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리뷰/제품리뷰

소니 A6700 전원 불량, 양천 소니 서비스센터 방문 후기

잡가이버 2025. 9. 1. 14:20
728x90
반응형

자전거 라이딩 촬영용으로 사용하던 소니 A6700이 어느 날 갑자기 전원이 켜지지 않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소니 A6700 전원 불량, 양천 소니 서비스센터 방문 후기

배터리를 완충해도 반응이 없고, 충전기를 연결해도 아무런 불빛조차 들어오지 않으니 순간 멘붕이 오더군요. 혹시 배터리 문제일까 싶어 여분 배터리로 교체해봤지만 마찬가지였습니다. 결국 단순 배터리 이슈가 아닌 본체 전원 회로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습니다.

 

소니 RX100 전원 안켜짐 렌즈고장 전원을 끈 후에 다시 켜 주십시오 수리비용 후기

소니 RX100 전원고장 전원을 끈 후에 다시 켜 주십시오 수리비용 후기제주도로 떠난 여행 중, 제가 애지중지하던 소니 RX100 M1 카메라가 예상치 못한 사고로 망가졌습니다. 삼각대에 고정해둔 카메

jab-guyver.co.kr

다행히 제가 거주하는 지역에서 가까운 소니 서비스센터 양천점(등촌·염창 인근 위치)이 있어 직접 방문하기로 했는데요 기존에 소니rx100 제품 사용시에도 렌즈가 고장나서 전원이 안켜지는 문제로 방문한적이 있었습니다.

소니 서비스센터 접수 과정

먼저 서비스센터는 건물 3층에 위치해 있었고, 평일 점심시간을 피해 방문했더니 대기 없이 바로 접수할 수 있었습니다.

소니 A6700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서비스센터 수리 경험

다행히 직원분께 전원이 전혀 들어오지 않는다고 설명하니, 간단한 점검 후 "배터리 단자 접촉 불량 혹은 전원 보드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고 안내해주셨습니다.

가벼운 단자 접촉 불량이라면 수리비가 10만 원 이하로 끝날 수 있지만, 전원 보드 교체가 필요하다면 20만 원 이상이 나온다고 하시더군요. 순간 수리비가 꽤 나올 수도 있겠구나 싶어 살짝 긴장했습니다.

카메라는 접수 후 약 3일 정도의 점검 기간을 거쳤습니다. 결과는 예상대로 전원 회로 이상이었고, 메인보드 일부 부품 교체가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다행히 전체 보드 교체가 아니라 부분 수리로 가능해서 최종 수리비는 약 18만 원으로 나왔습니다.

만약 메인보드 전체 교체였다면 30만 원 가까이 비용이 나왔을 수도 있다고 해서, 이 정도면 오히려 다행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사용 후기

수리 완료 후 다시 받아든 A6700은 새 제품처럼 정상적으로 작동했고, 배터리 인식도 안정적이었습니다. 무엇보다 영상 촬영 시 전원 불안정 현상이 사라져 안심이 되더군요.

이번 경험을 통해 느낀 점은, 정품 배터리 사용과 주기적인 단자 청소가 전원 문제를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특히 A6700처럼 최신 AI AF와 4K 촬영 기능이 많은 전력 소모를 요구하는 카메라는 작은 접촉 불량도 치명적인 전원 오류로 이어질 수 있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소니 A6700 전원 불량 수리 비용 요약

고장 원인 예상 수리 내용 공식 서비스센터 비용
배터리 단자 접촉 불량 단자 교체/정비 7만~10만 원
전원 회로 이상 보드 일부 부품 교체 15만~20만 원
메인보드 전체 교체 보드 교체 25만~30만 원 이상

 

📌 정리하자면
소니 A6700 전원 불량은 단순 배터리나 단자 문제라면 비교적 저렴하게 끝날 수 있지만, 메인보드 교체까지 가면 중고 시세와 맞먹는 수리비가 나올 수 있습니다. 다행히 제 경우는 부분 수리로 해결되어 큰 비용 부담은 피할 수 있었네요.

소니 A6700 FAQ

촬영 중 발열 경고가 자주 뜨는데 정상인가요?

A6700은 4K 60p·120p 촬영 등 고사양 영상을 장시간 기록할 때 발열 경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동 전원 오프 온도’를 ‘높음’으로 설정하면 꺼짐 현상을 줄일 수 있지만, 내부 발열이 심할 경우 메인보드 손상을 막기 위해 자동 종료됩니다. 지속된다면 냉각 액세서리(외부 팬, 방열 케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메모리 카드가 가끔 인식되지 않습니다

저속 SD카드를 사용하거나 카드 슬롯 단자 오염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V90 이상의 고속 SD카드 사용을 권장하며, 슬롯 불량 시 교체 비용은 약 12만~18만 원 선입니다.

액정이 깜빡거리거나 화면이 나오지 않을 때는?

LCD 패널 또는 플렉스 케이블 단선 문제일 수 있습니다. 케이블 교체 시 약 10만 원, 패널 교체 시 15만 원 이상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부 충격이나 습기에 취약하므로 보관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동 초점(AF)이 느려지거나 오작동합니다

펌웨어 업데이트가 우선이며, 최신 버전에서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AF 모듈 이상 가능성이 있습니다. 센서 정렬 및 AF 모듈 교체는 약 20만~25만 원 정도 비용이 예상됩니다.

마이크 잡음이 심하거나 소리가 녹음되지 않습니다

내장 마이크 회로 불량, 혹은 외장 마이크 단자 접촉 불량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내장 마이크 교체는 약 15만 원 내외, 단자 교체는 7만~10만 원 수준에서 수리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