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리뷰/윈도우 Tip

윈도우11 25H2 업데이트 후기 – 업그레이드 전 꼭 확인하세요

잡가이버 2025. 10. 17. 15:33
728x90
반응형
728x170

윈도우11 25H2 업데이트 완전 정리 – 해도 될까?

많은 분들이 지금 딱 이 질문을 하죠. 윈도우11 25H2로 업데이트해도 괜찮을까?

나는 일주일 넘게 실사용해보면서 업무(브라우저 20여 탭, Figma·포토샵, 원드라이브 동기화)와 저녁 시간 게임(배그·디아)까지 평소 루틴 그대로 돌려봤다. 결론부터 말하면 내 경험에선 “올라가길 잘했다” 쪽에 가까웠다. 다만 몇 가지 예상 못 한 자잘한 오류도 있었고, 환경에 따라 체감은 달라질 수 있다

내 장비는 i5-13600K, RTX 4060 Ti, DDR5 32GB, NVMe 1TB, 이전 버전은 윈도우11 24H2였다. 업데이트 경로는 설정의 Windows 업데이트에서 바로 진행했고, ‘활성화 패키지’ 방식이라 다운로드부터 재부팅까지 정말 빨랐다. ISO나 USB를 따로 만들 필요가 없어서 심리적 장벽이 낮다

윈도우11 25H2로 업데이트 직후 가장 먼저 느낀 건 입력 반응과 전환감이다.

윈도우 로그인 화면에서 바탕화면까지 뜨는 속도가 줄었고, 작업표시줄 아이콘이 살아나는 타이밍이 또렷해졌다. 엣지·크롬 탭 대량으로 띄워놓고 앱 전환을 반복해도 미묘하게 걸리던 딜레이가 덜하다.

파일 탐색기에서 큰 폴더 미리 보기, 검색창 응답, 설정 앱 내 검색 속도도 일관되게 빨라졌다. 체감 수치로 말하면 프레임이 10% 오른 느낌이 아니라 “미세한 끊김이 없어져서 하루가 편하다”에 가깝다

디스플레이 쪽도 변화가 있다. 듀얼 모니터 환경에서 HDR 온·오프 전환 시 예전엔 화면이 한 번 크게 ‘깜빡’하고 색온도가 뒤늦게 맞춰졌는데, 25H2에선 전환이 훨씬 매끈하다. 주 모니터 전환이나 케이블 재연결 시에도 바탕화면 재배치가 덜 틀어진다. 게임은 창 모드와 전체화면 전환이 부드러워졌고, 알트탭이 급하게 왔다 갔다 할 때 검은 화면이 길게 남는 일이 줄었다. 프레임 벤치마크상 큰 폭의 향상은 아니어도 체감 안정성은 확실히 나아졌다

블루투스와 오디오 안정성도 이득이었다.

24H2에서 가끔 있었던 무선 이어폰의 첫 연결 지연이 25H2에선 거의 사라졌고, 줌·팀즈 회의 시작 직후 마이크 입력이 잠깐 먹통이던 증상도 보이지 않았다. 외장 SSD 인식 속도는 즉시 반응에 가까워졌고, 대용량 복사에서 진행률이 멈춘 듯 보이다가 한 번에 치고 올라가는 ‘지연 표시’가 덜하다

물론 장점만 있었던 건 아니다.

첫날 원드라이브가 로그인 루프를 보이면서 탐색기 권장 섹션이 비어 있는 문제가 있었는데, 계정 연결을 한 번 끊고 다시 로그인하니 해결되었다.

둘째 날엔 Microsoft Store가 열리자마자 닫히는 현상이 발생해서 wsreset으로 캐시를 비우고 재부팅하니 정상화됐다. 프린터는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잡히긴 했지만, 기본 프린터가 임의로 바뀌는 현상이 두 번 있었고, 설정에서 “Windows에서 기본 프린터 관리” 옵션을 끄고 수동으로 고정하니 그 이후로는 안정적이었다.

절전·절전해제 루틴은 내 데스크톱 기준으론 문제 없었지만, 노트북에서 Modern Standby를 강하게 쓰는 분들은 절전 정책을 한번 점검하는 걸 추천한다

많이들 궁금해하는 성능 체감은 ‘전부가 빨라졌다’라기보다 ‘자잘한 지연이 정리됐다’에 가깝다.

앱 첫 실행 속도가 눈에 띄게 단축된 건 아니지만, 여러 창을 넘나들 때 체감이 깔끔해졌다. 영상 편집에서 타임라인 스크럽이 미세하게 덜 끊기고, 4K 미리 보기에서 드랍이 줄었다.

게임에선 평균 FPS 수치보다 프레임 타임이 안정되는 쪽이라 화면이 더 조용해 보인다. 팬 소음도 급가속 구간이 줄어 체감상 ‘조용해진’ 느낌이 있다

25H2에서 달라진 점을 사용자 관점으로 정리해보면, 가장 큰 축은 안정성·응답성 개선과 함께 AI 보조 기능이 실사용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는 것. 파일 탐색기 우클릭에서 이미지 배경 제거·개체 지우기 같은 간단 편집을 바로 부를 수 있고, 문서는 열지 않고도 요약을 볼 수 있어 작은 업무들이 빠르게 끝난다.

설정 앱은 검색 정확도가 높아져 원하는 토글을 찾는 시간이 줄었고, 배터리·전력 관련 옵션은 ‘에너지 절약’ 축이 더 명확해져 노트북에서 체감이 좋다. 엔터프라이즈 쪽 이야기를 빼더라도, 최신 공유기·드라이버 조합에서 네트워크 전환과 재연결 신뢰성이 좋아져 집·회사 오가며 쓰는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업데이트를 망설이는 분들이 가장 걱정하는 건 호환성과 되돌리기다.

내 경험으론 윈도우11 24H2 최신 상태였다면 25H2로 넘어가는 과정이 빠르고, 문제 생겨도 되돌릴 선택지가 명확하다.

다만 오래된 주변기기(구형 프린터·오디오 인터페이스·특수 입력장치)는 제조사 드라이버를 수동 설치해야 깔끔하게 동작한다.

업데이트 후엔 그래픽 드라이버를 ‘클린 설치’로 한 번 갈아주고, 저장소 센터에서 이전 Windows 설치 파일을 정리하면 자리도 넉넉해지고 이후 누적 업데이트 속도도 유지된다. 업무 PC라면 시스템 이미지 하나를 먼저 떠두고 주말에 적용하는 방식이 정신 건강에 제일 좋다

정리하면, 윈도우11 25H2는 “올라가면 일상이 덜 거슬리는” 업데이트다. 반응성이 고르게 개선돼 하루 종일 창을 많이 띄워 쓰는 사람일수록 차이를 느낄 확률이 높고, 듀얼 모니터·무선 이어폰·외장 SSD를 자주 쓰는 환경이라면 체감 효용이 더 크다.

반대로 구형 주변기기를 꼭 써야 하거나, 특수 소프트웨어의 인증/드라이버 정책이 까다로운 환경이라면 백업 후 단계적으로 진행하는 게 안전하다. 질문으로 돌아가서 “업데이트해도 괜찮을까?”에 대한 내 답은 이렇다.

최신 드라이버와 평범한 주변기기 구성이라면 지금 올라가도 좋다. 문제없는 하루를 보장하진 못하지만, 내겐 작업이 매끈해지고 신경 쓸 일이 줄어든 쪽이 더 컸다. 그리고 그게 운영체제 업데이트에서 내가 기대하는 거의 전부다.

윈도우11 25H2 자주 묻는 질문(FAQ)

윈도우11 25H2 업데이트하면 기존 프로그램은 다 유지되나요?

네, 25H2는 ‘활성화 패키지(Enablement Package)’ 기반이라 클린 설치가 아닌 이상 기존 앱과 데이터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윈도우11 24H2에서 23H2 버전으로 되돌리는 방법

윈도우11 24H2 -> 23H2 버전으로 되돌리는 방법윈도우11 24H2 버전으로 자동 업데이트된 후, 일부 사용자들이 성능 저하, 호환성 문제, 특정 프로그램 충돌 등의 이유로 이전 버전(23H2)으로 되돌리기를

jab-guyver.co.kr

다만 일부 오래된 프로그램(예: 구버전 프린터 유틸리티나 오디오 인터페이스)은 초기 실행 시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거나 드라이버 재설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25H2에서 갑자기 블루스크린(BSOD)이 생겼다는 후기도 있던데 사실인가요?

테스트 환경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은 그래픽 드라이버 호환 문제가 원인입니다.

25H2 설치 후 DDU(드라이버 제거 툴)로 이전 드라이버를 완전히 삭제하고 최신 버전으로 클린 설치하면 대부분 해결됩니다.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보고된 블루스크린 원인은 거의 없습니다.

게임 성능은 실제로 올라가나요?

평균 FPS 자체보다 프레임 타임(프레임 간격)이 안정화된 게 특징입니다.

즉, 수치보다 화면 움직임이 더 부드럽게 느껴집니다. 특히 배틀그라운드나 오버워치, 디아블로4 같은 DX12 기반 게임에서 잔렉이 줄었다는 체감이 많습니다. 단, 그래픽 드라이버를 최신으로 유지해야 효과가 명확합니다.

노트북에서 배터리 효율은 어떤가요?

윈도우11 25H2는 에너지 절약 모드가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단순히 화면 밝기를 줄이는 수준이 아니라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줄이고 GPU 부하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동작합니다.

실제 측정 시 배터리 사용 시간이 평균 7~10%가량 늘어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HDR 모니터에서 색감이나 밝기가 변했다면?

25H2부터는 HDR 토글이 개선되어 전환 시 깜빡임이 줄었지만, 일부 모니터에선 감마가 살짝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 > HDR에서 “색상 보정” 옵션을 한 번 껐다가 켜면 정상 복구됩니다.

업데이트 후 탐색기가 느려졌어요. 왜 그럴까요?

업데이트 직후에는 파일 인덱싱 재구성 과정이 진행됩니다.

이때 탐색기 반응이 느려질 수 있지만 보통 하루 내에 자동으로 정상화됩니다. 만약 며칠이 지나도 개선되지 않는다면, ‘Windows 검색 인덱서’ 서비스 재시작이 도움이 됩니다.

업데이트 후 스토어가 열리지 않아요

스토어가 열리자마자 닫히는 경우 wsreset 명령어로 캐시를 비운 뒤 재부팅하면 대부분 해결됩니다.

그래도 안 되면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열고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세요.

Get-AppxPackage -allusers *WindowsStore* | Foreach {Add-AppxPackage -DisableDevelopmentMode -Register "$($_.InstallLocation)\AppxManifest.xml"}

윈도우11 25H2 업데이트 후 롤백이 가능한가요?

가능합니다.

업데이트 후 10일 이내에는 Windows.old 폴더를 통해 바로 이전 버전(24H2 등)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Windows.OLD 삭제 윈도우 백업파일 폴더제거

Windows.OLD 삭제 윈도우 백업파일 폴더제거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하다 보면 불 필요한 파일도 설치되고 그중에서 용량이 제법 커서 눈에 거슬리는 파일들이 간혹 있습니다.

jab-guyver.co.kr

10일이 지나면 해당 폴더가 자동 삭제되므로, 장기 테스트가 필요하다면 시스템 이미지 백업을 만들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구형 장비에서도 업데이트해도 괜찮을까요?

8세대 인텔이나 3세대 라이젠 이상이라면 큰 문제 없이 돌아갑니다.

다만 TPM 2.0 미탑재 보드나 레거시 BIOS 장비는 수동 설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속도보다는 안정성이 중요하다면 SSD를 NVMe로 바꾸는 것만으로도 25H2 환경이 훨씬 쾌적해집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