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US 아수스 젠스크린 폴드 윈도우 설정과 오류 해결법 총정리 – 실사용 FAQ
ASUS 아수스 젠스크린 폴드(ZenScreen Fold) OLED MQ17QH
폴더블 기술이 스마트폰을 넘어 디스플레이 시장 전반으로 확장되는 가운데, ASUS가 선보인 ZenScreen Fold OLED MQ17QH는 휴대용 모니터의 개념 자체를 새롭게 정의한 제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4년 CES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된 이 폴더블 OLED 모니터는 얇고 가벼운 무게에 17.3인치의 고해상도 화면을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춰, 외부 업무 환경이나 크리에이티브 작업에 최적화된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단순한 '보조 모니터' 수준을 넘어 디자이너, 영상 편집자, 개발자, 게이머 등 다양한 전문가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성능과 활용도를 갖췄으며, 특히 썬더볼트4와 USB-C, mini HDMI 등 폭넓은 연결성과 100% DCI-P3 색역, VESA DisplayHDR True Black 500 인증까지 확보해 전문 작업용 디스플레이로서의 완성도도 매우 뛰어납니다.
ASUS의 ZenScreen Fold OLED MQ17QH는 휴대성을 고려한 휴대용 모니터로써, 17.3인치의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제공합니다.
2560 x 1920의 고해상도와 1.17kg의 가벼운 무게를 조합하여 어디서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ASUS 젠스크린 1080P 15.6인치 1080P (MB166B)
COUPANG
www.coupang.com
아수스 젠스크린 세로 모드 사용 시에는 12.5인치 1920 x 1080 디스플레이가 2대 겹쳐져 있는 듯한 활용이 가능하며, 이는 노트북의 보조 디스플레이로 사용하거나 휴대용 게임용 디스플레이로도 활용 가능한 멋진 디자인입니다.
아수스 젠스크린 ZenScreen Fold OLED MQ17QH는 폴더블 모니터의 휴대성을 정말로 증명하기 위해 완전히 펼쳤을 때의 두께가 9.7mm로, 접었을 때는 12.5인치 휴대용 디스플레이와 유사한 형태로 노트북 가방에 손쉽게 넣을 수 있습니다.
17.3인치 노트북을 들고 다니기에 불편한 상황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이 제품은 어떤 가방에도 편안하게 넣고 다닐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아수스 젠스크린 모니터는 DCI-P3 100%를 충족시키며 VESA DisplayHDR True Black 500을 인증받아 디스플레이 성능도 우수합니다. 전문 그래픽 및 디자이너 작업용으로 충분한 색상 표현력을 제공합니다. 미니 HDMI 단자, 2개의 USB-C 포트, 그리고 헤드폰 잭이 탑재되어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출시일과 가격에 대한 정보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CES2024에서의 평가와 함께 썬더볼트4.0 탑재 등의 추가 기능이 기대되면서 더욱 매력적인 제품으로 소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혁신적인 휴대용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ASUS의 기술력과 디자인 역량을 효과적으로 대변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Windows에서 ZenScreen Fold를 연결했더니 해상도가 이상하거나 비율이 깨져요
ZenScreen Fold OLED MQ17QH는 2560x1920의 비표준 해상도를 갖고 있어, 연결 시 일부 환경에서 자동 인식이 잘못될 수 있습니다.
- 바탕화면 우클릭 → 디스플레이 설정 → 해상도 수동 변경
- 배율 조정도 함께 조절 (예: 125% 또는 150%)
- 그래픽 드라이버(NVIDIA/Intel/AMD)에서 커스텀 해상도 설정 가능
Windows 정품 인증이 안 돼요. ZenScreen과 관련 있나요?
ZenScreen Fold는 모니터 장치이므로 Windows 정품 인증 자체와는 무관합니다.
그러나 USB-C 또는 HDMI 연결 시 하드웨어 ID가 새로 인식되며, 이로 인해 Windows 디지털 라이선스 인증이 일시적으로 해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Windows →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정품 인증 메뉴에서 재인증 시도
- Microsoft 계정에 정품 라이선스가 연동되어 있다면 자동 복구됨
- 인증이 풀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면 하드웨어 변경 기록 초기화를 MS 고객센터에 요청 가능
ZenScreen Fold에서 터치 기능이 안 돼요. 터치 스크린인가요?
ZenScreen Fold OLED MQ17QH는 터치 기능이 없는 모델입니다. 비슷한 이름의 터치 가능한 ZenScreen 모델과 혼동하기 쉬우므로 사양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MQ17QH는 비터치, OLED 폴더블 모델
- MB16AMT, MB14AC는 터치 지원 ZenScreen 시리즈
Windows에서 ZenScreen Fold의 HDR 기능이 자동으로 켜져요
ZenScreen은 VESA DisplayHDR True Black 500 인증을 받았기 때문에 Windows에서 외부 디스플레이로 연결 시 자동으로 HDR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콘텐츠에서 HDR이 효과적인 것은 아니므로 경우에 따라 화면이 어둡거나 색이 과포화될 수 있습니다.
- 디스플레이 설정 → HDR → OFF
- 또는 그래픽 제어판에서 SDR/HDR 밝기 수동 조정
ZenScreen Fold를 세로 모드로 사용하려면 어떻게 설정하나요?
MQ17QH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피벗(세로 회전) 방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Windows에서 수동 회전 설정은 가능합니다.
- 디스플레이 설정 → 방향 → 세로(또는 세로(뒤집힘)) 선택
- 반드시 스탠드 또는 거치대를 활용해 안정적으로 세운 상태에서 사용
- 일부 콘텐츠(예: PDF 리더, 코딩 환경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 가능
ZenScreen Fold와 연결된 노트북 화면과 색감이 너무 달라요
ASUS ZenScreen Fold는 DCI-P3 100% 색역, HDR True Black을 지원하기 때문에 일반 디스플레이보다 훨씬 넓은 색 재현 범위를 가집니다.
이로 인해 듀얼 모니터 사용 시 색상 불일치가 느껴질 수 있습니다.
- Windows → 디스플레이 → 각 모니터별 색상 프로필 조정
- ASUS Color Management 툴 설치
- 노트북 디스플레이를 sRGB 프로필로 강제 적용해 차이를 줄일 수 있음
ZenScreen Fold를 확장 모드로 사용할 때 작업표시줄이 사라져요
윈도우 디스플레이 확장 모드에서 보조 모니터에 작업표시줄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설정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작업 표시줄 우클릭 → 작업 표시줄 설정
- "모든 디스플레이에 작업 표시줄 표시" 옵션 활성화
- 그래도 안 될 경우 → 그래픽 드라이버 재설치 권장
화면이 접힌 후 깜빡이거나 출력이 불안정해요.
폴더블 OLED 패널은 접고 펼칠 때 패널 안쪽 신호선에 물리적 압력이 가해지며 연결 불량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케이블 단자 접촉 불량이 아닌 경우, OLED 패널 자체 문제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 전원을 껐다 켜보거나, USB-C 포트를 바꿔 연결해 보세요. 그래도 문제가 지속되면 ASUS 공식 A/S 센터 방문이 필요합니다.
수리비용: 보증 기간 내 무상. 보증 외 OLED 패널 교체 시 약 40만 원 이상 예상됩니다.
USB-C 연결 시 화면이 나오지 않아요.
일부 USB-C 포트는 단순 충전 포트로, 영상 출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해결 방법: 영상 출력(디스플레이포트 대체 모드, DP Alt Mode)을 지원하는 USB-C 포트인지 확인하고 연결해야 합니다. 가능하면 노트북의 썬더볼트4 포트나 HDMI to mini HDMI 케이블을 사용해보세요.
추가 팁: ASUS 드라이버 센터에서 USB-C 호환성 펌웨어를 최신으로 업데이트해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모니터가 펴진 후 자동 회전이 작동하지 않아요.
ZenScreen Fold는 자동 회전 기능을 내장하고 있지만, 일부 운영체제나 드라이버 상태에 따라 비활성화되기도 합니다.
- 윈도우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 → 방향 고정을 해제
- ASUS DisplayWidget Center 설치 및 센서 활성화
그래도 작동하지 않을 경우 센서 하드웨어 문제일 수 있으며 ASUS 센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수리비용: 센서 교체 시 약 5~8만 원 예상 (보증 외 기준)
화면에 미세한 줄무늬나 픽셀 번짐 현상이 보여요.
OLED 특성상 일부 고정 이미지나 UI가 오래 표시될 경우 번인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윈도우 화면 보호기 설정
- 디스플레이 자동 꺼짐 타이머 활성화
- ASUS OLED Care 기능 사용 (일부 모델 내장됨)
해결 방법: 번인 발생 시 대부분 패널 교체가 필요합니다.
수리비용: OLED 패널 교체 시 40~60만 원 수준 (모델 및 재고 여부에 따라 상이)
화면 색감이 너무 진하거나 붉게 보여요.
ASUS OLED 패널은 기본적으로 DCI-P3 100% 색역을 지원하며, 일부 사용자에게는 색상이 과장되어 보일 수 있습니다.
- Windows → 디스플레이 설정 → HDR 해제
- ASUS Color Management 또는 DisplayWidget에서 색상 모드 조정
- sRGB 또는 Rec.709 색역 모드로 전환해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습니다.
mini HDMI 포트가 느슨하거나 인식이 불안정해요.
휴대용 모니터는 이동 중 사용이 잦아 단자가 헐거워질 수 있습니다.
- HDMI 포트 내부 먼지나 이물질 제거
- 케이블 교체 시 고급형 고정력이 강한 케이블 사용 권장
- 자주 사용하지 않을 경우 USB-C 단자 사용으로 전환 추천
수리비용: mini HDMI 포트 단독 수리는 약 7만~10만 원 수준, 보드 전체 교체가 필요한 경우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ZenScreen Fold가 PC에선 잘 되는데 스마트폰 연결 시 화면이 안 나와요.
스마트폰은 영상 출력 지원 기기만 ZenScreen Fold와 연결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삼성 갤럭시 플래그십은 삼성 DeX 모드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중저가형 모델이나 아이폰은 영상 출력이 제한적입니다.
- 스마트폰이 영상 출력(USB-C DP Alt Mode)을 지원하는지 확인
- 호환 안 되는 기기라면 별도의 HDMI to USB-C 컨버터를 사용해야 함
아수스 젠스크린 폴드 OLED 화면이 켜지긴 하지만 밝기가 너무 낮아요.
일부 사용자들은 제품 연결 후 화면 밝기가 비정상적으로 어둡게 표시된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HDR 모드 또는 자동 밝기 설정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 Windows → 디스플레이 설정 → HDR 기능 끄기
- ASUS DisplayWidget 또는 MyASUS 앱에서 수동 밝기 조정
- USB 전원이 불안정할 경우 밝기가 제한되므로 노트북 어댑터와 연결된 USB-C 포트 사용을 권장
장시간 사용 후 발열이 느껴지는데 괜찮은 건가요?
OLED 패널과 컨트롤 보드는 장시간 사용 시 발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밝기를 최대로 설정하고 고해상도 출력 시 본체 중앙부가 따뜻해지는 현상이 자주 보고됩니다.
정상 범위: 손으로 만졌을 때 미지근~따뜻한 정도는 정상입니다.
- 40도 이상 발열이 지속되면 주변 통풍을 확보
- 방열 효과를 위해 금속 받침대 또는 알루미늄 스탠드 사용 추천
젠스크린 폴드를 맥북과 연결했는데 인식이 안 돼요.
macOS는 USB-C 외부 디스플레이 연결 시 호환성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M1, M2, M3 기반 Mac은 일부 모델만 다중 외부 디스플레이 지원
- "DisplayLink Manager" 드라이버 설치 (HDMI to USB 어댑터 연결 시 필수)
- Thunderbolt 3 이상 포트 사용 필수
화면이 절반만 출력되거나 접힌 상태에서 멈춰 있어요.
화면의 절반만 나오거나 멈춰있는 현상은 접힘 센서 인식 불량 또는 디스플레이 케이블 접촉 이상일 수 있습니다.
-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 다시 전원 연결
- ASUS DisplayWidget에서 디스플레이 확장/복제 설정 재확인
- 그래도 안 되면 ASUS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하드웨어 점검 요청
수리비용: 내부 센서 또는 케이블 불량일 경우 약 10만 원 내외 예상
ASUS ZenScreen Fold 펌웨어 업데이트는 어떻게 하나요?
이 제품은 ASUS에서 제공하는 펌웨어 업데이트로 기능 개선 및 호환성 향상이 가능합니다.
- ASUS 공식 사이트 접속 → [ZenScreen Fold MQ17QH] 검색
- 드라이버 & 툴 → 운영체제 선택
- USB Display Driver 및 펌웨어 항목 확인 후 다운로드
- 설치 시 USB-C로 연결하고 외부 전원도 함께 공급
접힌 채로 보관해도 괜찮을까요?
폴더블 OLED 구조 특성상 접힌 상태로 장시간 보관해도 괜찮지만, 이물질이 끼어 있거나 심하게 눌릴 경우 압력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동봉된 파우치나 전용 케이스 사용
- 사이에 먼지, 케이블, 카드 등을 넣지 말고 화면 보호 천을 덮은 후 접기
패널이 아닌 USB 포트나 보드가 고장 났을 경우 수리는 가능한가요?
가능합니다. USB-C 포트 단독 불량, 메인보드 불량 등은 교체가 가능하지만 단종 이슈가 있는 부품은 수리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USB-C 단자 수리: 약 8만~12만 원
- 보드 교체: 15만 원 이상
- 전체 교체 불가 시 리퍼 제품으로 유상 교환 제안됨
화면이 아닌 사운드 관련 포트가 인식되지 않아요.
3.5mm 오디오 잭 또는 USB-C 오디오 출력을 사용할 때 연결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OS의 기본 오디오 장치를 ZenScreen으로 변경
- USB 허브를 경유하지 말고 본체에 직접 연결
- Windows → 사운드 설정 → 출력 장치 재설정
제품 무게가 가볍다는데 실제로 들고 쓸 수 있을까요?
1.17kg으로 가볍긴 하지만, 한 손으로 들고 장시간 사용은 어렵습니다. 특히 폴더블 구조상 중심이 분산되기 때문에 접이식 스탠드나 테이블 거치 필수입니다.
추천 악세서리
- 17인치 대응 접이식 노트북 거치대
- ASUS ZenScreen 전용 마그네틱 스탠드
서비스센터가 가까이에 없어요. 택배 수리도 가능한가요?
ASUS는 공식 A/S를 위한 택배 접수 서비스도 운영 중입니다.
접수 방법
- ASUS 고객센터(1588-9000) 문의
- 온라인 수리 신청 → 회수 접수 후 택배 발송
- 보증기간 확인 필수, 왕복 택배비는 무상/유상 여부에 따라 결정
인텔14세대 아수스 젠북 14인치 OLED 노트북 추천 - (UX3405MA) 디자인 및 설계용 고사양
인텔14세대 아수스 젠북 14인치 OLED 노트북 (UX3405MA) - 디자인 및 설계용 고사양 아수스가 자랑스럽게 선보이는 고성능 노트북, 아수스 젠북 14인치 OLED 노트북 (UX3405MA)가 여러분을 찾아왔습니다.
jab-guyver.co.kr
아수스 비보북 노트북 - 16인치 RTX4060 캐드 및 동영상편집
아수스 비보북 노트북 - 16인치 RTX4060 캐드 및 동영상편집 안녕하세요! 오늘은 유튜브 동영상 편집 및 디자이너들에게 추천하는 최신 중저가 노트북인 에이수스 비보북 16X에 대해 소개해드리려
jab-guyver.co.kr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IT 리뷰 > 제품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텔14세대 아수스 젠북 14인치 OLED 노트북 추천 - (UX3405MA) 디자인 및 설계용 고사양 (0) | 2025.07.03 |
---|---|
MS 서피스 프로8 SSD 업그레이드 메모리카드 추가 불가 (0) | 2025.07.02 |
QCY 블루투스 이어폰 한쪽 소리나옴 및 충전안됨 초기화 (0) | 2025.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