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리버 다운로드 및 오디오 설정 설치방법 - DAC DSD
제이리버 다운로드 및 오디오 설정 설치방법 - DAC DSD
J.River Media Center는 하이파이 엔스러머 및 오디오 열렬 애호가들이 네트워크 플레이어 환경을 구축하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음악 재생 플레이어입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PC-FI(퍼스널 컴퓨터 기반 하이파이) 세계에서 널리 알려진 도구 중 하나로, 높은 음질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음악 감상 경험을 한층 더 향상시켜 줍니다.
기능 및 특징 | J.River Media Center | Foobar2000 |
사용자 인터페이스 | 직관적이고 친화적 | 매우 가볍고 사용자 설정에 따름 |
음악 라이브러리 관리 | 풍부한 기능과 관리 용이함 | 기본적인 관리 기능 제공 |
음질 지원 | 다양한 포맷 및 해상도 지원 | 다양한 포맷 및 해상도 지원 |
DSP 및 오디오 효과 | 다양한 DSP 및 오디오 효과 | 플러그인을 통한 확장 가능 |
네트워크 스트리밍 및 서버 지원 | 통합된 스트리밍 및 서버 기능 | 기본적인 스트리밍 지원 |
MQA 스트리밍 지원 | 타이달 MQA 스트리밍 지원 | 추가 플러그인으로 가능 |
사용자 설정 및 확장성 | 다양한 설정 및 확장 기능 | 플러그인을 통한 다양한 확장 가능 |
가격 및 라이센스 | 무료 체험판 및 구매 라이센스 | 무료 사용 가능 |
운영체제 지원 | Windows, macOS | Windows, macOS, Linux |
오디오 애호가들이 네트워크 플레이어를 선택할 때 주로 제이리버 미디어 센터와 Foobar2000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요 특히 J.River Media Center는 풍부한 기능과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많은 사용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타이달 우회 저렴하게 3천원대 결제방법 - 겜스고 프로모션 할인코드
타이달 고음질 음악을 3천원에? VPN 없이 겜스고로 저렴하게 이용하는 법고음질 스트리밍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는 타이달(TIDAL)은 여전히 음악 애호가들 사이에서 최고의 음질을 자랑하는 플랫폼
jab-guyver.co.kr
특히 최근에는 타이달의 MQA(Master Quality Authenticated) 스트리밍을 완벽하게 지원하여 고음질 오디오 스트리밍을 편리하게 즐길 수 있게 되어, 많은 오디오 열렬 애호가들이 J.River Media Center를 선택하고 활용하고 있습니다.
J.River Media Center는 다양한 기능과 설정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음악 감상 환경을 맞춤화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다운로드한 음악 파일을 손쉽게 관리하고, 음원 라이브러리를 정리하며, 다양한 음질 포맷을 지원하는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J.River Media Center는 네트워크 스트리밍, CD 재생 및 미디어 서버 등의 기능도 통합하여 제공하므로, 모든 음악 관련 작업을 한 곳에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는 신규 사용자들도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음악 감상을 좀 더 즐겁게 만들어줍니다.
항목 | DAC (Digital-to-Analog Converter) | DSD (Direct Stream Digital) |
정의 | 디지털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 또는 회로 | 소니와 필립스가 개발한 고해상도 오디오 포맷 |
역할 | 디지털 음원을 실제 스피커로 들을 수 있게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 | 고음질 음원을 저장하는 방식(샘플링 포맷) |
관련 하드웨어 | 오디오 인터페이스, USB DAC, 앰프 내장 DAC 등 | DSD 포맷 재생을 지원하는 DAC 필요 |
지원 포맷 | PCM, DSD, MP3, WAV 등 다양한 오디오 포맷 | DSD64, DSD128, DSD256, DSD512 등 |
음질 특성 | 사용하는 칩셋과 회로 설계에 따라 달라짐 | 아날로그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고음질 재생 |
장점 | 다양한 음원 포맷 지원, 출력 품질 조절 가능 | 고샘플링율로 인해 노이즈 적고 해상도 우수 |
단점 | 고음질 DAC일수록 가격 상승, 설정 복잡 가능 | 파일 용량 큼, 재생 환경 구성에 제약 많음 |
사용 목적 | 디지털 음원을 고품질로 감상하기 위한 장치 | 고해상도 음원 저장 및 재생용 포맷 |
대표 제품 | iFi Audio, FiiO, Chord, RME 등 | DSD 음원: Native DSD, Blue Coast Records 등 |
호환성 | 대부분의 기기에서 사용 가능 | 전용 재생 환경 필요 (JRiver, Foobar + DSD 지원 DAC 등) |
더 나아가서, J.River Media Center는 강력한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기능을 제공하여 음악의 품질을 개선하거나 음색을 조절하는 등의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J.River Media Center의 다운로드와 설정은 간단한 절차를 따르기만 하면 되며 제이리버 체험판을 다운로드 후 한 달 동안의 체험 기간을 통해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충분히 테스트하고, 만족한다면 라이선스를 구매하여 더 많은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J.River Media Center는 PC-FI 환경을 구축하여 음악을 최상의 품질로 즐기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완벽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플레이어, 다양한 기능,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MQA 스트리밍 지원 등의 장점으로 많은 오디오 애호가들에게 사랑받고 있으며, 개인의 음악 감상 경험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최고의 선택 중 하나입니다.
J.River Media Center 사용준비
제이리버의 경우 J.River Media Center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사용 전에 먼저 한 달의 체험판을 이용해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 후 라이선스를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에 맞게 다운로드한 후 설치합니다. Windows, macOS, Linux 운영체제를 지원하며, 64비트 Windows 10, 8, 7도 지원됩니다.
처음 사용할 때 한글로 변경해 주세요. 언어 설정은 "도구" - "언어" - "한국어"로 변경합니다.
만약 한글설정 파일이 없다면 아래 압축파일을 다운로드 후 압축해제 후 제이리버 언어폴더안에 넣어줍니다.
음악 라이브러리 설정
라이브러리 구성: 음악 파일이 저장된 폴더를 라이브러리로 구성해야 합니다.
"도구" 메뉴에서 "가져오기"를 선택합니다.
미디어 가져오기 창에서 음악 파일이 저장된 폴더를 지정하고 네트워크 주소나 찾기를 통해 NAS에 저장된 음악 파일도 라이브러리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는 오디오 장치에 따라 설정이 다릅니다.
설정 항목 | 위치 | 설명 | 권장 설정 예시 |
출력 모드 | 도구 → 옵션 → 오디오 | 사용하는 오디오 장치 방식 설정 (직접/전달 방식) | WASAPI (USB DAC 사용 시) / DirectSound (일반 스피커) |
출력 장치 선택 | 도구 → 옵션 → 오디오 | 실제 음성 출력 장치 선택 | DAC 기기명 or 기본 스피커 선택 |
DSP & 출력 형식 | 도구 → 옵션 → DSP & 출력 형식 | 샘플링레이트, 비트수, 업샘플링 등 조정 | DAC 스펙에 맞춰 DSD/PCM 선택 (예: 24bit / 192kHz) |
볼륨 모드 | 도구 → 옵션 → 오디오 | 볼륨 제어 방식 (내부/윈도우/없음) | 내부 볼륨 (고해상도 음원 제어 정확도↑) |
DSD 출력 형식 | 도구 → 옵션 → 오디오 → DSP & 출력 형식 → 출력 인코딩 | DSD 음원 출력 방식 설정 | DSD(DoP) 또는 Native DSD (DAC 지원 여부에 따라) |
음원 라이브러리 폴더 | 도구 → 라이브러리 → 가져오기 | 음악 파일 저장 위치 설정 | 로컬 또는 NAS 경로 지정 |
언어 설정 | 도구 → 언어 | 프로그램 언어 변경 | 한국어 (언어팩 필요 시 수동 설치) |
커버 아트 저장 | 도구 → 옵션 → 파일 태그 | 앨범아트 이미지 저장 방식 | "파일과 함께 저장" 또는 "폴더에 별도 저장" 선택 |
WASAPI 설정 세부 옵션 | 도구 → 옵션 → 오디오 → 장치 설정 | 비동기, 버퍼 크기 조절 등 고급 옵션 | DAC 매뉴얼 참조 후 설정 (보통 기본값 무방) |
일반적으로 스피커 또는 헤드셋을 사용하는 경우 WASAPI 출력모드를 선택하고 스피커 또는 헤드셋의 최대 스펙에 맞게 설정합니다.
USB DAC 및 DSD 재생: DAC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DAC의 지원 스펙에 맞게 설정합니다. 스피커/헤드셋와 DA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WASAPI 출력모드를 선택하고 DAC의 스펙에 맞게 설정합니다.
DSP 스튜디오 설정: 필요한 경우 DSP 설정을 통해 출력 형식과 샘플 속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DSD 재생 설정
DSD 재생 설정은 J.River Media Center에서 DSD 형식의 음원을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입니다.
사용 목적 | 출력 장치 | 출력 방식 (모드) | 샘플레이트 / 비트 | 이퀄라이저 설정 | DSP / 음장 추천 설정 | 비고 |
고음질 음악 감상 (무손실 FLAC/DSD) | USB DAC | WASAPI (Event/Exclusive) 또는 ASIO | 원음 그대로 (Bit-perfect), 또는 24bit / 192kHz | OFF (Flat) 또는 약간의 Bass 보정 | DSP OFF, 업샘플링 OFF | DSD는 DoP 또는 Native 사용 |
팝/락 음악 감상 | 유선 헤드폰 또는 DAC 앰프 | WASAPI 또는 DirectSound | 24bit / 48~96kHz | Bass Boost / Treble 살짝 상승 | Loudness ON, Wide Sound ON | 중저음 강조 EQ 권장 |
영화 감상 / 유튜브 | TV, 사운드바, 일반 스피커 | DirectSound 또는 HDMI 출력 | 24bit / 48kHz | 시네마 프리셋, 대사 강조 | Virtual Surround ON, Dialog Enhance ON | 음성 중심 설정 필수 |
스트리밍 (Spotify, Tidal, Apple Music) | 내장 사운드카드 또는 블루투스 | DirectSound 또는 Bluetooth A2DP | 16bit / 44.1~48kHz | 기본 EQ 또는 Vocal EQ | Normalizer ON, Limiter ON | 버퍼 설정 최적화 필요 |
게임용 설정 (FPS, RPG 등) | 게이밍 헤드셋 또는 DAC | WASAPI Shared / Dolby Atmos | 24bit / 48kHz | Flat 또는 공간감 강조 | 3D Surround ON, Bass Compression OFF | 공간감 우선 설정 |
야간 감상 / 저볼륨 청취 | 이어폰 또는 헤드폰 | WASAPI 또는 DirectSound | 16bit / 44.1kHz | Loudness ON, Vocal Boost | Night Mode ON, Compressor 약하게 | 저음 최소화, 중음 강조 |
오디오 편집 / 마스터링 | 스튜디오 모니터 / 레코딩 DAC | ASIO (전용 드라이버) | 프로젝트에 따라 설정 | EQ OFF (정확성 우선) | DSP OFF, Delay Compensation ON | 비트퍼펙트 출력 필수 |
DSD는 고해상도 오디오 포맷 중 하나로, DAC가 지원하는 경우 더 높은 음질을 제공할 수 있있으며 이에대한 J.River Media Center에서 DSD 재생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알아봅니다.
DAC DSD 재생 설정
- 먼저 DSD 재생을 지원하는 DAC를 사용하고 컴퓨터와 연결합니다.
- J.River Media Center를 실행하고, "도구" 메뉴에서 "옵션"을 선택 후 "오디오"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 WASAPI 출력모드를 선택합니다. 이는 DSD 재생을 위해 권장되는 모드입니다.
- DAC의 DSD 재생 지원 스펙에 따라 출력 형식을 설정합니다.
설정 항목 | 설정 위치 / 조건 | 권장 값 및 설명 | 비고 |
출력 장치 | 오디오 출력 설정 | 사용 중인 USB DAC 장치 선택 | 이름에 "USB" 또는 "ASIO/WASAPI" 포함 |
출력 모드 (Output Mode) | WASAPI, ASIO, DirectSound 중 선택 | WASAPI (Event Style) 또는 ASIO | Bit-perfect 출력용, DSD에 적합 |
DSD 출력 형식 (Encoding) | DSP 또는 출력 형식 → 인코딩 | DoP (DSD over PCM) 또는 Native DSD | Native는 DAC 지원 필요, 일반적으론 DoP 사용 |
샘플링 레이트 / 비트 깊이 | DSP → 출력 형식 또는 오디오 설정 | DAC 스펙에 맞게 설정 (예: 24bit / 192kHz) | DSD는 비압축이라 속도 설정이 중요 |
DSD 파일 유형 | 재생 음원 | DSD64, DSD128, DSD256, DSD512 등 | DAC이 지원하는 최대 DSD 확인 필요 |
PCM → DSD 변환 설정 (업샘플링) | 고급 옵션 / DSP | 비활성화 권장 (권장: 원본 형식 유지) | 일부 고급 DAC에서만 유의미 |
DSP 사용 여부 | DSP 설정 | 가능하면 DSP OFF 또는 최소 사용 | DSD는 DSP 적용 시 PCM으로 변환됨 |
볼륨 조절 방식 | 플레이어 내부 또는 OS | 내부 볼륨 또는 외부 DAC 볼륨 | DSD는 볼륨 조절 시 PCM으로 변환될 수 있음 |
DAC 펌웨어/드라이버 | 제조사 공식 사이트 | 최신 펌웨어/전용 드라이버 설치 필수 | DSD Native 모드 대응 여부 확인 필요 |
호환 플레이어 | JRiver, Foobar2000, Roon 등 | DSD 설정 지원 플레이어 사용 | 일부 앱은 DSD 재생 미지원 (예: VLC 등) |
DSD256 또는 DSD512를 지원하는 경우: "출력 형식"을 체크하고 "출력 인코딩"을 DSD256 또는 DSD512로 설정합니다.
DoP (DSD over PCM)를 지원하는 경우: "출력 형식"을 체크하고 "출력 인코딩"을 DoP로 설정합니다.
DSP 스튜디오 설정: 만약 DSD 재생 시 DSP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면, "DSP & 출력 형식" 섹션에서 관련 설정을 조정합니다.
DSD 파일 재생: J.River Media Center에서 DSD 형식의 음원 파일을 재생하면 설정에 따라 DAC에서 DSD 재생이 이루어집니다.
추가 팁으로 DSD 재생 설정은 DAC의 스펙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DAC 제조사의 지침을 참조하여 올바른 설정을 선택하세요.
DSD 재생 시 출력 형식과 인코딩은 DAC와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하느것이 좋으며 DoP (DSD over PCM)는 일부 DAC에서 더 널리 지원되며, 이를 통해 DSD 형식의 음원을 PCM 신호로 포장하여 재생할 수 있습니다.
DAC 및 J.River Media Center의 설정 변경 시 재생 중지 후 설정을 적용하고 다시 음악을 재생합니다.
DSD 재생 설정은 DAC 및 음원 포맷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정 변경 시 DAC의 지원 스펙 및 권장 사항을 확인하며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의 과정을 따라가면 J.River Media Center를 원하는 환경에 맞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개인의 환경에 따라 설정 방법은 다소 다를 수 있으며, 장비 스펙에 맞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J.River Media Center는 복잡한 설정이 필요하지만 그만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고음질 음악 재생 환경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제이리버 J River Media Center 라이센스 및 인증설정
제이리버 J River Media Center 라이센스 및 인증설정 J River Media Center 라이센스에는 몇 가지 제한이 존재합니다. 첫 등록일로부터 1년 동안 총 10회의 인증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인증 후 약 14일 동안
jab-guyver.co.kr
제이리버 설치 후 실행이 되지 않거나 멈추는 경우
증상: 설치는 완료되었지만 실행 시 화면이 멈추거나 아무 반응이 없는 경우
원인
- 구형 그래픽 드라이버와 충돌
- Windows Defender 또는 보안 프로그램이 차단
- 설치 중 파일 누락
해결 방법
- 그래픽 드라이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 방화벽 및 실시간 보호 예외 목록에 JRiver Media Center 추가
- 제이리버 재설치 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사용
DSD 재생 시 잡음이나 끊김이 발생합니다
증상: DSD 음원 재생 시 화이트노이즈, 찢어짐, 음 끊김 등
원인
- DAC가 DSD256 이상을 지원하지 않음
- WASAPI 설정 오류
- USB 포트 대역폭 부족
해결 방법
- DAC 스펙 재확인 (지원 가능한 DSD 샘플링 확인)
- DoP(DSD over PCM)로 인코딩 변경
- USB 3.0 포트 대신 USB 2.0 포트에 연결해보거나 전용 USB DAC 케이블 사용
DAC 연결 후 인식은 되지만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증상: 제이리버에서 DAC 장치 인식은 되나 음성 출력이 없음
원인
- 출력 장치 설정이 기본값이 아님
- 오디오 장치가 다른 프로그램에서 사용 중
- DSP 스튜디오 필터에서 출력이 막힘
해결 방법
- [도구 → 옵션 → 오디오]에서 정확한 DAC 장치 선택
- 다른 프로그램(예: 브라우저, Zoom 등) 종료
- DSP에서 출력 형식을 "자동" 또는 "DAC 지원 포맷"으로 변경
- 제어판 > 소리 > 기본 장치 설정에서 DAC로 지정
J.River에서 음원이 제대로 분류되지 않고 ‘기타’로 표시됩니다
증상: 음원 파일을 라이브러리에 추가했는데 아티스트나 앨범 정보 없이 묶임
원인
- 메타데이터 태그 누락
- 네트워크 드라이브 파일 권한 부족
- 불완전한 파일
해결 방법
- MP3Tag, Kid3 등 메타데이터 편집 프로그램 사용
- "도구 → 파일 태그 재분석" 실행
- NAS 또는 외부 스토리지에서 읽기 권한 확인
제이리버 체험판 인증 문제로 기능이 잠기거나 종료됩니다
증상: 30일 체험판 사용 중인데 조기 인증 제한 발생 또는 기능 제한
원인
- 체험 기간 중 시스템 시간 변경
- 잦은 재설치로 인해 인증 횟수 초과
- 라이선스 적용 오류
해결 방법
- 시간 자동 동기화 설정 확인
- 공식 지원팀에 인증 횟수 리셋 요청
- 라이선스 키 입력 후, 인터넷 연결 상태에서 인증 재시도
참고: 제이리버는 1년간 10회 인증 가능하며, 동일 PC에서 하드웨어 변경 시에도 인증 횟수가 소모될 수 있습니다.
라이선스 구매 후에도 한글 언어팩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증상: 언어 설정에서 '한국어' 선택했는데 일부 메뉴가 영어로 남아 있음
원인
- 언어팩 파일 미설치 또는 경로 오류
- 오래된 언어팩 파일
해결 방법
- 공식 커뮤니티 또는 사용자 블로그에서 최신 언어팩 다운로드
- C:\Program Files\J River\Media Center XX\Languages 폴더에 언어팩 복사
- 프로그램 재시작 후 '도구 → 언어 → 한국어' 재적용
'IT 리뷰 > 윈도우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멀티부팅 설정 및 삭제 - Windows 7, 8, 10, 11 (0) | 2025.07.10 |
---|---|
음악CD MP3 변환 및 WAV, ALAC FLAC 무손실 음원 저장 (0) | 2025.07.10 |
윈도우10 CD·DVD 굽기 및 부팅디스크 만드는 방법 (6) | 2025.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