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반기 정부 노임단가 평균임금
2025년 상반기 건설업 시중노임단가 주요 내용과 변화 분석
2025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상반기 건설업 시중노임단가가 발표되었습니다. 이는 건설현장 인건비 책정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자료로, 다양한 직군의 임금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설업, 인테리어, 청소업체 등에서 인건비는 주요한 경영 요소로, 매년 노임단가 발표는 업계의 큰 관심사로 떠오릅니다.
이번 상반기 적용 노임단가는 물가 상승과 노동 시장의 변화 속에서 직종별 임금 상승률과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특히 작업반장, 보통인부, 특별인부와 같은 주요 직종의 인건비가 주목받고 있으며, 변화된 임금이 현장 운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살펴보겠습니다.
2025년 상반기 노임단가 개요
- 주요 내용 요약
- 적용 기간: 2025년 1월 1일 ~ 8월 30일
- 전체 직종 평균 임금: 276,011원 (1일 8시간 기준)
- 주요 직종별 일일 노임:
- 작업반장: 213,033원 (+3,084원 상승)
- 보통인부: 169,804원 (+2,723원 상승)
- 특별인부: 221,506원 (+2,185원 상승)
- 임금 산출 방식
- 전국 2,000개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조사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산출.
- 조사 방법: 현장 실사 및 우편, 인터넷 조사 병행.
- 특징
- 전체 직종 평균 임금은 전년도 대비 약 1,725원 상승.
- 고숙련 직종(광전자, 국가유산)은 평균 임금 증가율이 높아 숙련 노동자 수요 증가를 반영.
2025년 상반기 건설업 시중노임단가 주요 변화
전체직종 평균임금 (단위 : 원)
공표일 | 전체직종 평균 | 일반공사 직종 | 광전자 직종 | 국가유산 직종 | 원자력 직종 |
2023.1.1 | 255,426 | 244,456 | 388,623 | 292,142 | 234,019 |
2024.1.1 | 270,789 | 258,359 | 417,636 | 321,713 | 230,344 |
2024.9.1 | 274,286 | 262,067 | 427,059 | 321,129 | 240,045 |
2025.1.1 | 276,011 | 264,277 | 430,013 | 322,178 | 234,847 |
- 작업반장: 213,033원 (전기 대비 3,084원 상승)
- 보통인부: 169,804원 (전기 대비 2,723원 상승)
- 특별인부: 221,506원 (전기 대비 2,185원 상승)
2025년 노임단가 변화와 시사점
- 직종별 상세 분석
- 작업반장: 각 공종의 인부를 지휘하며, 전년 하반기 대비 3,084원 상승해 213,033원을 기록.
- 보통인부: 단순 육체노동 담당자로, 2,723원 상승한 169,804원으로 집계.
- 특별인부: 보통인부보다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며, 221,506원으로 소폭 상승.
- 상승 원인
- 물가 상승률 반영: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증가가 임금 상승에 영향을 미침.
- 숙련 노동력 부족: 숙련도가 필요한 고위험 작업 직종에서 노동력 수요 증가.
- 업계의 대응
- 로봇 및 자동화 도입 확산: 인건비 절감을 위해 AI와 로봇 활용이 늘어나는 추세.
- 임금 격차 조정 필요성: 숙련 노동자와 단순 노동자 간 임금 격차가 심화되며, 정책적 조정 필요.
2025년 상반기 노임단가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는 노동 시장의 구조 변화와 숙련 노동자의 가치 상승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일반공사 직종
번호 | 직종명 | 2025.1.1 (₩) |
1001 | 작업반장 | 213,033 |
1002 | 보통인부 | 169,804 |
1003 | 특별인부 | 221,506 |
1004 | 조력공 | 180,331 |
1005 | 제도사 | 232,099 |
1006 | 비계공 | 279,433 |
1007 | 형틀목공 | 272,831 |
1008 | 철근공 | 264,104 |
1009 | 철공 | 237,754 |
1010 | 철판공 | 219,236 |
1011 | 철골공 | 250,239 |
1012 | 용접공 | 278,326 |
1013 | 콘크리트공 | 266,361 |
1014 | 보링공 | 225,273 |
1015 | 착암공 | 220,081 |
1016 | 화약취급공 | 258,751 |
1017 | 할석공 | 236,986 |
1018 | 포설공 | 216,121 |
1019 | 포장공 | 267,989 |
1020 | 잠수부 | 388,892 |
1021 | 조적공 | 266,624 |
1022 | 견출공 | 243,075 |
1023 | 건축목공 | 277,894 |
1024 | 창호공 | 248,350 |
1025 | 유리공 | 248,139 |
1026 | 방수공 | 220,722 |
1027 | 미장공 | 272,354 |
1028 | 타일공 | 284,337 |
1029 | 도장공 | 253,409 |
1030 | 내장공 | 252,249 |
1031 | 도배공 | 222,618 |
특수 공사 및 기타 직종
번호 | 직종명 | 2025.1.1 (₩) |
5001 | 통신 관련 기사 | 316,183 |
5002 | 통신 관련 산업기사 | 297,137 |
5003 | 통신 관련 기능사 | 244,717 |
5004 | 전기공사 기사 | 327,381 |
5005 | 전기공사 산업기사 | 289,211 |
5006 | 변전전공 | 477,832 |
5007 | 코킹공 | 206,732 |
5008 | 특급품질관리기술인 | 261,200 |
5009 | 고급품질관리기술인 | 212,471 |
5010 | 중급품질관리기술인 | 183,944 |
5011 | 초급품질관리기술인 | 159,901 |
5012 | 플로어링마루시공공 | 253,241 |
5013 | 교통정리원 | 170,990 |
5014 | 철거공 | 264,828 |
5015 | 흙막이공 | 278,476 |
5016 | 전철전공 | 411,319 |
전기공사 직종
번호 | 직종명 | 2025.1.1 (₩) |
2001 | 전기공사 기사 | 327,381 |
2002 | 전기공사 산업기사 | 289,211 |
2003 | 변전전공 | 477,832 |
2004 | 코킹공 | 206,732 |
국가유산 직종
번호 | 직종명 | 2025.1.1 (₩) |
3001 | 국가유산 관리 기사 | 311,263 |
원자력 직종
번호 | 직종명 | 2025.1.1 (₩) |
4001 | 원자력 플랜트 전공 | 226,275 |
4002 | 원자력 용접공 | 215,662 |
4003 | 원자력 기계설치공 | 227,074 |
4004 | 원자력 품질관리사 | 270,376 |
다만, 임금 상승이 노동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효율적인 인력 배치와 기술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이 필요합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노임단가 발표를 기반으로 현장 관리와 예산 수립에 만전을 기하시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건설업 노임 정보 및 트렌드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제공하겠습니다. 😊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 2024년 하반기 정부 노임단가 평균임금
- [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 2024년 상반기 정부 노임단가 평균임금
- [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 2023년 하반기 정부 노임단가 평균임금
- [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 2023년 상반기 정부 노임단가 평균임금
- [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 2022년 하반기 정부 노임단가 평균임금
- [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 2022년 상반기 정부 노임단가 평균임금
출처: 대한건설협회 2025년 상반기 임금실태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