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용량은 22GB인데 서버 사용량이 90GB? 어디서 차지하는 걸까?
워드프레스를 운영하다 보면 어느 순간 사이트 용량은 20GB 남짓한데, 호스팅 서버에서는 전체 사용량이 80~90GB에 달하는 상황을 마주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백업 파일까지 삭제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용량 경고가 계속된다면, 그 원인을 추적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 워드프레스가 차지하는 실제 용량 외에 서버 내에서 숨어 있는 대용량 데이터들을 어떻게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서버에 불필요하게 쌓이는 용량은 단순히 웹사이트의 퍼포먼스 저하뿐 아니라, 백업 실패, 이메일 전송 오류, 보안 취약점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합니다. 캐시, 로그, 숨김 폴더, MySQL 데이터까지 하나씩 확인해보면 문제의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숨은 서버 용량 점검 체크리스트
워드프레스는 /wp-content/ 폴더만 살펴본다고 해서 전체 용량을 모두 알 수 있는 구조가 아닙니다.
특히 Bluehost, 카페24, 호스팅케이알 같은 일반 호스팅을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경로들을 반드시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1. 캐시 폴더
- 경로: /wp-content/cache/, /uploads/cache/, w3tc, litespeed
- 캐시 플러그인에서 자동 생성한 파일이 수십 GB로 쌓일 수 있음
2. 로그 파일
- 경로: /wp-content/debug.log, /error_log, /logs/, /var/log/
- 에러나 시스템 경고 로그가 자동 저장되면서 누적됨
3. 이메일, 백업 파일
- 경로: /mail/, /softaculous_backups/, /cpanel/, /backup/
- 워드프레스가 아닌 이메일 계정에서 발생한 대용량 메일함도 원인
4. 숨겨진 디렉토리
- .trash, .local, .cpanel, .config 등은 du 명령어를 사용해야 확인 가능
- SSH 접속 후 du -h --max-depth=1 명령어로 폴더별 용량 확인 가능
5. MySQL 데이터베이스
- 경로: /var/lib/mysql/
- 게시글보다 훨씬 많은 용량을 차지하는 postmeta, options 테이블 확인 필요
6. 임시 파일 및 캐시
- /tmp 폴더에 남은 압축파일, 미완성 백업, 서버 캐시 잔여물
이와 같이 사이트 자체는 20~30GB에 불과해 보여도, 나머지 시스템 폴더나 메일, 캐시, 로그로 인해 실제 사용량이 90GB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1. 오래된 캐시 파일
- 경로 예시: /wp-content/cache/, /wp-content/uploads/cache/, /wp-content/w3tc/, /wp-content/uploads/wpcf7_captcha/
- 플러그인 (예: W3 Total Cache, WP Super Cache, LiteSpeed Cache 등) 에서 생성한 캐시가 수십 GB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FTP나 SSH로 직접 접속해서 캐시 폴더 확인 후 수동 삭제하세요.
2. 이메일 로그나 오류 로그 폭발
- 경로 예시: /wp-content/debug.log, /error_log, /logs/, /var/log/ (서버에 따라 다름)
- PHP 오류 로그나 이메일 전송 실패 로그가 수개월간 쌓이면 수십 GB가 될 수 있습니다.
- debug.log나 error_log 파일 용량을 확인하고 필요 시 삭제하거나 압축하세요.
3. MySQL 데이터베이스 덤프 파일 또는 자동 백업 스크립트
- /home/사용자명/ 혹은 /var/www/ 아래에 .sql, .tar.gz, .zip 파일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 FTP나 SSH로 접속 후 다음 명령어로 검색하면 좋습니다:
find / -type f -name "*.sql" -size +100M
4. 이전 워드프레스 설치나 미사용 디렉토리
- /public_html/, /htdocs/ 내에 old, backup, test, copy, temp 등의 이름으로 남은 예전 사이트 디렉토리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 du -sh * | sort -h 명령어로 용량을 확인해보세요.
5. 서버 루트에 있는 숨겨진 백업 및 캐시
- /home/username/.cpanel/, /home/username/.trash/, /home/username/.local/, /home/username/.config/ 등의 숨김 디렉토리에 cPanel 백업이나 로그가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 du -sh .[!.]* 명령어로 숨은 디렉토리들의 용량을 확인하세요.
6. 이메일 계정에 저장된 대용량 메일
- 워드프레스 메일 계정이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mail/ 디렉토리에 수 GB의 이메일이 저장된 경우도 많습니다.
- cPanel이나 Plesk, 혹은 /home/username/mail/ 경로를 확인해보세요.
7. 기본 쉘 명령으로 전체 용량 확인하기 (SSH 접속 시)
cd / sudo du -h --max-depth=1 | sort -h
- 루트 디렉토리에서 어떤 폴더가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8. 워드프레스 임시 파일
- /tmp 경로에 남은 이미지 리사이즈 캐시, 플러그인 설치 도중 남은 zip, unzip 파일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에서 보여지는 디렉토리 용량만으로는 실제 서버 사용량을 모두 파악할 수 없습니다. 특히 cPanel 또는 SSH를 사용할 수 있다면 du, find 같은 기본 명령어만으로도 대용량 폴더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점검을 통해 숨은 캐시나 로그, 오래된 백업 데이터를 정리하면 속도 개선뿐 아니라 서버 안정성도 높일 수 있으니, 주기적인 확인을 권장합니다.
✅ 1. 서버 전체 용량 확인 (du)
서버에서 가장 많이 용량을 차지하는 폴더를 확인하는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du -h --max-depth=1 /
혹은 홈 디렉토리에서 확인하려면:
cd /home du -h --max-depth=1
결과 예시: 1.2G ./var 5.1G ./home 80G ./backup ...
이렇게 나왔다면 backup 폴더가 용량을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2. 워드프레스 경로 안에서 확인하기
만약 워드프레스가 /home/username/public_html/ 아래에 있다면 해당 디렉토리에서 용량 큰 폴더를 확인:
cd /home/username/public_html du -h --max-depth=1 | sort -hr
예시 출력: 12G ./wp-content 5G ./wp-includes 4G ./wp-admin ...
wp-content가 비정상적으로 크다면 uploads, cache, ai1wm-backups 등 세부 폴더 확인도 해볼 수 있습니다.
✅ 3. 숨김 파일까지 포함하여 보기
홈 디렉토리에 숨겨진 .trash, .cpanel, .local, .softaculous_backups 등이 있으면 여기서 대량의 용량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cd /home/username du -h --max-depth=1 .[!.]* | sort -hr
✅ 4. MySQL 데이터베이스 파일 직접 확인
Bluehost는 종종 /var/lib/mysql 아래에 각 워드프레스 DB 테이블이 .ibd 파일 형태로 남아 커질 수 있습니다:
cd /var/lib/mysql du -sh *
특정 데이터베이스 이름이 10GB 이상이면 wp_postmeta, wp_options 같은 테이블이 크다는 뜻일 수 있습니다.
✅ 5. 추가로 확인할 수 있는 백업 흔적
- /home/username/softaculous_backups/
- /home/username/.trash/
- /home/username/.cpanel/
- /backup/
- /tmp/
위 경로 중 하나라도 존재하면 내부 확인 후 불필요한 파일 삭제 가능합니다.
필요하다면 du -h --max-depth=1 명령어 결과를 공유해주시면, 정확한 분석을 통해 어떤 폴더가 원인인지 더 구체적으로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IT 리뷰 > 블로그 SE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드프레스 cPanel 서버에서 PHP-FPM 활성화가 안될 때 확인할 설정 (0) | 2025.10.12 |
---|---|
워드프레스 로그인 비밀번호 변경방법 (0) | 2025.10.06 |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설치실패 오류 원인? (0) | 2025.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