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KT 소액결제 차단 피해보상, ‘전액 보상’ 원칙과 지금 당장 해야 할 설정

잡가이버 2025. 9. 11. 13:49
728x90
반응형

KT 가입자 일부에서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의 핵심 배경은 미등록 불법 초소형 기지국(일명 가상·유령 기지국) 접속 정황으로 정리되고 있다.

정부는 통신 3사에 신규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을 전면 제한하도록 했고, KT는 확인된 피해 금액에 대해 ‘고객에게 청구하지 않는’, 사실상 전액 보상 방침을 밝혔다. 피해 규모는 9월 10일 기준 278건, 약 1억7천만 원으로 집계됐고, 정부·경찰·민간이 참여하는 민관합동조사단이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책을 진행 중이다. 

이번 사태에서 특히 주목할 부분은 결제 단계에 ARS 인증이 활용된 점이다.

가입자가 모르는 사이 미등록 기지국에 휴대폰이 붙고, 그 과정에서 인증 흐름이 악용돼 콘텐츠·상품권 등 소액결제가 이뤄졌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정부는 SK텔레콤·LG유플러스에도 동일 유형의 위험이 발생할 경우 고객에게 피해 금액을 청구하지 않도록 요청했고, 통신 3사 모두 신규 초소형 기지국 접속을 일괄 차단하는 방어책을 가동했다.

실무적으로는 ‘지금 당장’의 차단과 사후 보상을 모두 챙겨야 한다.

소액결제는 통신사 청구서로 합산되는 전형적인 결제 수단이라, 한도를 0원으로 낮추거나 원천 차단만 해도 대부분의 재피해를 막을 수 있다.

본인확인·ARS 인증 경로도 점검해 불필요한 채널을 잠궈두면 공격 표면을 더 줄인다. KT는 확인된 피해 건에 대해 개별 연락 후 청구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고, 아직 본인 피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고객도 선제적으로 문의·이의제기하면 처리가 빨라진다. 

아래는 실전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기본 설정 경로다. 운영사 앱 버전에 따라 명칭이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원리는 같다

목적 권장설정 설정경로
소액결제 원천 차단 한도 0원 또는 완전 차단 통신사 앱(예: 마이KT) → 결제/소액결제 → 이용한도/차단 →
콘텐츠 이용료 차단 부가결제·콘텐츠 결제 차단 통신사 앱 → 부가/콘텐츠 결제관리 → 차단 설정 →
ARS 인증 보호 ARS 보안번호/안심인증 활성화, 불필요 채널 끄기 통신사/인증앱(PASS 등) → 인증/보안설정 →
본인확인 축소 미사용 본인확인 서비스 해지·중단 통신사 앱 → 본인확인 서비스 관리 →
이상 징후 알림 결제 알림·이상거래 알림 켜기 통신사 앱 → 알림/보안 알림 설정 →

법적 관점에서의 기준도 간단히 짚어두면 대응이 수월해진다.

휴대전화 소액결제는 「전자금융거래법」상 전자지급수단 성격의 거래로 다뤄지며, 이용자가 고의·중과실이 아닌 이상 무단·부정 사용에 대한 손해는 원칙적으로 사업자 측이 부담한다는 큰 틀을 갖는다.

개인정보 처리·보안 관리에 하자가 있었는지 여부는 「개인정보보호법」과 감독기관(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조사 대상이 될 수 있고, 통신망 접속·망 관리 의무는 「전기통신사업법」 및 소관 부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방송통신위원회 지침으로 점검된다.

이번 사건처럼 통신망·인증 경로가 개입된 보안 사고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현장조사, 정부 민관합동조사단, 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수사가 병행된다.

실제로 과기정통부는 이번 사안을 ‘중대한 보안 사고’로 규정하고 통신 3사 전면 점검과 근본 대책을 예고했다. 

보상과 분쟁 절차는 다음의 흐름으로 정리하면 깔끔하다.

첫째, 통신사 고객센터·앱에서 ‘소액결제 이의제기’를 접수하고 무단 결제 내역 전체 취소·차단을 요구한다.

둘째, 통신사 답변이 지연되거나 일부만 반영되면 KISA 118, 방통위 민원센터,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으로 병행 신고해 사건번호를 확보한다.

셋째, 개인정보 침해가 의심되면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신고도 가능하다. 넷째, 금전 회복 지연 시 한국소비자원 또는 분쟁조정기구를 통한 조정을 신청한다.

이번 사안에 대해 KT는 ‘피해 금액 전액 청구하지 않음’을 공언했으므로, 실제 청구서에 반영된 금액이 있다면 즉시 정정·취소를 요구하면 된다. 

이번 사건이 남긴 교훈은 명확하다.

  • 첫째, 인증은 ‘채널 다양화’가 아니라 ‘채널 최소화’가 보안에 유리하다는 것.
  • 둘째, 통신망에 붙는 외부 장비·소형 기지국류는 초기에 광범위 차단 후 화이트리스트로 천천히 풀어야 한다는 것.
  • 셋째, 고객의 무과실 피해는 신속한 전액 보상 원칙을 통해 신뢰를 지켜야 한다는 점이다. 정부는 통신 3사에 신규 초소형 기지국 접속 제한을 지시했고, KT는 피해 고객에게 전액 보상 방침을 밝혔다.

이제 남은 숙제는 ARS 인증 경로의 취약 지점 봉합과, 코어망 접근 통제의 이중·삼중화다. 

마지막으로 개인 체크리스트를 덧붙이자면 소액결제와 콘텐츠 이용료를 오늘 바로 0원·차단으로 바꾸고, 불필요한 본인확인 서비스를 정리하고, 인증앱 알림을 켜두면 된다.

결제 내역서에 낯선 항목이 보이면 통신사 앱에서 이의제기를 누르고 사건번호를 받아두는 습관이 중요하다. 보상은 통신사가 약속했지만, 내 휴대폰의 결제·인증 표면을 최소화하는 건 결국 사용자의 몫이다. 정부와 통신사가 구조적 대책을 내놓는 동안, 우리는 설정 몇 가지로 재피해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