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얼 GPU로 LSFG 프레임 게임 최적화 2~4배 성능 이질감 없는 게이밍의 핵심 노하우
게이밍 퍼포먼스가 중요한 게이머라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LSFG(Lossless Scaling Frame Generation) 기술을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특히 해외에서는 듀얼 GPU 구성을 통해 LSFG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실제로도 기존 DLSS보다도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는 LSFG를 듀얼 GPU로 활용했을 때의 장점과 정확한 설정 방법, 그리고 실전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노하우를 하나하나 짚어보려 한다.
프레임 생성 기술 비교 – LSFG vs DLSS vs FSR vs AFMF
항목 | LSFG (Lossless Scaling FG) | DLSS 3 Frame Generation | FSR 3 Fluid Motion (AFMF) | 기존 프레임 생성 |
✅ 기술 방식 | 모션 벡터 없이 AI/인터폴레이션 기반 프레임 생성 | AI + 모션 벡터 기반 프레임 보간 | 모션 예측 기반 프레임 보간 (AMD Fluid Motion Frames) | 간단한 중간 프레임 복제 또는 모션 블러 사용 |
🎮 게임 지원 여부 | 모든 게임 적용 가능 (강점) | DLSS 3.0 이상 공식 지원 게임만 | 일부 게임만 지원 (AFMF 활성화 필요) | 일부 엔진 또는 소프트웨어 기반 지원 |
🧠 GPU 요구 조건 | CPU/GPU 부하 분산 가능 (서브 GPU 사용 시 강점) | RTX 40 시리즈 이상 필요 | RX 7000 시리즈 이상 필요 | 대부분 저사양에서도 적용 가능 |
🔁 지연 시간 (Input Lag) | 매우 낮음 (서브 GPU 사용 시 DLSS보다 낮음) | 약간 있음 (프레임 생성 딜레이 발생) | 있음 (모션 예측 과정으로 딜레이 발생) | 낮음 |
💻 플랫폼/운영체제 | Windows 10/11 (소프트웨어 설치형) | Windows 11 (게임 내 내장형) | Windows 11, 일부 드라이버 제한 | 모든 OS에서 가능 |
🎯 특징 | 💡 모든 게임에 적용 가능, 듀얼 GPU 구성으로 폭발적 성능 향상 | 🔒 고성능 NVIDIA GPU 필요, 일부 게임 한정 | 🔓 AMD 최신 GPU에서 활용 가능, 드라이버에 의존 | 🤏 화질 저하 발생, 효과 제한적 |
👓 고스팅/아티팩트 | 거의 없음 (고배수 시에도 안정적) | 존재 가능 (특히 움직임 많은 장면) | 고스팅 있음, 프레임 고정 안 될 경우 티남 | 고스팅 및 왜곡 잦음 |
🧪 사용 난이도 | ⭐중간 (초기 세팅 필요, 레지스트리 또는 GPU 설정) | 낮음 (게임 내에서 설정) | 중간~높음 (드라이버 + 지원 게임 설정 필요) | 낮음 |
💸 비용 | 💰 약 7,800원 (Steam 유료 프로그램) | 무료 (RTX GPU 보유 시) | 무료 (AMD GPU 보유 시) | 무료 |
기존 GPU는 게임 렌더링에만 집중하고, 서브 GPU는 오직 LSFG 프레임 생성 전용으로만 활용하는 구조로 기존의 DLSS나 FSR, AFMF와 비교했을때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LSFS 설정값
설정 항목 | 적용 위치 | 설정값 / 방법 | 비고 |
모니터 출력 위치 | 물리적 연결 | 서브 GPU에 연결 | PCIe 병목 방지 |
기본 그래픽 설정 | Windows 설정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 → 그래픽) |
렌더링 GPU로 설정 | 게임 실행 GPU 지정 |
Lossless Scaling 앱 | 앱 내 옵션 | 선호 GPU: 서브 GPU | 프레임 생성 전용 지정 |
OpenGL 렌더링 GPU | Nvidia 제어판 → 3D 설정 관리 → 전역 설정 | 렌더링 GPU로 설정 | 마인크래프트 등 OpenGL 게임 대응 |
저지연 모드 (Low Latency Mode) | Nvidia 제어판 → 3D 설정 관리 → 전역 설정 | 비활성화 | 듀얼 GPU 사용 시 충돌 방지 |
PCIe 슬롯 대역폭 | 마더보드 확인 | 최소 PCIe 3.0 x4 (1440p) PCIe 4.0 x4 권장 (4K) |
양쪽 슬롯 모두 해당 |
윈도우 버전 | 시스템 정보 | Windows 11 권장 Windows 10은 레지스트리 설정 필요 |
11에서 안정적 작동 |
프레임 배수 설정 (Multiplier) | Lossless Scaling 설정 | X2 ~ X3 추천 | X4 이상은 GPU 성능에 따라 제한 발생 |
서브 GPU 권장 사양 | 하드웨어 선택 | GTX 1660 이상 QHD 이상에서는 RTX 3060 이상 권장 |
프레임 생성 성능 영향 큼 |
전원공급 (파워서플라이) | 시스템 구성 | 850W 이상 권장 (4090 + 서브GPU) | 듀얼 GPU 시 파워 용량 중요 |
케이스 호환성 | 물리적 공간 | GPU 2개 장착 가능 여부 확인 | 고온 대비 쿨링 확보 필요 |
이렇게 하면 원 GPU는 인게임 프레임에만 집중하게 되어 성능 손실이 거의 없고, 서브 GPU는 따로 프레임 생성을 처리하면서 최대 2~4배, 상황에 따라서는 10배 이상의 프레임 향상이 가능하다. 기존 DLSS 프레임 생성 방식과 비교하면, 베이스 FPS를 갉아먹는 단점도 사라진다.
중요한 것은 단순히 두 개의 GPU를 장착한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된 구성과 세팅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마더보드는 두 GPU 모두에 충분한 PCIe 대역폭을 제공해야 하며, LSFG용 서브 GPU의 스펙도 해상도에 따라 다르게 고려해야 한다. 4K 환경에서는 최소 PCIe 4.0 x4 이상의 대역폭을 양쪽 모두 확보해야 병목현상 없이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서브 GPU가 처리 가능한 프레임 생성 한계를 이해하고, 실사용 환경에 맞춰 배수를 조절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X2 모드는 대부분의 GPU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지만, X3 이상부터는 하드웨어 사양과 스로틀링이 민감하게 작용한다. 설정값이 제한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락이 걸리는 구조라서 언더볼팅 등을 병행해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추천된다.
실제 적용 사례를 보면, ASUS Strix 노트북에서 RTX 4070을 메인 GPU로 사용하고, LSFG를 활성화한 뒤 몬스터헌터 와일즈를 QHD DLSS 품질로 플레이한 결과 140프레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고스팅 현상도 최소화되었고, 특히 우려되던 지연 시간 역시 고사양 데스크탑과 비교해도 큰 차이를 느낄 수 없었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다. 고전 RTS 게임에서도 LSFG를 적용하자마자 프레임이 30~40에서 110 이상으로 뛰어올랐다는 후기 역시 많다.
특히 3060 노트북에서도 X3 모드가 원활하게 작동하며 최신 스팀 게임들 대부분에서 체감 성능 향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Lossless Scaling on Steam
All-in-one gaming utility for scaling and frame generation
store.steampowered.com
소프트웨어 구성은 간단하면서도 정밀해야 한다.
우선 모니터는 반드시 서브 GPU에 연결해 데이터 전송량과 PCIe 병목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후 Windows 설정에서 기본 그래픽을 렌더링 GPU로 지정하고, Lossless Scaling에서 ‘선호 GPU’를 서브 GPU로 바꿔준다. Nvidia 제어판에서는 OpenGL 렌더링 GPU를 렌더링 GPU로 고정해줘야 모딩 기반 게임에서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Nvidia 사용자라면 ‘저지연 모드’를 꺼주는 것이 성능에 도움이 된다.
이렇게 구성된 듀얼 GPU LSFG 시스템은 단순한 프레임 향상을 넘어 지연시간, 고스팅, 렌더링 부하 등 다양한 부분에서 DLSS 이상의 성능을 제공한다.
게다가 GPU간 부하 분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머신러닝 작업, 영상 인코딩, 녹화 등에서도 효율적으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주말에는 데스크탑에도 한번 적용해볼 생각이라는 후기도 많은데, 한 번 세팅만 잘하면 소프트웨어 비용은 단돈 7800원으로 이질감 없는 체감 성능 상승을 누릴 수 있다는 게 큰 매력이다.
특히 AMD GPU의 경우 LSFG 성능이 좋다는 평이 많아, Nvidia와 혼합 구성이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단, Intel Arc GPU는 드라이버 호환 문제가 심각할 수 있으니 신중하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
어떤 방식이 내게 맞을까?
추천대상 | 기술 |
모든 게임에 프레임 생성 적용하고 싶다 | ✅ LSFG |
최신 AAA 게임만 하고, 4090 이상 사용 중 | ✅ DLSS 3 Frame Generation |
AMD GPU 사용자이고 프레임 향상이 필요 | ✅ AFMF (FSR 3) |
저사양 PC에서 간단히만 올리고 싶다 | 🔁 기존 프레임 보간 방식 |
최근 LSFG의 진화로, 굳이 프리미엄 DLSS가 아니어도 만족스러운 고주사율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FPS에 목마른 게이머라면, 특히 고전 게임이나 인디 게임에서 성능 병목을 체감하고 있다면, 이 방식은 한 번쯤 꼭 시도해볼만한 값진 대안이 되어줄 것이다. LSFG를 제대로 활용하면 프레임도, 지연시간도, 심지어 GPU 활용도까지 완전히 새롭게 달라진다.
Q&A – Lossless Scaling
Q1. 🎮 창 모드로 실행하라고 하는데, 꼭 그래야 하나요?
A. 반드시 그런 건 아니지만 창 모드 또는 테두리 없는 창 모드(borderless window) 상태에서 Lossless Scaling을 적용하면 성능과 안정성 면에서 가장 좋습니다. 전체 화면에서는 일부 그래픽 드라이버나 게임에서 충돌이 발생하거나 적용이 안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창 모드에서 테스트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Q2. 🖥️ 업스케일링도 같이 켜면 무조건 좋나요?
A.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 낮은 해상도에서 더 선명한 화면이 필요하다면 업스케일링을 켜는 게 좋고,
- 이미 해상도가 충분히 높거나 GPU 부하가 높은 상태라면 오히려 끄는 것이 유리합니다.
또한 업스케일링은 게임 창 해상도를 낮춰야 효과가 있으니, 해상도를 낮추지 않고 업스케일링만 켜면 성능 향상 효과가 거의 없습니다.
Q3. ⚙️ LSFG 1과 LSFG 2의 차이는 뭔가요? 어떤 걸 써야 하나요?
A.
- LSFG 2: 품질이 더 좋고 프레임 생성 정확도도 뛰어남. 단, GPU 부하가 높음
- LSFG 1: 가볍고 호환성이 좋지만 품질과 정확도는 낮음
일반적으로는 LSFG 2를 추천하지만, 구형 GPU나 낮은 사양에서는 LSFG 1을 시도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Q4. 🧪 Performance 모드는 뭔가요? 켜는 게 좋나요?
A. Performance 모드를 켜면 프레임 생성 품질이 약간 떨어지는 대신 GPU 부하가 줄어들고 생성 프레임 수가 늘어납니다.
- 고사양 게임 + 저사양 GPU = Performance 모드 ON 추천
- 시각 품질이 더 중요할 경우 = OFF 유지
체감으로 "살짝 흐릿해진다"는 정도이며, 프레임 안정성이 더 중요하다면 충분히 쓸만한 옵션입니다.
Q5. 💡 게임에서 DLSS/FSR Frame Generation이 있으면 LSFG랑 같이 써도 되나요?
A.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비추합니다. 두 가지 프레임 생성 기술이 동시에 작동할 경우:
- 충돌 또는 프레임 중복으로 인해 성능 저하 발생
- 인풋렉 증가 및 잔상 심화 가능성
- 프레임 표시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
→ 둘 중 하나만 사용하고, 해당 게임에서 공식 지원하는 DLSS/FSR이 있다면 그쪽을 우선 쓰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 좋습니다.
Q6. 🔋 핸드헬드 기기(ROG Ally, Legion Go 등)에서는 어떻게 활용하나요?
A.
- 배터리를 아끼기 위해 30fps로 제한한 뒤, LSFG X2를 적용해 60fps처럼 부드럽게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 이 방식은 고성능을 유지하면서 발열과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으로 매우 효과적입니다.
주의: 프레임 생성도 GPU 부하를 약간 주기 때문에 배터리 절감 폭은 기대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Q7. 🎞️ 게임 말고 동영상에도 사용할 수 있나요?
A. 네!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VLC, MPC 등) 에도 Lossless Scaling을 적용하면 프레임 보간 효과로 더 부드럽게 영화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예: 24fps 영화 → 48fps 이상으로 시청 가능
단, 일부 DRM 보호 콘텐츠(넷플릭스 앱 등)에는 적용이 어렵거나 검은 화면이 나올 수 있습니다.
Q8. 🧰 내가 설정한 옵션을 게임마다 자동으로 적용할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Lossless Scaling 좌측 하단의 ‘+’ 버튼을 눌러 각 게임별 프로필을 만들 수 있어요.
이렇게 하면 게임 실행 시 자동으로 설정 적용되고, 매번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습니다.
- 확장/업스케일링 모드
- 프레임 생성 배수
- 단축키 등도 저장 가능
Q9. 🎯 추천 세팅은 뭐가 있을까요? (처음 사용하는 유저 기준)
A.
- 모드: LSFG 2
- 배수: X2
- 업스케일링: Off (처음엔 프레임 생성만 테스트)
- Performance 모드: ON
- 창 모드 + 해상도 낮추기: 성능 확보용
- FPS 표시: ON (성능 확인 필수)
이렇게 설정한 후, 게임에 맞춰 배수, 업스케일링, 성능 옵션을 조정해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IT 리뷰 > 게임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팀게임 프레임 최적화 LSFG 듀얼GPU - Lossless Scaling 기능 (0) | 2025.04.01 |
---|---|
몬스터헌터 와일즈 PC 버전 소개 및 트레이너 다운로드 +61 FLiNG [v1.1+] 사용법 (1) | 2025.03.17 |
라이즈 오브 더 로닌 트레이너, Rise of the Ronin v1.09 Plus 37 Trainer (0) | 2025.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