한 환불 요청은 어떻게 처리되나요?
블루호스트에서는 서버 문제로 인한 환불 요청 시 제한적인 조건에서만 승인됩니다.
특히 VPS 요금제는 선불 결제 형식이기 때문에 중도 해지 시 부분 환불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환불 경로도 페이팔로 제한되는 경우가 있으니 결제 수단 등록 시 유의해야 합니다. 문제 발생 전 정확한 약관 확인이 필요합니다.
VPS로 업그레이드 후 다시 다운그레이드할 수 있나요?
아쉽게도 VPS에서 공유 호스팅으로의 다운그레이드는 불가능합니다.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사이트를 새 서버로 이전해야 하며, 이 과정은 사용자가 직접 진행하거나 외주를 통해 해결해야 합니다.
서버 업그레이드 전 장기적인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자원 예측을 충분히 고려한 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WHM이나 cPanel 접속이 갑자기 되지 않을 때 원인과 해결 방법은?
종종 방화벽(예: CSF) 설정 오류나 포트(2087, 2083) 차단으로 인해 WHM 또는 cPanel 접속이 막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로그인 시 Connection timed out 또는 This site can’t be reached 오류가 발생한다면, 서버 내부 IP 충돌이나 블루호스트 측의 임시 보안 차단일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 로컬 네트워크 IP 차단 여부 확인 (블루호스트 지원팀에 차단 해제 요청 가능)
- 포트 2086 ~ 2087, 2082 ~ 2083 방화벽 예외 설정
- SSH 접속 후 service cpanel restart 명령어로 cPanel 재시작
- 위 조치로도 해결되지 않을 경우, 블루호스트 라이브챗을 통해 시스템 재부팅 요청 가능 (무료)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충돌로 VPS 리소스 폭주가 생기는 경우 해결 방법은?
대표적인 증상은 CPU 사용률 100%, 사이트 접속 지연, 또는 서버 리붓 빈도 증가입니다. 이 문제는 특히 워드프레스 자동 업데이트 이후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결 방법
- SSH 접속 후 top 또는 htop으로 리소스를 많이 쓰는 프로세스 확인
- wp plugin deactivate --all 로 전체 플러그인 비활성화 후 단계적으로 재활성화
- WP CRON을 비활성화하고 서버 측에서 정기 스케줄러 설정 권장 (crontab -e)
- 문제 플러그인이 확인될 경우 삭제 또는 대체
- 해결 불가능한 경우 전문 기술지원 서비스(서드파티 기준 약 50~100달러 비용 예상)
“MySQL server has gone away” 오류가 반복될 때 해결 방법은?
이 오류는 대부분 DB 접속 제한시간 초과, 버퍼 사이즈 부족, 또는 대용량 쿼리 처리 실패로 발생합니다.
특히 WooCommerce를 사용하는 워드프레스에서는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해결 방법
- /etc/my.cnf 파일에서 max_allowed_packet 값을 최소 256M 이상으로 설정
- wait_timeout 값을 600초 이상으로 연장
- 변경 후 service mysql restart 또는 systemctl restart mariadb로 재시작
- VPS 환경에서 이러한 설정 변경은 루트 권한이 필요하며, 블루호스트 지원팀을 통해 요청 가능 (보통 무료)
자동 백업이 작동하지 않거나, 복원이 실패하는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cPanel의 백업 기능은 저장 공간 부족, 권한 문제, 또는 예약 설정 오류로 인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복원 시 파일 손상이나 경로 불일치 문제도 종종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
- WHM → Backup Configuration → 백업 대상 경로와 마운트 상태 확인
- 백업 실패 로그 확인: /usr/local/cpanel/logs/cpbackup/
- FTP 백업을 사용할 경우, 타임아웃 설정을 늘리고 대상 경로 접근 권한 확인
- 복원이 실패할 경우, 수동 복원 또는 블루호스트 기술팀 요청 필요
- 유료 복원 서비스의 경우 1회당 약 75~150달러 청구될 수 있음
디스크 공간 부족 경고가 반복되는 경우, 정리 방법은?
특히 로그 파일이나 캐시, 오래된 백업으로 인해 /var 또는 /home 경로가 가득 차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결 방법
- /var/log/ 폴더에서 오래된 로그 삭제: rm -rf /var/log/*.gz
- /home/username/tmp 하위 캐시 제거
- /backup 폴더에 있는 오래된 백업 삭제
- cPanel 내부에 있는 Disk Usage Viewer 활용해 비정상 용량 확인 가능
- SSD 업그레이드 시 월 약 10~20달러 추가 요금 발생
FTP 접속이 차단되거나 업로드가 안 되는 경우 해결법은?
FTP는 passive 모드 설정 오류, 포트 제한, 혹은 사용자 권한 문제로 인해 종종 접속 실패나 파일 업로드 실패가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
- FTP 클라이언트에서 Passive 모드 활성화
- WHM → FTP Server Configuration → Passive 포트 범위 설정 (예: 21000~21010)
- /etc/pure-ftpd.conf 또는 /etc/proftpd.conf 파일 수동 수정 가능
- FTP 계정 사용자 권한 확인: 홈 디렉토리에 올바른 권한(755) 설정
- 포트 차단 문제일 경우, 블루호스트 방화벽 설정에서 예외 요청
서버 과부하로 갑자기 다운될 때, 빠르게 대응하는 방법은?
CPU와 RAM이 100% 가까이 되면 리소스를 정상적으로 처리하지 못해 사이트 전체가 다운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서버가 응답하지 않고 자동으로 재시작되기도 합니다.
해결 방법
- SSH 접속 불가 시 블루호스트 대시보드에서 수동 재부팅
- WHM → Process Manager에서 리소스 과다 사용 프로세스 종료
- 문제가 반복되면 mod_security, LiteSpeed, CloudLinux LVE 같은 리소스 제어 기능 활성화 검토
- 장기적으로는 상위 VPS 플랜 업그레이드 필요 (월 $10~$40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