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스위치 충전 전원 안켜짐 AS 수리비용 후기
닌텐도 스위치 전원불량 원인부터 AS 수리까지
최근 닌텐도 스위치2 출시 소식과 함께 기존 닌텐도 스위치를 다시 꺼내는 사용자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랜 시간 보관했던 닌텐도 스위치를 켜보면 충전이 되지 않거나 전원이 아예 켜지지 않는 문제가 생각보다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배터리 방전, 충전 포트 불량, 메인보드 전원 회로 이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정상 작동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고장은 단순 배터리 문제에서부터 복잡한 하드웨어 수리까지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빠른 원인 파악과 적절한 해결책이 중요합니다.
닌텐도 스위치의 충전 불량과 전원 미작동 문제의 주요 원인부터 자가진단 방법, 수리 절차, 그리고 2025년 기준 최신 수리비용까지 한 번에 정리해보겠습니다.
닌텐도스위치 충전불량 및 전원 안켜짐 해결방법
우선 닌텐도스위치 충전 불량이나 전원 미작동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충전기를 연결해도 배터리가 충전되지 않거나, 충전 중임에도 불구하고 전원이 켜지지 않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충전기를 꽂으면 LED 표시등이 작동하지만 화면은 여전히 깜깜한 상태일 수도 있고, 전원이 아예 켜지지 않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는 배터리 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으며, 메인보드 고장이나 충전 포트 손상 등의 하드웨어 결함이 원인일 가능성도 큽니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먼저 몇 가지 자가 해결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우선 다른 충전기를 사용해보는 것이 좋은 시작입니다. 충전기가 문제라면 케이블이나 어댑터를 교체하는 것으로 문제가 해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전원 버튼을 12초 이상 누르고 있어 강제 재부팅을 시도하는 것으로 시스템 오류로 인해 발생한 일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 닌텐도 게임기의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된 경우라면, 기기를 충분히 오랜 시간 충전한 후 다시 시도하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이런 자가 해결 방법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닌텐도 스위치의 정식 A/S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닌텐도 공식AS 서비스 신청방법

닌텐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수리 접수를 받고 있으며, 고객 지원 페이지에서 간편하게 수리 신청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접수 시 이름이나 주소, 고장 증상 등을 입력하게 되며, 접수 완료 후에는 수리 의뢰표가 발급됩니다.

의뢰표와 함께 기기를 안전하게 포장한 뒤 지정된 주소로 택배를 보내면 됩니다. 이때 우체국 택배를
통해 보내는 것이 안전하며, 닌텐도는 우체국을 지정 택배사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보통 닌텐도 수리 기간은 일반적으로 약 10일 정도 소요되며, 연휴나 성수기에는 더 오래 걸릴 수 있으니 여유를 두고 접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리 진행 상황은 닌텐도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기기가 어느 단계에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닌텐도 무상보증기간 및 수리비용
닌텐도스위치 고장 시 수리 비용은 보증 기간에 따라 달라지는데 닌텐도 스위치의 보증 기간은 구매 후 1년으로, 이 기간 내에 발생한 자체 결함은 무상으로 수리됩니다.

그러나 사용자 과실로 인한 고장, 예를 들어 충전 포트 손상이나 배터리 문제 등은 유상 수리로 처리됩니다. 보증서나 구매일을 증명할 수 있는 영수증을 함께 동봉해야 무상 수리가 가능하므로, 이를 꼭 챙겨야 합니다.
충전 불량이나 전원 문제로 A/S를 신청한 사용자들의 후기에 따르면, 수리 기간이 일반적으로 10일 내외로 소요되며, 수리 후 정상 작동 상태로 기기가 돌아온 경우가 많습니다. 간혹 문제의 원인이 단순한 충전기 불량이나 SD카드 문제였던 경우도 있어, 수리 신청 전에 이런 부분을 먼저 확인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닌텐도 스위치가 충전되지 않거나 전원이 켜지지 않는 상황에서는 무엇보다 공식 A/S를 이용하는 것이 안전하고 확실한 해결책입니다. 공식 수리 서비스를 통해 고장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받고, 빠른 시일 내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닌텐도스위치2 출시 120Hz 및 엔비디아 dlss 3.5 탑재 고성능 게임기
닌텐도 스위치2 새로운 세대의 게임 콘솔 커다란 기대 속에 닌텐도 팬들을 찾아올 닌텐도 스위치2, 2024년 9월 예정 출시일에 대한 소식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새롭게 살펴보겠습니다. 닌텐도스위
jab-guyver.co.kr
개인적으로 사설 수리 센터를 이용하는 경우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닌텐도 정식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FAQ 고장 수리비용
닌텐도 스위치가 충전기를 연결해도 충전 아이콘 자체가 아예 안 뜹니다.
A: 충전 포트 자체의 손상 가능성이 높습니다. 내부 접촉 단자가 휘었거나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 발생합니다.
자가진단
- 충전 단자 내부 이물 확인 (먼지, 금속파편 등)
- 다른 충전기·케이블 연결 테스트
수리방안
- 포트 청소 → 실패 시 포트 교체 필요
예상 수리비용 (유상, 2025년 기준)
- 공식센터: 약 4만~6만원
- 사설수리: 약 3만원 내외 (품질 차이 주의)
충전 중 전원이 갑자기 꺼졌다 켜지거나 재부팅을 반복합니다.
A: 메인보드 전원 IC 불량, 배터리셀 이상, 과전류 충격 등 전원 공급 회로 이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수리방안
- 메인보드 전원 회로 교체
- 배터리 셀 교체 병행 가능성 있음
예상 수리비용
- 공식센터: 약 10만원~15만원
- 사설수리: 7만원~12만원 (부품 품질 확인 필요)
충전 중 또는 부팅 중 ‘부트로고 무한 반복 현상’이 발생합니다.
A: OS 펌웨어 손상, 저장장치 불량, 메인보드 플래시 메모리 불량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수리방안
- 초기화 (복구모드 진입) 시도
- NAND 플래시 메모리 교체
예상 수리비용
- 공식센터: 약 8만~10만원
- 사설수리: 약 6만원 내외
닌텐도 스위치 독 연결 시에는 켜지는데 휴대모드에서는 전원이 켜지지 않습니다.
A: 배터리 자체의 수명저하 혹은 완전 방전된 경우입니다.
수리방안
- 배터리 교체
예상 수리비용
- 공식센터: 약 6만~7만원
- 사설수리: 약 5만원 내외
충전 시 기기가 과열되고 켜지지 않으며 냉각팬 소리가 아예 안 납니다.
A: 쿨링팬 불량, 메인보드 센서 불량, 써멀패드 열화 등이 원인입니다.
수리방안
- 냉각팬 교체
- 써멀패드 교체 및 내부 청소 병행
예상 수리비용
- 공식센터: 약 3만~4만원
- 사설수리: 약 2만~3만원
충전기는 정상인데 충전 케이블 살짝만 움직여도 충전이 끊깁니다.
A: USB-C 포트 내부의 납땜 불량이나 충전 회로 노이즈가 원인입니다.
수리방안
- 충전 포트 재납땜 또는 모듈 교체
예상 수리비용
- 공식센터: 약 4만~6만원
- 사설수리: 약 3만~5만원
스위치 OLED 모델에서 유사 증상이 반복 발생하는 경우
A: OLED 모델에서도 동일 증상 발생 가능, 다만 전원회로 설계 차이로 일반 스위치보다 회복률이 높은 경우도 있음. 근본적 해결은 동일한 수리 필요.
사설 수리시 주의사항
- 일부 사설 업체에서 비정품 배터리, 비공식 부품 사용
- 정식 부품 확인 및 수리 보증기간 여부 꼭 확인
- 공식 A/S의 경우 부품 품질 안정성은 높으나 수리기간이 7~14일 소요
게임기 참고
- [IT 리뷰/게임 리뷰] - 닌텐도스위치2 출시일? 성능 및 가격 정리
- [IT 리뷰/게임 리뷰] - 닌텐도DS 델타 에뮬레이터 컴퓨터 실행 - 온라인 멀티 및 아이패드 iOS 출시
- [IT 리뷰/제품리뷰] - 아야네오 레트로 미니PC AM02 - 4인치 터치 디자인
'IT 리뷰 > 게임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닌텐도 시트라 시스템 아카이브를 찾을 수 없습니다. Shared Fonts (0) | 2025.06.11 |
---|---|
닌텐도스위치2 중고가격 급등, 적정 구입 시기와 가격은? (0) | 2025.06.11 |
마이크로소프트 Xbox Ally 리뷰 스팀덱과 닌텐도 스위치를 넘볼 차세대 휴대용 게임기 등장 (0) | 2025.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