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성 9100 Pro 8TB SSD 전문가와 게이머를 위한 최강 선택

잡가이버 2025. 9. 4.
728x90
반응형

저는 현재 최신 SK하이닉스 P51 1TB를 메인으로 사용하고 있고, 서브로는 삼성 960 Pro 버전을 병행해 쓰고 있습니다.

 

SK P51 출시 P41 vs 삼성 PM9E1 vs 980 읽기쓰기 성능비교

SK하이닉스의 Platinum P41은 2022년 5월에 출시된 PCIe 4.0 기반 SSD로, Platinum P51의 전작입니다. P41은 당시 PCIe 4.0 세대에서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자랑하며 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알리익

jab-guyver.co.kr

우선 P51은 PCIe 5.0 SSD답게 속도와 발열 관리 모두 안정적이라 주로 작업용으로 활용하고 있고, 오래된 960 Pro는 데이터 보관용 서브 드라이브로 두고 있죠.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보면, 새로 출시된 삼성 9100 Pro 8TB는 지금까지 써온 SSD들과는 결이 다른 제품이라는 느낌이 듭니다.

삼성은 이번 9100 Pro 8TB를 기본 모델 999.99달러, 방열판 버전 1,019.99달러로 책정했습니다.

단순히 가격만 놓고 보면 고가지만, PCIe 5.0 세대에서 이 정도 용량과 성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제품은 거의 없기 때문에 사실상 독점적인 포지션에 서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성능을 살펴보면 순차 읽기 최대 14,800MB/s, 쓰기 최대 13,400MB/s, 랜덤 읽기 220만 IOPS, 쓰기 260만 IOPS를 지원합니다. 제가 쓰는 P51도 빠르다고 느끼지만, 이 정도 수치는 단순한 체감 속도를 넘어 워크스테이션 급 작업에 맞춰진 스펙이죠.

특히 영상 편집, 3D 모델링, AI 데이터셋 운용처럼 수백 GB 단위 파일을 자주 다루는 환경에서는 작업 효율이 크게 달라집니다.

내구성 역시 주목할 만합니다. 4TB 모델이 2,400TBW였던 것에 비해 8TB 모델은 4,800TBW로 두 배 강화되어 장기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전력 소모는 확실히 높습니다. 유휴 상태에서조차 4TB 모델 대비 최대 50% 가까이 많은 전력을 사용하고, 동작 시에도 읽기 10.5W, 쓰기 8.8W 수준을 요구되느데요 이런 점은 노트북보다는 데스크톱 환경에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죠.

방열판 유무는 선택 사항이지만, 제가 P51을 쓰면서도 느낀 부분이 발열 관리의 중요성이었습니다.

PCIe 5.0 SSD는 부하가 걸리면 금방 온도가 치솟을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고성능을 안정적으로 뽑아내려면 방열판 버전을 선택하는 것이 더 현명합니다. PS5 같은 콘솔에서도 사용 가능하니, 대규모 게임 라이브러리를 한 번에 관리하려는 게이머라면 특히 유리하겠죠.

결국 삼성 9100 Pro 8TB는 단순히 저장 공간이 넉넉한 SSD가 아니라 전문가와 하이엔드 게이머를 위한 플래그십 솔루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처럼 메인은 빠른 P51, 서브는 안정적인 960 Pro 정도로도 충분한 일반적인 사용 환경이라면 굳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용량”과 “성능” 모두를 극대화해야 하는 사람들, 예를 들어 영상 제작자, 연구 데이터 처리자, 그리고 수십~수백 개의 AAA 게임을 한 번에 설치해두고 싶은 게이머라면 삼성 9100 Pro 8TB만큼 확실한 선택지는 드물 겁니다.

FAQ

삼성 9100 Pro 8TB는 PS5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나요?

네, 표준 M.2 2280 폼팩터를 지원하기 때문에 PS5와 같은 콘솔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발열을 고려해 방열판이 있는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안정적입니다.

8TB 모델이 4TB 모델보다 체감 속도가 느려지나요?

일반적으로 용량이 커지면 성능이 소폭 하락할 수 있지만, 9100 Pro 8TB는 4TB 모델과 거의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실제 사용 환경에서는 큰 차이를 체감하기 어렵습니다.

소비 전력이 높은데, 일반 PC 사용자도 괜찮을까요?

데스크톱에서는 크게 문제 되지 않지만, 노트북에서는 배터리 지속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휴대성을 중요시하는 환경보다는 고정된 작업 환경에서 쓰는 것이 적합합니다.

발열 문제는 어떻게 관리할 수 있나요?

PCIe 5.0 SSD는 고속 처리 과정에서 열이 많이 발생합니다. 메인보드 기본 방열판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장시간 고성능을 뽑아내려면 전용 방열판 장착 모델을 추천합니다.

기존 SSD와 병행해 사용하면 장점이 있나요?

네. 저처럼 SK하이닉스 P51이나 삼성 960 Pro 같은 SSD와 병행하면 작업 성격에 맞게 분리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용량 작업은 9100 Pro 8TB, 운영체제 및 프로그램은 P51, 보관성 데이터는 960 Pro로 구분하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

TBW 수명이 실제로 중요한가요?

TBW(Total Bytes Written)는 SSD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쓰기 횟수에 따른 수명과 관련됩니다. 9100 Pro 8TB는 4,800TBW로 높은 수명을 제공하기 때문에 전문가나 고용량 작업자에게 유리합니다.

삼성 9100 Pro 8TB는 일반 게이머에게 과한가요?

게임 라이브러리가 많지 않고 1~2TB SSD로도 충분하다면 굳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백 개의 게임을 동시에 설치하고 싶거나 로딩 속도와 저장 공간 모두를 최상위로 맞추고 싶은 하이엔드 게이머라면 좋은 선택입니다.

SK하이닉스 P51과 비교했을 때 차별점은 무엇인가요?

P51은 발열 관리와 안정적인 성능에 강점이 있는 반면, 9100 Pro 8TB는 압도적인 용량과 고성능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즉, P51은 주력 시스템용으로, 9100 Pro는 대규모 데이터 처리용으로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PCIe 4.0 SSD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차이가 나나요?

PCIe 4.0 SSD도 여전히 빠르지만, PCIe 5.0 SSD는 순차 읽기·쓰기 속도에서 거의 두 배에 가까운 성능 향상을 제공합니다. 특히 대규모 파일 전송이나 영상 렌더링 같은 작업에서 체감이 큽니다.

삼성 9100 Pro 8TB 구매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높은 성능과 용량 덕분에 발열과 전력 소모도 커집니다. 따라서 파워 서플라이 용량과 케이스 내 쿨링 환경을 반드시 고려한 뒤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