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리뷰/안드로이드

갤럭시 시리즈 핸드폰 핫스팟 켜기 비밀번호 설정

잡가이버 2025. 7. 16. 11:24
728x90
반응형

갤럭시 시리즈 핸드폰 핫스팟 켜기 비밀번호 설정

스마트폰을 무선 공유기로 활용할 수 있는 핫스팟 기능은 여전히 많은 사용자에게 꼭 필요한 기능입니다. 특히 외부에서 노트북이나 태블릿, 다른 스마트기기를 연결해 인터넷을 써야 할 때 갤럭시 시리즈의 핫스팟은 빠르고 안정적인 연결 수단으로 자주 활용됩니다.

최근 출시된 갤럭시 S24 시리즈나 갤럭시 Z 플립6, 폴드6 등 최신 모델에서도 핫스팟 기능은 꾸준히 유지되고 있으며, 보안과 속도 면에서도 이전보다 한층 개선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핫스팟 설정은 생각보다 간단하지만, 네트워크 대역폭 설정이나 비밀번호 보안 같은 세부 항목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실제 연결 품질과 안정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갤럭시 시리즈 핫스팟 켜기 비밀번호 보안 설정

또한 같은 갤럭시라도 모델마다 UI 구성이나 메뉴 진입 방식에 차이가 있어 정확한 설정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에 갤럭시 시리즈 핸드폰 핫스팟을 켜는 법,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법, 2.4GHz와 5GHz 대역폭 선택 기준 등 꼭 필요한 내용을 깔끔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반응형

출시 한 갤럭시 시리즈 핸드폰 핫스팟 

갤럭시 시리즈 대표모델 핫스팟 설정경로 대역 선택가능 여부 주요특징
갤럭시 S 시리즈 S24 / S23 / S22 설정 → 연결 → 모바일 핫스팟 및 테더링 → 모바일 핫스팟 O (2.4GHz / 5GHz) 최신 One UI 기반, 빠른 속도 및 보안 설정 강화
갤럭시 Z 시리즈 Z 플립6 / Z 폴드6 설정 → 연결 → 모바일 핫스팟 및 테더링 → 모바일 핫스팟 O 접히는 디스플레이에서도 핫스팟 메뉴 UI 최적화
갤럭시 노트 시리즈 노트20 / 노트10 / 노트9 설정 → 연결 → 모바일 핫스팟 및 테더링 → 모바일 핫스팟 O 펜 기능과 함께 다기기 활용 시 핫스팟 사용 많음
갤럭시 A 시리즈 A54 / A34 / A24 설정 → 연결 → 모바일 핫스팟 및 테더링 → 모바일 핫스팟 O (일부 모델은 자동 설정만 지원) 가성비 모델 중심, 최신 모델일수록 핫스팟 품질 향상
갤럭시 J 시리즈 J7 / J5 / J3 설정 → 더보기 → 테더링 및 휴대용 핫스팟 △ (대부분 2.4GHz만 지원) 구형 모델 위주, 핫스팟 안정성 다소 낮음
갤럭시 M 시리즈 M14 / M23 / M12 설정 → 연결 → 모바일 핫스팟 및 테더링 → 모바일 핫스팟 O 배터리 용량이 커 핫스팟 장시간 사용에 유리

그 외에 모든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의 핫스팟 활성화하는 방법은 동일합니다.

⚠️ 참고
One UI 6.1 이상부터는 '모바일 핫스팟'이 독립 메뉴로 제공되며, 일부 모델에서는 Wi-Fi 공유 자동 종료 시간, 접속자 제한 수 설정, QR 코드 공유 기능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갤럭시 시리즈 핫스팟 켜기

핫스팟 켜기

 

사용 중인 갤럭시의 상단바를 활성화하여 핫스팟 버튼을 꾸욱 눌러줍니다.

갤럭시 시리즈 대표모델 핫스팟 비밀번호 설정 보안방식 비밀번호 조건
갤럭시 S 시리즈 S24 / S23 / S22 설정 → 연결 → 모바일 핫스팟 및 테더링 → 모바일 핫스팟 → 구성 O (WPA2/WPA3) 영문·숫자 포함 8자 이상
갤럭시 Z 시리즈 Z 플립6 / Z 폴드6 설정 → 연결 → 모바일 핫스팟 → 구성 O (WPA2-Personal) 최소 8자, 대소문자 혼용 가능
갤럭시 노트 시리즈 노트20 / 노트10 / 노트9 설정 → 연결 → 모바일 핫스팟 → 구성 O (WPA2-Personal) 일반적으로 8~63자
갤럭시 A 시리즈 A54 / A34 / A24 설정 → 연결 → 모바일 핫스팟 → 구성 O (WPA2-Personal) 8자 이상 입력 필수
갤럭시 J 시리즈 J7 / J5 / J3 설정 → 더보기 → 휴대용 핫스팟 → 구성 △ (기본 WPA2) 최소 8자, 한글 미지원
갤럭시 M 시리즈 M14 / M23 / M12 설정 → 연결 → 모바일 핫스팟 → 구성 O (WPA2) 영문·숫자 혼합 권장

그럼 휴대용 핫스팟에 대해 활성화할 수 있으며 자신의 핫스팟 이름이 무엇인지 바로 하단에 표시됩니다.

핫스팟 켜기

휴대용핫스팟 설정을 통해 AP 대역 선택을 하면 2G "2.4Ghz"와 5G LTE "5.0Ghz"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핫스팟 5G LTE 설정

핫스팟 속도가 느리다면 5G LTE로 선택하는것이 좋으나 데이터나 배터리 소모가 큰 단점이 있습니다.

만약 핫스팟 버튼이 상단에 뜨지 않는다면 추가를 해야합니다.

핫스팟 비활성화 추가방법

 

상단 메뉴중에 편집 버튼을 선택합니다.

그럼 잘 사용하지 않는 기능들인 핫스팟과 에어플레인모드,잠금화면,익스트림 배터리절약등이 숨어있습니다.

여기서 사용할 핫스팟 버튼을 상단으로 끌어 올려주면 단축메뉴에 추가됩니다.

핫스팟 비밀번호 설정방법

모바일 핫스팟을 설정 시 다른 사람들이 다수 접속하여 데이터 속도가 저하되고 배터리 속도가 빨라질 수 있으며 해킹의 위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핫스팟을 사용하는 경우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이 추천합니다.

핫스팟 비밀번호 보안설정

핫스폿을 선택 후 보안으로 들어갑니다.

그럼 기본값없음에서 "WPA2-Personal"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사용할 핫스팟의 비밀번호를 최소 8자리로 설정합니다.

  • WPA3는 일부 최신 모델에서만 지원되며, 구형 모델은 WPA2-Personal이 기본입니다.
  • 공공장소에서 사용할 땐, 고유 단어 조합 + 숫자 + 특수문자를 혼합한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해킹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접속자가 많을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것이 좋습니다.

FAQ

갤럭시 핫스팟을 사용하면 데이터는 얼마나 사용되나요?

핫스팟을 사용할 경우, 연결된 기기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데이터가 전부 스마트폰의 데이터로 소모됩니다. 예를 들어 유튜브를 고화질로 시청하거나 대용량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빠르게 데이터가 소모될 수 있어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핫스팟에 누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나요?

네, 갤럭시 핸드폰에서는 [설정] → [연결] → [모바일 핫스팟 및 테더링] → [모바일 핫스팟] → [연결된 기기] 메뉴를 통해 현재 연결된 기기 목록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낯선 기기가 있다면 비밀번호를 즉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갤럭시 핫스팟을 자동으로 켜고 끌 수 있나요?

기본적으로 자동 설정 기능은 없지만, 빅스비 루틴이나 타사 앱을 통해 특정 조건에서 자동으로 켜지거나 꺼지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연결 시 자동으로 핫스팟을 켜는 식의 자동화가 가능합니다.

핫스팟이 자주 끊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핫스팟이 자주 끊기는 이유는 배터리 절약 설정, 기기의 절전 모드 진입, 간섭이 심한 와이파이 채널, 연결된 기기 수 초과 등 다양합니다. 모바일 핫스팟 설정에서 ‘절전 모드 해제’ 옵션을 끄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아이폰에서도 갤럭시 핫스팟에 연결이 가능한가요?

물론 가능합니다. 다만 일부 아이폰에서는 5GHz 대역폭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갤럭시에서 핫스팟 대역을 2.4GHz로 바꿔주는 것이 좋습니다.

핫스팟 사용 시 배터리가 빨리 닳는 이유는?

핫스팟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CPU와 네트워크가 지속적으로 작동하게 됩니다.

특히 5GHz나 고속 데이터 연결일수록 배터리 소모가 심하니, 충전기를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하거나 절전 모드를 설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핫스팟 이름은 변경할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설정] → [모바일 핫스팟 및 테더링] → [모바일 핫스팟] → [핫스팟 이름] 항목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기기명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다른 명칭으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핫스팟과 테더링의 차이점은 뭔가요?

핫스팟은 와이파이 형태로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식이고, 테더링은 USB 케이블이나 블루투스를 통해 인터넷을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속도나 연결 안정성 측면에서 USB 테더링이 유리하지만, 편리성은 핫스팟이 더 뛰어납니다.

공공장소에서 핫스팟을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공공장소에서는 핫스팟 이름과 비밀번호가 쉽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 WPA2 이상의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고, 접속자 목록을 자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불필요하게 오래 켜두지 않는 것도 중요한 보안 습관입니다.

핫스팟 연결이 안 될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우선 비행기 모드가 꺼져 있는지, 모바일 데이터가 켜져 있는지, 핫스팟 비밀번호가 정확한지, 연결하려는 기기의 와이파이가 정상 작동 중인지 확인해보세요. 그래도 안 될 경우에는 재부팅이 가장 빠른 해결법입니다.

안드로이드 참고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