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 공유폴더 오류 - 연결 안될때 해결방법
컴퓨터 네트워크 공유폴더 연결 오류? 갑자기 안 될 때 확인해야 할 설정들
회사나 가정에서 컴퓨터끼리 파일을 주고받기 위해 공유폴더를 설정해두는 경우가 많죠.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공유폴더 접속이 안되거나, 연결 자체가 끊기는 경험 한 번쯤 있으셨을 거예요. 저도 윈도우10과 윈도우11을 오가며 네트워크 공유가 안 될 때마다 꽤 당황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보통 이런 문제는 복잡한 원인보다 단순한 설정 하나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네트워크 연결 상태부터 방화벽 설정, 공유 권한, 프로토콜 설치 여부 등 체크해야 할 항목이 은근히 많거든요. 특히 네트워크 프로필이 '공용'으로 되어 있거나, Guest 계정이 비활성화되어 있을 때 공유가 막히는 사례도 많고요.
노트북 IP주소 확인방법 - PC충돌 네트워크 연결확인 및 아이피주소 변경
노트북 IP주소 확인방법 - PC충돌 네트워크 연결확인 및 아이피주소 변경 데스크탑 PC 및 노트북 등 컴퓨터 IP주소 확인하는 방법으로 윈도우11, 및 윈도우10, 윈도우8 모두 동일하게 각각 IP주소를
jab-guyver.co.kr
윈도우에서 공유폴더 연결이 안 될 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원인과 함께, 실질적으로 효과 있었던 해결 방법과 설정 팁들을 하나씩 정리해봤습니다. 네트워크 연결 오류로 골치 아픈 상황이라면, 아래 체크리스트를 따라 한 번씩 점검해보세요. 생각보다 간단하게 해결될 수 있습니다.
윈도우 공유폴더 오류, 네트워크 연결 안될 때 이 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컴퓨터 네트워크 공유상태 확인
컴퓨터 끼리 네트워크 연결이 안된다면 연결된 상태를 ip주소를 통해 ping 명령어를 사용해 확인합니다.
명령프롬프트를 통해 현재 pc의 ip주소를 확인합니다.
명령프롬프트 실행 후 ipconfig /all 입력 후 엔터를 눌러주면 IPv4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보 | 항목설명 |
호스트 이름 (Host Name) | 컴퓨터의 호스트 이름, 일반적으로 컴퓨터 이름을 나타냅니다. |
주된 DNS 접미사 | 컴퓨터가 사용하는 DNS(Domain Name System) 서버의 주된 도메인 접미사를 나타냅니다. |
노드 유형 (Node Type) |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노드 유형을 표시하며, 주로 "혼합" 또는 "하이브리드"가 표시됩니다. |
IP 라우팅 활성화 | IP 라우팅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
WINS 프록시 활성화 | Windows Internet Name Service (WINS) 프록시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
이더넷 어댑터 (Ethernet Adapter) 정보 |
물리적 네트워크 어댑터(일반적으로 이더넷)에 대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
IPv4 주소 (IPv4 Address) | IPv4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나타냅니다. 컴퓨터가 사용 중인 IPv4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IPv6 주소 (IPv6 Address) | IPv6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나타냅니다. 컴퓨터가 사용 중인 IPv6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HCP 활성화 여부 |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
DHCP 서버 | DHCP 서버의 IP 주소를 표시하며, 컴퓨터가 DHCP로 구성되어 있을 때 해당 서버를 식별합니다. |
DNS 서버 | 사용 중인 DNS 서버의 IP 주소 목록을 제공합니다. |
무선 LAN 어댑터 (Wireless LAN Adapter) 정보 |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에 대한 정보 표시합니다. |
이 IPv4 주소를 메모 후 다른 클라이언트 PC에서 명령프롬프트를 실행 후 Ping 명령어를 통해 서버PC의 IPv4 주소를 입력합니다.
예) PING 192.168.0.1
이런식으로 명령프롬프트를 실행 후 네트워크 연결이 안되는 PC의 IP주소를 입력해서 PING IP주소 입력해서 패킷이 전송이 되는지 손실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PING 명령어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이 되는데 불구하고 네트워크 공유가 안된다면 방화벽 및 인바운드 아웃바운드를 통해 상대PC의 방화벽포트를 해제해 주느것이 좋습니다.
윈도우10 포트열기 - 방화벽 포트해제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윈도우10 포트열기 - 방화벽 포트해제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라이센스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방화벽 차단되어 실행이나 로그인이 제한되는 경우
jab-guyver.co.kr
윈도우 컴퓨터 원격 데스크톱 포트변경 - 네트워크 방화벽 해제
컴퓨터 원격 데스크톱 포트 변경 및 네트워크 방화벽 해제 윈도우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노트북과 데스크탑 PC 사용자를 위해, 보안을 강화하고 네트워크 연결을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원격
jab-guyver.co.kr
자주 묻는 질문 FAQ
Q. 공유 폴더에 접근하려고 하면 "사용 권한이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 오류는 대부분 공유 폴더의 보안 권한 설정이 ‘Everyone’으로 되어 있지 않거나, 사용자 계정이 폴더 접근 권한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 폴더 우클릭 > 속성 > [공유] > 고급 공유 > 권한 > 'Everyone' 추가 후 읽기 또는 읽기/쓰기 권한 부여
- 보안 탭에서도 동일한 권한 추가 필요
Q. 공유된 폴더는 보이는데 더블 클릭하면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라고 나와요.
이 경우는 네트워크 인증 문제일 수 있습니다.
‘암호 보호 공유’를 끄거나, 접속 대상 PC에 동일한 사용자 계정/비밀번호로 로그인 시도해보세요.
-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고급 공유 설정]
→ ‘암호로 보호된 공유 끄기’ 선택 - 또는, 대상 컴퓨터에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비밀번호로 동일하게 설정해 접속
Q. 네트워크 컴퓨터가 목록에 아예 안 뜹니다. 검색도 안 돼요.
이럴 경우 가장 흔한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 네트워크 검색 기능 꺼짐
- Windows 기능 중 SMB 1.0 프로토콜 비활성화
- 작업 그룹이 서로 다름
해결법
- 서비스(services.msc) > ‘Function Discovery Provider Host’ 및 ‘Function Discovery Resource Publication’ 두 서비스 모두 자동 및 실행 중으로 설정
-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SMB 1.0/CIFS 파일 공유 지원 활성화
- 두 컴퓨터 모두 동일한 작업그룹 이름(예: WORKGROUP) 사용
Q. 공유 폴더를 설정했는데, 윈도우 재부팅 후에 연결이 끊깁니다.
이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자동 연결 설정이 되어 있지 않거나, 공유 폴더의 PC가 먼저 켜지지 않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공유 드라이브 연결 시 ‘다시 시작할 때 다시 연결’에 체크
- 또는, 공유 폴더를 Windows 시작 시 자동 실행 스크립트(batch 파일)로 등록
Q. PING은 되는데 공유 폴더 접속이 안 됩니다. 이유가 뭘까요?
이건 방화벽이 포트를 막고 있거나, 파일 및 프린터 공유 기능이 꺼져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점검할 것
- 대상 PC에서 [제어판 > 고급 공유 설정] >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 확인
- Windows Defender 또는 타 백신의 방화벽 예외 규칙에서 TCP 445, 139 / UDP 137, 138 포트 허용 설정
Q. 공유 폴더 연결 시 자꾸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요구합니다.
이는 게스트 계정 비활성화 상태이거나, 익명 접근이 차단되어 있는 경우 발생합니다.
- [로컬 보안 정책 > 로컬 정책 > 보안 옵션]
→ ‘로컬 계정의 공유 및 보안 모델’을 ‘클래식 - 로컬 사용자 인증만 허용’으로 변경 - 또는, 접속 대상 PC에서 게스트 계정 활성화
Q. 공유 폴더 설정 다 했는데도 엑세스가 안 되면?
마지막으로 다음 순서로 점검해 보세요.
- 고급 공유 설정 모두 ON인지 확인
- 방화벽 해제 or 예외 설정
- 같은 작업 그룹인지 확인
- Guest 계정 활성화
- 네트워크 프로필이 ‘개인’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
'IT 리뷰 > 인터넷 공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기어 공유기 설치 RAX10 인터넷 와이파이 속도 5배 빨라짐 (0) | 2025.03.28 |
---|---|
노트북 무선 유선 인터넷 안될때 랜카드 설치방법 (0) | 2025.03.26 |
공유기 회사별 관리자설정 주소 및 포트포워드 (0) | 2025.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