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 및 모니터 불량화소 검사 및 고치는 방법
핸드폰 및 모니터 불량화소 검사 및 고치는 방법
최근에 구입한 모니터나 스마트폰의 초기 불량화소는 A/S 정책에 따라 교환이나 환불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불량화소나 미처 발견하지 못한 불량화소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포기하기보다는 안전하게 시도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모니터 불량화소 고치는 방법
모니터나 핸드폰 등 LCD 디스플레이에 불량화소 발생했다면 일반적으로 접점 부분이 불안정하게 닿아서 이상 전압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사용자가 직접 시도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특정 픽셀의 색을 바꿔서 해결하는 것입니다. 또한, 면봉을 사용하여 불량화소 부분을 조심스럽게 문지르는 방법도 있습니다.
1. 모니터 불량화소 해결 방법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는 Jscreenfix 사이트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 해당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 "Launch JscreenFix" 버튼을 클릭합니다.
- 화면에 불량 픽셀이 있는 부분으로 "노이즈" 영역을 드래그합니다.
- 10~30분 동안 실행합니다.
이 방법은 HTML5와 JavaScript를 사용하며, LCD 및 OLED 패널에 모두 효과적입니다. 개발자에 따르면 JscreenFix는 약 60%의 확률로 불량화소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제이스크린픽스는 HTML5와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 도트를 개선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해당 서비스는 물리적 손상으로 인한 불량 화소는 해결할 수 없지만, 결함 도트 재생 비율은 60% 이상이라고 합니다.
2. 스마트폰 불량화소 해결 방법
스마트폰의 경우, Dead Pixels Test and Fix 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Injuredpixels 앱을 사용하여 불량화소를 테스트합니다.
- Dead Pixels Test and Fix 앱을 실행하여 불량화소를 해결합니다.
주의: 스마트폰으로 불량화소를 해결할 때 빠른 번쩍임으로 인해 두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무상 A/S가 가능하다면 이 방법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3. 불량화소의 면봉으로 고치는 법
면봉을 사용해서 모니터의 불량화소를 고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 Nokia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단색을 채운 뒤 검은색 배경으로 변경하여 불량화소를 체크합니다.
- 면봉을 사용하여 불량화소 부분을 여러 번 반복하여 눌러봅니다. (약간의 힘을 줘야 합니다.)
- 1분 정도 문지르면 대부분의 경우 불량화소가 해결됩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사용자가 주의 깊게 시도해볼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이지만, 만약 A/S 기간이 남아 있다면 해당 정책을 우선 고려하는 것이 좋으며 불량화소 제거 시 간혹 번쩍임등이 발생할 수 잇으니 참고하세요
FAQ
Q. 불량화소와 멍, 빛샘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A. 불량화소는 일반적으로 특정 픽셀이 작동하지 않아 점처럼 보이며, 색상이 다르게 표시되거나 아예 표시되지 않습니다.
멍은 화면의 한 부분이 전체적으로 어둡거나 퍼렇게 변색되어 보이는 현상이며, 빛샘은 어두운 화면에서 테두리 쪽에 백라이트가 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Q. 면봉으로 불량화소를 문지르는 건 안전한가요?
A. 일정한 압력으로 조심스럽게 문지를 경우 일시적인 접촉 불량 픽셀에는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과도한 압력은 오히려 픽셀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꼭 소프트한 재질의 면봉을 사용하고 화면에 무리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시도해야 합니다.
Q. JScreenFix나 픽셀 복원 앱은 얼마나 효과가 있나요?
A. JScreenFix, Dead Pixel Fix 등의 앱은 물리적인 손상이 없는 경우에만 효과가 있습니다.
개발자 측의 통계에 따르면 약 60% 정도의 확률로 복구가 가능하다고 하나, 완전한 복구를 보장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일시적인 픽셀 오류에는 효과를 볼 수 있지만, 패널 자체의 결함에는 소용이 없습니다.
Q. 사용 중 생긴 불량화소도 무상 수리가 되나요?
A. 제조사 정책에 따라 다릅니다. 초기 불량은 대부분 무상 교환이 가능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발견된 경우 무상 교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기기 유형 | 불량화소 수리 방식 | 예상 수리비용 | 비고 |
---|---|---|---|
모니터 (일반 LCD) | 패널 교체 | 150,000원 ~ 400,000원 | 보증기간 내 무상 가능성 있음 |
모니터 (무결점 모델) | 패널 교체 | 무상 또는 50,000원 ~ 200,000원 | 1개만 있어도 교환 가능 (조건부) |
스마트폰 (OLED 포함) | 디스플레이 전체 교체 | 250,000원 ~ 500,000원 | AppleCare+, 삼성케어 가입 시 저렴 |
소프트웨어 복원 (JScreenFix 등) | 자가 복구 | 무료 | 효율 약 60%, 영구 복원 불가 |
면봉 수동 복구 | 자가 시도 | 무료 | 접촉불량 픽셀에만 제한적 효과 |
다만, 일부 브랜드는 일정 개수 이상(예: 3개 이상)의 불량화소가 발견되면 무상 패널 교체를 지원하기도 하니, A/S 정책을 꼭 확인하세요.
Q. 스마트폰 화면에서 불량화소가 하나 생겼어요. 교환받을 수 있나요?
A. 애플, 삼성, LG 등 주요 브랜드는 1개 불량화소로는 교환이나 수리를 보장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위치가 중앙이거나 눈에 쉽게 띄는 경우, 또는 타 증상과 함께 있을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므로 공식 서비스센터 방문이 필요합니다.
애플 노트북 모니터 불량화소 잔상 빛샘 검사 테스트
애플 노트북 모니터 불량화소 잔상 빛샘 검사 테스트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PC의 LCD 모니터를 사용하고 있다면 초기 구입 시 불량화소나 빛샘 잔상등이 없는지 확인하느것이 중요합니다. 처음 구
jab-guyver.co.kr
카메라 블랙화소 검사 - 핸드폰 아이폰 갤럭시 DSLR 테스트
카메라 블랙화소 검사 - 핸드폰 아이폰 갤럭시 DSLR 테스트 기존에 카메라 라고 한다면 필름카메라 밖에 없던 시절에서 디지털카메라로 넘어오면서 똑딱이 카메라나 미러리스 DSLR등의 카메라로
jab-guyver.co.kr
'IT 리뷰 > 윈도우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이프 화상캠 마이크 설정 완벽 가이드 – 연결 오류부터 고급 옵션까지 (0) | 2025.05.16 |
---|---|
애플 노트북 모니터 불량화소 잔상 빛샘 검사 테스트 (0) | 2025.05.14 |
StartProcessAsCurrentUser 윈도우11 부팅오류 발생? 해결방법 (1) | 2025.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