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TA5 100% 클리어 세이브 파일 저장위치

잡가이버 2020. 12. 5.
반응형

GTA5 100% 클리어 세이브 파일 저장위치

GTA5를 보다 재밌게 즐기기 위해서는 모든 시나리오 모드를 100% 클리어를 해야 모든 기능이 해제됩니다.

GTA5의 방대한 맵과 자동차 탈 것 그리고 무기까지 모두 해제된 세이브 파일을 이용해 기존에 사용하던 세이브 파일을 백업해서 보관 후 교체합니다.

GTA5 100% 클리어 세이브 파일 저장위치

GTA5 세이브 저장파일 위치 

내문서 > Rockstar Games > GTA V >Profiles > 개인고유폴더

GTA5를 설치 후 무조건 한번 플레이 한 다음 저장을 해야 위 저장폴더가 생성됩니다.

이후 기존에 있던 개인고유 폴더를 백업 후 아래 100% 클리어한 저장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GTA5 세이브 파일 차량 및 도전과제 100%.zip
0.52MB

해당 파일을 압축 해제 후 GTA5 세이브파일 위치에 넣어줍니다.

이후 GTA5를 다시 실행하면 100% 클리어한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GTA5 실사 그래픽 패치 및 트레이너 및 치트키를 이용하는 방법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FAQ

Q: GTA5 세이브 파일은 어떤 경우에 교체해도 문제가 없나요?
A: 반드시 GTA5를 최소 1회 실행하고 저장한 뒤에만 교체하세요. 그렇지 않으면 Profiles 폴더가 생성되지 않거나, 교체한 세이브 파일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세이브 파일을 덮어쓰기 전에 반드시 기존 세이브 파일을 백업해야 추후 문제가 생겼을 때 복구할 수 있습니다.

Q: 개인 고유 폴더 이름이 여러 개인데 어떤 걸 선택해야 하나요?
A: Documents\Rockstar Games\GTA V\Profiles 경로 아래에 존재하는 폴더 중, 영문+숫자로 구성된 이름의 폴더가 실제 유저 데이터가 저장되는 고유 프로필 폴더입니다. 일반적으로 하나만 존재하지만, 여러 개일 경우 최근 저장된 날짜 기준으로 확인하면 됩니다.

Q: 세이브 파일이 적용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은?
A: 세이브 파일을 넣고 게임을 실행했는데 적용되지 않는다면,

  • 세이브 파일 이름이 올바른지 (SGTA5000, SGTA5001 등)
  • 게임 버전이 맞는지 (예: 스팀, 에픽, 락스타 런처 버전)
  • 파일이 손상되지 않았는지
  • 클라우드 저장 기능이 기존 파일을 덮어쓰지 않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클라우드 기능을 꺼두고 시도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Q: GTA5 세이브 파일을 교체하면 도전과제나 트로피는 자동으로 달성되나요?
A: 아니요. 저장 파일 내에서 해당 콘텐츠를 모두 클리어한 상태는 되지만, 스팀 도전과제나 콘솔 트로피는 저장 파일 교체만으로는 달성되지 않습니다. 이는 계정 연동과 내부 조건 체크 방식 때문입니다.

Q: 세이브 파일 적용 후 온라인 모드에 영향이 있나요?
A: GTA5 저장 파일은 오프라인(스토리 모드)에만 적용되며, 온라인 모드(GTA Online)와는 완전히 별개입니다. 세이브 파일을 교체해도 온라인 캐릭터, 자산, 랭크 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Q: GTA5 실사 그래픽 패치나 트레이너를 함께 사용해도 되나요?
A: 가능합니다. 다만 트레이너나 모드 적용 시에는 세이브 파일과 충돌이 생기지 않도록 모드 적용 순서와 호환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일부 트레이너는 자동 저장을 변경하거나 세이브 파일을 덮어쓸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Q: PS4/PS5나 엑스박스용 GTA5에도 세이브 파일을 옮길 수 있나요?
A: PC 버전에서 제공되는 세이브 파일은 콘솔과 호환되지 않습니다. 콘솔에서 저장 데이터를 외부에서 조작하려면 별도의 장비(예: Save Wizard)나 루팅된 기기가 필요하며, 이는 정책 위반으로 계정 정지 위험이 있습니다.

Q: GTA5 세이브 파일을 백업하려면 어떤 파일을 저장해두면 되나요?
A: Documents\Rockstar Games\GTA V\Profiles\고유폴더명 폴더 전체를 압축 저장하거나 별도 드라이브에 복사해두면 됩니다. 해당 폴더 안에 SGTA5000, SGTA5001 등 이름의 파일이 핵심 저장 데이터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