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삭제 및 재설치 오류 해결
윈도우11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삭제·재설치로 오류 정리하기
윈도우11과 윈도우10, 윈도우8.1까지 공통으로 들어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Microsoft Store)는 메모장 강화 버전부터 카카오톡, 피플, 웹캠 앱, 아이튠즈, 넷플릭스, 틱톡, 포토샵, 라이트룸 같은 각종 앱과 게임까지 한 번에 설치할 수 있는 허브 역할을 합니다.
스토어에 올라오는 앱은 기본적으로 MS 인증을 거친 것들이라 비교적 안전하게 쓸 수 있고, 윈도우 기본앱도 스토어를 통해 업데이트되는 경우가 많아서 가능하면 삭제보다는 유지하는 쪽이 좋습니다.
그래도 실제로 쓰다 보면 스토어가 열리지 않거나, 설치·업데이트가 멈춰 있고, 아이콘만 깜빡이다가 사라지는 등 스토어 자체가 망가진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스토어 삭제 후 재설치와 함께 캐시 초기화, 시스템 파일 검사까지 한 번에 정리해 주면 대부분 깔끔하게 복구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업데이트·구매만 잠그는 방법


MS 공식 입장에서는 스토어 자체 삭제는 추천하지 않고 필요 없는 기본앱만 제거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식을 권장합니다. 가족 PC나 업무용 PC처럼 실수로 유료 앱을 결제할까 걱정되는 환경이라면, 스토어를 지우기보다 자동 업데이트와 구매·로그인만 막아두는 설정으로도 어느 정도 관리가 가능합니다.
윈도우11 기준으로 스토어를 열고 프로필 아이콘을 눌러 계정을 확인한 뒤, 설정에서 자동 업데이트, 인앱 구매, 자녀 보호 관련 옵션을 조정하면 불필요한 설치와 결제를 꽤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스토어 자체가 깨졌거나 오류가 반복된다면 아래처럼 삭제 후 재설치 쪽으로 넘어가면 됩니다.
PowerShell로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완전 삭제

스토어 앱이 아예 실행되지 않거나, 아이콘만 남고 내부가 망가진 느낌이라면 PowerShell에서 패키지를 제거하는 방식이 가장 확실합니다.
시작 버튼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한 뒤 Windows PowerShell(관리자) 또는 Windows 터미널(관리자)를 실행합니다.

get-appxpackage *WindowsStore* | remove-appxpackage
위 명령을 그대로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현재 계정에 설치된 Microsoft.WindowsStore 패키지가 제거됩니다. 화면에 에러 메시지가 남지 않고 프롬프트가 정상적으로 돌아왔다면 삭제는 이미 끝난 상태입니다.
스토어를 제거하면 스토어 기반으로 배포되는 일부 기본앱(사진, 메일, 캘린더 등)이 업데이트를 못 받게 될 수 있으니, 문제를 해결한 뒤에는 가급적 다시 설치해 두는 편이 좋습니다.
PowerShell로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재설치

스토어를 다시 쓰고 싶다면 같은 방식으로 PowerShell(관리자)을 열어 아래 명령을 실행합니다. 이 명령은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스토어 패키지 정보를 불러와 AppXManifest.xml을 다시 등록하는 역할을 합니다.
Get-AppXPackage *WindowsStore* -AllUsers | Foreach {Add-AppxPackage -DisableDevelopmentMode -Register "$($_.InstallLocation)\AppXManifest.xml"}
명령 실행 중에 별도 입력을 요구하지는 않으며, 완료 후에는 PC를 한 번 재부팅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재부팅 뒤 시작 메뉴에서 “Microsoft Store”를 검색해 열리면 기본적인 재등록은 정상적으로 끝난 상태입니다.
윈도우11에서는 이 방식 외에도 설정 > 앱 > 설치된 앱 > Microsoft Store > 고급 옵션에서 복원(Repair)·재설정(Reset)을 누르는 GUI 방식도 제공되므로, 간단한 문제라면 먼저 이쪽을 시도해 보고, 그래도 해결되지 않을 때 PowerShell을 사용하는 편이 작업이 덜 번거롭습니다.
스토어가 여전히 안 될 때 – 캐시 초기화와 시스템 복구

스토어 삭제·재설치까지 했는데도 다운로드 오류나 흰 화면만 보인다면, 스토어 캐시나 윈도우 시스템 파일이 꼬여 있는 경우까지 의심하게 됩니다.
SFC / SCANNOW 오류 Windows 리소스 보호에서 요청된 작업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SFC / SCANNOW Windows 리소스 보호 요청작업을 수행불가 윈도우11 및 윈도우10 등 운영체제에서 명령프롬프트를 통해 SFC /SCANNOW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Windows 리소스 보호에서 요청된 작업을 수행할 수
jab-guyver.co.kr
이럴 때는 캐시 초기화와 DISM·SFC 검사로 윈도우 내부를 한 번 정리해 두면 이후 다른 기본앱 문제까지 같이 잡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캐시 초기화 (WSReset)

WSReset.exe는 스토어 전용 캐시를 비워 주는 도구입니다. 사용 방법은 단순하지만, 다운로드가 0%에서 멈추거나 앱 상세 페이지가 안 열릴 때 꽤 효과를 보여 줍니다.
| 실행 창 열기 – 윈도우 키 + R 입력 |
명령 입력 – WSReset.exe를 입력하고 엔터 |
| 검은 창 잠깐 표시 후 자동 종료 – 캐시 정리가 끝나면 자동으로 스토어가 다시 열린다. |
별도 메시지 없이 스토어가 다시 뜨면 캐시 초기화는 이미 완료된 것이며, 이 상태에서 앱 설치·업데이트가 진행되는지 한 번 더 확인해 보면 됩니다.
Windows Store 재등록 PowerShell 명령

스토어 패키지는 남아 있는데 등록 정보만 꼬인 느낌이라면, 명령 프롬프트에서 PowerShell을 불러와 스토어를 다시 등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검색창에 cmd라고 입력한 뒤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고 아래 명령을 순서대로 넣습니다.
PowerShell -ExecutionPolicy Unrestricted
이후 같은 창에서 이어서 아래 명령을 입력합니다.


$manifest = (Get-AppxPackage Microsoft.WindowsStore).InstallLocation + '\AppxManifest.xml' ; Add-AppxPackage -DisableDevelopmentMode -Register $manifest
명령이 모두 끝나면 창을 닫고 윈도우를 다시 시작한 뒤 스토어를 실행해 보면 됩니다. 이 과정은 스토어 패키지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등록 정보만 다시 읽어들이는 작업”이라고 보면 됩니다.
DISM·SFC로 윈도우 구성요소 저장소 점검

스토어만 문제가 아니라 다른 기본앱까지 전반적으로 불안하다면, 윈도우 구성요소 저장소 자체가 손상됐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럴 때 자주 쓰는 것이 DISM과 SFC입니다.
검색창에서 cmd를 찾은 뒤,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열고 아래 명령을 차례로 입력합니다.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PC 환경에 따라 시간이 조금 길어질 수 있고, 중간에 퍼센트가 멈춘 것처럼 보여도 내부 작업이 진행 중인 경우가 많아서 그냥 두는 편이 좋습니다. DISM이 끝났다면 이어서 시스템 파일 검사를 실행합니다.
sfc /scannow
검사가 100%가 되면 결과 메시지와 함께 손상된 파일을 복구했는지 여부가 표시됩니다. 이 단계까지 마친 뒤에는 다시 한 번 재부팅을 하고 스토어 실행, 기본앱 실행을 확인해 보면 전체적인 안정성이 많이 나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토어 오류가 다른 기본 앱에도 영향을 줄 때

요즘 윈도우11·10은 사진, 캡처 도구, 메일, 캘린더, 미디어 플레이어 같은 앱들도 대부분 스토어를 통해 업데이트됩니다. 그래서 스토어에 문제가 생기면, 겉으로 보기에는 상관없어 보이는 기본 앱들이 갑자기 실행이 안 되거나 구버전 상태로 멈춰 버리는 현상이 같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단순히 앱만 지웠다 다시 넣는 것보다, 지금까지 정리한 것처럼 스토어 자체를 재설치하고, 캐시와 시스템 파일까지 한 번에 손보는 쪽이 더 안정적입니다. 추가로 아래 글에서 윈도우 기본 앱 전체를 삭제·다시 등록하는 방법도 같이 체크해 두면, 새 PC 세팅이나 포맷 후 환경을 다시 맞출 때 꽤 유용합니다.
윈도우10 기본 앱 삭제 및 설치누락 재설치 및 기능 끄기 켜기 - 노랗IT월드
윈도우11 및 윈도우10 기본 앱은 초기 윈도우 설치 시 자동으로 설치되는 앱이 있고 일부 앱의 경우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윈도우 VM 샌드박스, XPS 뷰어, 무선 디스플레이,
yellowit.co.kr
결국 스토어 문제를 한 번 제대로 정리해 두면, 그 뒤로는 Windows 업데이트와 스토어 업데이트만 제때 넣어주면서 안정적으로 환경을 유지하기가 훨씬 편해집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삭제·재설치 관련 FAQ
스토어를 아예 삭제해도 윈도우 사용에 문제는 없나요?
단순한 웹서핑이나 문서 작업만 한다면 당장 큰 문제는 없어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여러 기본 앱 업데이트가 스토어를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불편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사진 앱, 캡처 도구, 미디어 플레이어를 자주 쓴다면 스토어는 가능하면 복구해서 유지하는 쪽이 좋습니다.
명령어를 잘못 넣어서 더 꼬일까 걱정됩니다. 어느 쪽부터 시도하는 게 부담이 덜할까요?
가장 가볍게는 WSReset.exe 캐시 초기화부터 시도하고, 설정의 앱 복원·재설정 기능을 써본 뒤, 그래도 해결되지 않을 때 PowerShell 명령을 활용하는 순서를 많이 씁니다. DISM과 SFC는 스토어뿐 아니라 전체 시스템을 점검하기 때문에, 오류가 자주 보이는 PC라면 한 번쯤 돌려 보는 것도 크게 도움이 됩니다.
PowerShell 명령을 실행했는데 오류 메시지가 뜹니다. 계속 시도해도 될까요?
오류 내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 “패키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처럼 비교적 단순한 메시지는 스토어가 이미 제거된 상태일 수 있고, 권한 관련 오류라면 관리자 권한으로 열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없는 빨간 오류가 계속 쌓인다면, 같은 명령을 반복하기보다는 로그를 캡처해서 검색하거나 전문가 도움을 받는 편이 안전합니다.
WSReset.exe를 실행해도 아무 반응이 없습니다. 실패한 걸까요?
WSReset를 실행하면 잠깐 검은 창이 떴다가 사라지면서, 그 뒤에 스토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이 일반적인 흐름입니다. 창이 열렸다가 닫힌 뒤에도 스토어가 전혀 뜨지 않는다면, 스토어 자체가 제거되었거나 등록 정보가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PowerShell 재등록 명령을 함께 써보는 편이 좋습니다.
DISM과 SFC를 돌리면 저장된 파일이나 프로그램에 영향은 없나요?
두 명령은 윈도우 시스템 파일만 대상으로 검사·복구를 진행하며, 일반적인 문서나 사진, 설치해 둔 프로그램 내용은 건드리지 않습니다. 다만 손상된 시스템 파일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한 번 재부팅이 필요할 수 있고, 복구 이후 일부 드라이버나 앱이 새 환경에 맞춰 다시 초기화될 수는 있습니다.
윈도우11과 윈도우10에서 명령어는 똑같이 써도 되나요?
위에서 정리한 스토어 삭제·재설치, WSReset, DISM, SFC 명령은 윈도우11·10에서 모두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설정 앱의 메뉴 이름과 위치는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화면 구성이 다르게 보인다면 검색창에서 “앱”, “스토어”, “복원” 같은 키워드를 직접 검색해서 해당 메뉴로 들어가는 편이 편합니다.
스토어만 자꾸 오류가 나는데 윈도우를 통째로 초기화하는 게 더 빠를까요?
새 PC에서 특별히 세팅해 둔 것이 없다면 초기화를 선택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이미 많은 프로그램과 설정을 맞춰 둔 환경이라면 스토어만 복구하는 쪽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위에 정리한 PowerShell 재설치, 캐시 초기화, DISM·SFC 조합으로도 해결되지 않을 정도면 그때 가서 전체 초기화를 고민해도 늦지 않습니다.
회사 PC라서 PowerShell 명령이 정책상 막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기업 환경에서는 그룹 정책이나 보안 솔루션 때문에 PowerShell, DISM 같은 도구가 제한돼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무리해서 우회하기보다, IT 관리자에게 스토어 오류와 필요성을 설명하고 정식으로 조치 요청을 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회사 라이선스 정책을 건드리지 않으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내부에서 안내해 줄 가능성이 큽니다.
스토어만 고쳐놓고 잊어버리면 또 같은 문제가 생길까요?
한번 정리해 두고 나면, 이후에는 Windows 업데이트와 스토어 업데이트를 너무 오래 미루지 않는 것만 신경 써도 비슷한 문제가 반복될 확률이 많이 줄어듭니다. 여기에 정기적으로 디스크 검사와 백업 정도만 해 두면, 갑자기 스토어가 망가져서 앱 설치를 못 하는 상황을 꽤 오랫동안 피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