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라이트 출시 겜스고 NFXBUS 막힌 지금 필요한 대안일까?
최근 유튜브를 광고 없이 시청하기 위해 많은 이들이 이용하던 겜스고나 NFXBUS 같은 비공식 우회 서비스들이 연달아 차단되면서 혼란이 컸다. 평소 유튜브를 자주 보는 사람들, 특히 영상 시청이 일상처럼 된 사용자 입장에선 불편함을 넘어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해졌다.
그렇게 각종 커뮤니티와 SNS에서 ‘광고 없이 유튜브를 보는 방법’을 찾는 목소리가 다시 커지고 있는 상황. 이런 가운데 유튜브 라이트라는 새로운 선택지가 등장했다.
유튜브 라이트는 광고 없는 영상 시청만을 목적으로 한 요금제로, 기존 프리미엄보다 저렴하면서도 영상 중간 광고 없이 유튜브를 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안드로이드나 웹에서 월 8,500원, iOS에선 1만900원으로 프리미엄의 절반 수준이다.
대신 음악 콘텐츠 광고는 그대로 나오고, 백그라운드 재생이나 오프라인 저장 같은 기능은 빠져 있다.
겜스고나 NFXBUS처럼 불안정한 우회 서비스를 쓰면서 보안 걱정하거나 업데이트될 때마다 기능 막히는 스트레스를 받아본 사람이라면, 이번 유튜브 라이트 출시는 꽤 반가운 소식일 수밖에 없다. 비용이 들긴 하지만 그만큼 안정적이고 공식 서비스라는 장점이 있다. 특히 프리미엄처럼 음악까지 들을 필요는 없고, 영상만 광고 없이 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더할 나위 없는 구성이다.
사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유튜브 프리미엄만 제공돼 왔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영상만 필요한데도 억지로 음악 서비스까지 함께 구독해야 했다.
그게 싫어서 비공식 서비스를 찾는 경우도 많았는데, 이제는 그런 우회 없이도 원하는 형태의 서비스만 골라 쓸 수 있게 된 셈이다.
게다가 이번 유튜브 라이트 도입은 단순한 상품 출시가 아니다. 공정위와의 협의를 통해 이뤄진 것으로, 가격 동결과 2개월 무료 체험, 총 300억원 규모의 상생 지원책까지 포함돼 소비자 혜택이 적지 않다. 단순히 요금제가 생긴 게 아니라, 소비자의 선택권이 제도적으로 보장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나 역시 겜스고나 NFXBUS를 잠깐 써보다가 막힐 때마다 대안 없을까 고민했던 경험이 있다. 그러다 프리미엄 쓰자니 가격이 부담되고, 결국은 광고를 참아가며 보는 수밖에 없었다.
그런 상황에서 이번 유튜브 라이트는 내 시청 패턴에 딱 들어맞는 서비스가 아닐까 싶다. 음악은 멜론이나 지니 같은 국내 서비스를 따로 쓰고 있고, 백그라운드 기능도 그렇게까지 필요하진 않으니까.
결국 유튜브 라이트는 지금처럼 우회 서비스들이 줄줄이 차단되고 있는 시점에 딱 맞춰 나온 ‘공식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안정성, 가격, 기능 세 가지를 놓고 보면 분명 장단점은 있겠지만, 광고 없는 영상 시청을 원한다면 고민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이제 유튜브도 나에게 맞는 방식으로, 조금 더 똑똑하게 즐길 수 있는 길이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