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세금/자동차 및 운전면허증

자동차 엔진오일과 점도, 계절에 따른 교체주기 필수 정보

잡가이버 2025. 7. 14. 04:57
728x90
반응형

엔진오일, 자동차의 필수품

엔진오일은 자동차의 엔진 내부를 보호하며, 금속 부품 간 마찰을 줄여 자동차의 심장이 매끄럽게 뛰도록 돕는 필수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동차 엔진 내부의 부품들이 고속으로 움직일 때 발생하는 마찰을 줄이고, 열을 분산시키며, 불순물을 씻어내는 세정 효과를 제공합니다. 또한 부식 방지 역할을 해 차량 수명을 연장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절한 엔진오일을 선택하고 관리하는 것은 자동차 성능 유지와 효율성에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점도란 무엇인가?

도란 오일이 얼마나 부드럽게 흐르는지를 결정짓는 성질로, 차량의 엔진 보호와 연비 효율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자동차 엔진오일의 경우, 점도가 적절해야 기온 변화나 운전 환경에 맞게 엔진 보호와 연비 효율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 낮은 점도: 흐름이 부드럽고, 추운 날씨에서 엔진 시동이 용이.
  • 높은 점도: 고온에서 윤활 성능을 유지하여 엔진 보호에 유리.

SAE 점도 등급 숫자의 의미

SAE 점도 표기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표기됩니다: SAE 5W-30

  • 5W: 'Winter(겨울)'을 의미하며, 저온 점도를 나타냅니다. 숫자가 낮을수록 추운 환경에서 흐름성이 좋습니다.
  • 30: 고온에서의 점도를 나타내며, 숫자가 높을수록 고온에서도 윤활성을 유지합니다.

예시

  • 0W-20: 혹한기나 연비가 중요한 차량에 적합.
  • 10W-40: 고온 지역이나 고부하 주행 환경에 적합.

점도와 차량 관리의 연결성

점도 유형 적합 조건 장점 단점
저온 점도 겨울철, 혹한 지역 추운 날씨에서 빠른 시동 가능 고온에서 윤활 성능 약화 가능
고온 점도 고온 지역, 스포츠 주행 고온에서도 유막 유지, 엔진 보호 연료 소비 증가 가능
중간 점도 사계절 주행, 평균적인 날씨 환경 다양한 온도에서 균형 잡힌 성능 제공 극한 조건에서는 특정 성능 부족 가능

단급 점도유와 다급 점도유

  • 단급 점도유 (SAE 30, SAE 40)
    • 단일 온도 조건에서 사용.
    • 고온 지역이나 일정한 환경에서 적합.
  • 다급 점도유 (SAE 5W-30, SAE 10W-40)
    • 온도 변화가 심한 지역에서 사용.
    • 우리나라처럼 사계절이 뚜렷한 환경에 적합.

점도별 추천 제품 및 차종

점도  추천 제품 추천 차종
0W-20 아랄 슈퍼트로닉 E, 지크 X5 FE 연비 중심의 하이브리드 및 소형차 (혼다 인사이트, 현대 아이오닉)
0W-30 토탈쿼츠 Ineo, 모빌1 FS X2 추운 지역 승용차 (BMW 5시리즈, 아우디 A6, 볼보 XC40)
5W-30 쉘 헬릭스 울트라, 캐스트롤 마그네틱 4계절 주행 승용차 (현대 쏘나타, 기아 스포티지, 토요타 RAV4)
5W-40 바르다 엔진 프로, 토탈쿼츠 9000 디젤 차량 및 고온 주행차 (폭스바겐 티구안 디젤, 르노 캡처)
10W-30 SK 지크 X9, 모비스 터보 DX 고부하 주행 차량 (기아 모하비, 쉐보레 트래버스, 포드 익스플로러)
10W-40 모빌 델박 MX, 쉘 리무라 R4 대형 SUV 및 상용차 (랜드로버 디스커버리, 현대 스타렉스)

적절한 엔진오일 선택 방법

  1. 차량 매뉴얼 확인
    차량 제조사가 권장하는 엔진오일 점도와 규격(API, ACEA 등)을 따르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2. 주행 환경 고려
    • 혹한기: 0W-30, 0W-20
    • 사계절: 5W-30, 5W-40
    • 고온 지역: 10W-30, 10W-40
  3. 운전 스타일 반영
    • 고속도로 위주의 스포츠 주행: 고온 점도 높은 제품.
    • 도심 주행 위주: 낮은 점도의 연비 중심 제품.

엔진오일 교체주기 및 관리 팁

  • 교체 주기
    • 일반 환경: 10,000km 또는 12개월
    • 가혹 조건(짧은 거리 반복 주행, 공회전 등): 5,000km 또는 6개월
  • 정기 점검 : 엔진오일 상태를 확인하고, 부족하거나 탁해졌다면 바로 보충 또는 교체하세요.
  • 필터 교체 : 엔진오일 교체 시 오일필터도 함께 교체하면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엔진오일 교체방법 및 주의사항

1. 엔진오일 교체 준비물

  • 엔진오일: 차량 제조사가 권장하는 점도 및 규격의 제품.
  • 오일필터: 새 오일필터 (권장).
  • 드레인 팬: 폐오일을 받을 용기.
  • 스패너 또는 소켓 렌치: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열기 위한 도구.
  • 깔개 또는 작업 매트: 작업 시 바닥 보호.
  • 호퍼 또는 깔때기: 새 오일 주입 시 유출 방지.
  • 장갑 및 보호 안경: 작업 중 안전을 위한 필수품.
  • 폐오일 보관통: 사용한 오일을 버리기 위한 용기.

2. 엔진오일 교체 단계

1단계: 차량 준비

  1. 평평한 곳에 차량 주차: 작업 중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평평한 곳에 주차합니다.
  2. 엔진을 예열: 엔진오일을 더 쉽게 배출하기 위해 엔진을 5~10분간 가동한 후 잠시 식힙니다. 오일이 너무 뜨거우면 화상의 위험이 있으니 주의하세요.
  3. 안전 조치: 주차 브레이크를 걸고, 차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합니다.

2단계: 폐오일 배출

  1. 드레인 플러그 위치 확인: 차량 하부의 오일 팬에 위치한 드레인 플러그를 찾습니다.
  2. 드레인 팬 배치: 드레인 플러그 바로 아래에 폐오일을 받을 드레인 팬을 놓습니다.
  3. 플러그 제거: 스패너 또는 렌치를 사용해 플러그를 천천히 풉니다. 오일이 흘러나오기 시작하니 주의하세요.
  4. 폐오일 배출: 모든 오일이 나올 때까지 몇 분간 기다립니다.

3단계: 오일필터 교체

  1. 오일필터 위치 확인: 엔진 측면 또는 하단에 원통형으로 생긴 오일필터를 찾습니다.
  2. 필터 제거: 필터 렌치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려 제거합니다. 제거할 때 남아 있는 오일이 흘러나올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3. 새 필터 준비: 새 오일필터의 고무 패킹에 약간의 새 오일을 발라 밀착력을 높입니다.
  4. 새 필터 장착: 필터를 손으로 조이되, 너무 강하게 조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4단계: 새 오일 주입

  1. 드레인 플러그 재장착: 폐오일 배출이 끝난 드레인 플러그를 조입니다. 너무 강하게 조이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2. 새 오일 주입: 엔진의 오일 주입구 캡을 열고, 깔때기를 사용해 새 엔진오일을 권장 용량만큼 천천히 붓습니다.
  3. 오일량 확인: 주입 후 디핑스틱을 사용해 오일량을 확인하고 필요시 추가합니다.

5단계: 최종 점검

  1. 엔진 시동: 차량을 몇 분간 가동하여 새 오일이 엔진에 잘 순환되도록 합니다.
  2. 누유 확인: 차량 하부를 점검해 오일 누유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3. 디핑스틱 재점검: 엔진을 끄고 잠시 기다렸다가 오일량을 다시 확인합니다. 부족하면 조금 더 보충합니다.

3. 엔진오일 교체 후 폐오일 처리

엔진오일 교체 후 폐오일 처리

엔진오일 교체 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 중 하나는 폐오일 버리느것인데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지정된 폐기물 처리소나 정비소에 맡겨야 하며 폐오일이 담긴 용기는 밀폐하고, 주변에 흘리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4. 교체 시 유용한 노하우

  1. 작업 시간을 미리 확보하세요: 엔진오일 교체는 약 30~60분 정도 소요되므로 여유 있는 시간에 진행합니다.
  2. 작업 환경 정리: 오일이 바닥에 흘러넘치지 않도록 드레인 팬의 위치를 정확히 조정하고, 깔개를 사용하세요.
  3. 플러그와 필터 체결 시 힘 조절: 너무 강하게 조이면 나사산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손으로 단단히 조인 뒤 1/4바퀴 정도만 더 조입니다.
  4. 오일 선택은 매뉴얼 준수: 차량 제조사의 매뉴얼에서 권장하는 점도와 규격의 엔진오일을 사용하세요.
  5. 폐오일 관리: 폐오일이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장갑을 착용하고, 환경 보호를 위해 반드시 정해진 장소에 버립니다.
  6. 주행 후 점검: 교체 후 짧은 거리 주행을 하여 누유 여부와 엔진 소음을 점검하세요.

5. 엔진오일 교체 시 주의사항

  1. 과도한 오일 주입 금지: 오일이 과도하게 주입되면 엔진 내부 압력이 높아지고 누유 위험이 있습니다.
  2. 적정 교체 주기 준수: 사용환경에 맞춰 10,000km 또는 12개월(일반 조건) 기준으로 교체하세요.
  3. 올바른 도구 사용: 적합한 크기의 렌치와 필터 도구를 사용해 불필요한 부품 손상을 방지합니다.

추가 Q&A: 엔진오일에 대한 궁금증

Q. 저렴한 엔진오일을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A. 엔진오일의 가격보다 중요한 것은 차량 제조사가 권장하는 규격과 점도입니다. 인증된 제품이라면 저렴한 제품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계절마다 다른 오일을 써야 하나요?
A. 다급 점도유를 사용하면 계절에 따라 오일을 바꿀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혹한기에는 저온 점도가 낮은 제품(예: 0W-30)을 권장합니다.

Q. 오일 교체 없이 보충만 하면 되나요?
A. 오일 소모로 인한 부족 시 보충이 필요하지만, 교체 주기를 넘기면 오일 성능이 저하되므로 반드시 교체해야 합니다.

이상 정확한 엔진오일 관리로 차량 성능을 유지하고 더 긴 수명을 보장하세요. 올바른 선택과 관리가 안전하고 즐거운 드라이빙의 시작입니다! 🚗✨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