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PT 보호파티션 오류 디스크에 파티션을 만들 수 없습니다 DiskPart 초기화

잡가이버 2025. 3. 20.
반응형

GPT 보호파티션 오류 디스크에 파티션을 만들 수 없습니다 DiskPart 초기화 

하드디스크나 SSD를 사용하다 보면 여러 종류의 파티션 방식을 알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MBR과 GPT라는 두 가지 파티션 스타일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각각 Master Boot Record와 GUID Partition Table의 약자입니다. 

MBR은 초기 IBM PC와 호환되는 전통적인 파티션 방식이며, GPT는 최신의 유니버설 파티션 방식입니다.

GPT 보호 파티션
GPT 보호 파티션

MBR은 예전 방식으로, 기본적으로 2.2TB의 최대 용량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2.2TB 이상의 고용량 하드디스크나 SSD를 사용하려면 GPT 파티션 스타일을 채택해야 합니다. GPT는 이러한 용량 제한 없이 큰 용량의 하드디스크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향상된 데이터 보호 기능도 제공합니다.

 

  • MBR (Master Boot Record): 기존의 하드디스크 파티션 방식으로, 최대 2.2TB의 디스크 용량만 지원합니다. 오래된 PC와 호환되며, 최대 4개의 기본 파티션만 지원합니다.

GPT (GUID Partition Table): 최신 파티션 방식으로, 최대 9.4ZB(제타바이트)까지 지원하는 대용량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더 많은 파티션을 생성할 수 있으며, 데이터 보호 및 복구 기능이 향상되었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GPT 파티션 스타일을 사용하다가 'GPT 보호 파티션'이라는 오류 메시지를 마주하게 됩니다. 이 오류는 주로 하드디스크를 다른 운영체제 또는 시스템에 연결했을 때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윈도우의 '디스크 관리'에서 해당 파티션을 삭제하거나 변경하려고 할 때, 그것이 정상적으로 활성화되지 않는 문제가 생깁니다.

이러한 GPT 보호 파티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DiskPart라는 도구를 활용해야 합니다.

 

GPT 보호 파티션 삭제 - DiskPart 사용법

DiskPart를 사용해 디스크를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DiskPart 명령어

  1. '시작'을 클릭 후 "DiskPart"를 입력해 실행합니다.
  2. "list Disk"를 입력하면 사용 가능한 디스크 목록이 나옵니다.
  3. 삭제하거나 초기화하고 싶은 디스크 번호를 선택합니다. (예: "Select Disk 0" 또는 "Select Disk 1")
  4. 초기화나 파티션 생성을 원한다면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1. detail disk: 디스크 정보 확인
    2. clean: 디스크 초기화
    3. create partition primary: 주 파티션 생성
  5. 마지막으로, '제어판'에서 '디스크 관리'로 들어가 파티션 상태를 확인합니다. '할당되지 않음' 부분에서 우클릭하여 포맷 또는 파티션 활성화 작업을 진행합니다.

요약하면, GPT 파티션 방식은 최신의 디스크 용량과 향상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등장한 파티션 스타일입니다.

하지만 여러 이유로 'GPT 보호 파티션' 문제에 직면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DiskPart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Q&A

Q1: GPT 보호 파티션이란 무엇인가요?

GPT 보호 파티션은 하드디스크나 SSD에서 GPT(유니버설 파티션 테이블) 파티션 방식이 사용되는 디스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호 영역입니다.

이 파티션은 다른 운영체제나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잘못 수정하거나 덮어쓰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집니다.

주로 Windows 외의 운영체제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 파티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디스크 관리 툴에서 파티션을 삭제하거나 수정하는 데 제한이 생깁니다.

Q2: GPT 보호 파티션 문제는 왜 발생하나요?

GPT 보호 파티션 문제는 하드디스크나 SSD를 다른 운영체제에 연결하거나 잘못된 파티션 작업을 시도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로 디스크에 GPT 파티션이 설정되어 있는데, Windows의 기본 디스크 관리 툴에서 이를 처리하지 못하고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오류는 다른 시스템에서 GPT 파티션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디스크가 잘못 마운트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Q3: DiskPart 사용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DiskPart는 매우 강력한 도구이지만, 잘못 사용할 경우 중요한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DiskPart 디스크파트
DiskPart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하고, 삭제나 초기화 작업은 신중히 진행해야 합니다. 또한, "clean" 명령어는 디스크의 모든 데이터를 지우므로, 삭제하려는 디스크에 중요한 데이터가 없음을 확인한 후 진행해야 합니다.

Q4: '이 디스크에 Windows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오류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 오류는 MBR 방식의 디스크에서 GPT 방식으로 Windows를 설치하려고 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티션 GPT MBR 변경 이 디스크에 windows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파티션 GPT MBR 변경 이 디스크에 windows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파티션 GPT MBR 변경으로 인해 이 디스크에 Windows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라는 문제는윈도우10 설치 과정 중에 종종 발생하는 곤란한 상

jab-guyver.co.kr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디스크의 파티션 방식을 변경해야 합니다. DiskPart를 사용하여 GPT로 변환하거나, UEFI 부팅 모드를 활성화한 후 GPT 파티션 방식으로 설치를 시도하면 됩니다.

Q5: DiskPart를 사용한 파티션 변경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는 무엇이 있을까요?

DiskPart 사용 시 "디스크가 잠겨 있습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디스크가 손상되었습니다" 등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0xc0000242 오류 윈도우 부팅 블루스크린 부팅구성 데이터 BCD 손상복구

0xc0000242 오류 윈도우 부팅 블루스크린 부팅구성 데이터 BCD 손상복구윈도우11 설치된 PC에서 갑자기 윈도우 부팅 시 0xc0000242 오류가 발생하면서 블루스크린 화면이 뜨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

jab-guyver.co.kr

이러한 문제는 디스크가 현재 다른 프로세스에서 사용 중일 때 발생할 수 있으며, 디스크의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있을 때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디스크 오류를 검사하고, 시스템을 재부팅하여 디스크의 잠금을 해제한 후 다시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Q6: GPT 보호 파티션이 초기화되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GPT 보호 파티션이 초기화되지 않는 경우, 디스크 초기화 도구디스크 복구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TESTDISK 명령어 손상된 파티션 USB 외장하드 인식안됨 복구방법

TESTDISK 명령어 손상된 파티션 USB 외장하드 인식안됨 복구방법 흔히 윈도우에서 USB나 외장하드등을 사용하면서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 손상된 데이터를 복구하는 기능으로 사용하느것이 흔히 CHK

jab-guyver.co.kr

대표적인 복구 프로그램인 Minitool Partition WizardTestDisk 등을 사용하여 파티션을 복구하거나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면 GPT 파티션을 안전하게 삭제하고 다시 설정할 수 있습니다.

Q7: GPT와 MBR 변경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요?

GPT와 MBR을 변경하려면 디스크의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므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백업을 반드시 해야 합니다.

 

윈도우 설치 "선택한 디스크에 MBR 파티션 테이블이 있습니다"

윈도우 설치 "선택한 디스크에 MBR 파티션 테이블이 있습니다" 컴퓨터 사용자들 사이에서 가끔 발생하는 윈도우 관련 다양한 오류들 중 하나가 있습니다. 바로 "이 디스크에 Windows를 설치할 수 없

jab-guyver.co.kr

또한, GPT에서 MBR로 변경하면 파티션 수와 용량에 제한이 생기며, 반대로 MBR에서 GPT로 변경하면 UEFI 시스템에서만 부팅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변경 시 시스템 호환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