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리뷰/데이터 복구

HDD, USB, 외장하드 배드섹터 원인 - 고장 유형별 치료 복구방법

잡가이버 2025. 4. 11. 15:06
반응형

HDD, USB, 외장하드 배드섹터 원인 - 고장 유형별 치료 복구방법

컴퓨터 및 노트북등을 사용하면서 내장스토리지로 HDD "하드디스크" 및 외장하드, USB등을 사용하다보면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배드섹터 "불량섹터"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하드 드라이브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고장으로, 다양한 원인과 그에 따른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배드섹터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물리적 충격, 전원 공급의 불안정, 고온 및 발열, 파일 시스템 오류, 과도한 데이터 기록 등입니다.

728x90

배드섹터 "불량섹터" 발생원인

우선 가장 흔히 발생하는 외장하드나 USB 등 배드섹터 원인물리적충격 불안정한 전원공급 2가지를 뽑을 수 있습니다.

외장하드에서 흔히 발생하는 물리적충격으로 하드 드라이브가 강한 충격을 받을 경우, 내부 기계 부품들이 손상되어 배드섹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일전송 및 설치등 실행 중 케이블을 제거하거나 전원공급을 차단하면 안됩니다.

외장하드 및 usb 등 케이블제거 시 주의합니다

그리고 외장하드의 경우 하드디스크와 달리 케이블 하나로 전원공급과 데이터전송을 모두 하기 때문에 전원공급이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컴퓨터에 연결된 USB 케이블 및 파워서플라이어 전력부족등으로 인해  외장하드의 전원공급이 불안정하거나 갑작스러운 전원 차단이 발생할 경우, 하드 드라이브 작동 중에 배드섹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고온과 파일시스템 오류 그리고 토렌트나 비트코인 채집 등을 통한 과도한 데이터 읽기 쓰기등이 있습니다.

  • 고온 및 발열: 외부 온도가 높아지고 하드 드라이브가 과열되면 배드섹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파일 시스템 오류: 파일 시스템에 오류가 있거나 손상된 경우, 배드섹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도한 데이터 기록: 하드 드라이브에 지나치게 많은 데이터를 기록하면, 배드섹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드섹터 검사 및 치료하는 방법

윈도우 내장 도구 CHKDSK 명령어를 통해 손상된  불량섹터를 찾아 치료해서 복구가 가능합니다.

윈도우 운영체제에 내장된 무료 프로그램인 CHKDSK를 사용하여 배드섹터를 검사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 후 "chkdsk"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드라이브를 검사하고 복구할 수 있습니다.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chkdsk C: /f /r"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C:는 해당 드라이브 문자입니다.)
시스템이 해당 드라이브를 사용하지 않을 때 스캔을 진행할 것인지 묻는 메시지가 나타나면 "Y"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릅니다.
시스템이 재부팅될 때 배드 섹터 검사 및 치료가 시작됩니다.

제조업체 제공 도구: 하드 드라이브 제조업체의 웹사이트에서 해당 드라이브에 대한 진단 및 유틸리티 도구를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도구는 해당 드라이브를 스캔하고 배드섹터를 확인한 후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USB 인식불가 인식안됨 해결 CHKDSK 복구방법

USB 인식불가 인식안됨 해결 CHKDSK 복구방법 외장하드나 USB의 경우 일반 하드디스크보다 고장이 날 확률이 많습니다. 이로 인해 중요한 데이터를 인식하고자 컴퓨터에 연결했을 때 외장하드나 USB

jab-guyver.co.kr

CHKDSK 사용방법을 자세히보고 싶다면 위 내용을 참고하세요

HD Tune  Pro - 하드디스크 온도 및 배드섹터 체크

그 외에도 대표적으로 불량섹터를 검사하고 치료하는 프로그램으로는 윈도우 내장 무료 프로그램인 CHKDSK 외에도 그 외에도 TESTDISK, HD TUNE PRO가 가장 인기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HDD와 SSD 배드섹터는 복구 방식이 다른가요?
네, 다릅니다. HDD는 물리적 플래터 위에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기 때문에 배드섹터가 발생해도 일부 복구가 가능합니다. 반면 SSD는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고 TRIM 기능이 작동하므로, 삭제된 데이터가 즉시 지워져 복구 확률이 낮습니다.

배드섹터가 생기면 데이터가 바로 사라지나요?
항상 그렇진 않습니다. 배드섹터는 데이터 손상 이전에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읽기 오류, 느린 반응, 갑작스런 디스크 사라짐 등이 발생하면 조기 진단과 백업을 권장합니다.

외장하드가 계속 연결했다 끊기는 증상은 배드섹터 때문인가요?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전원 공급 불안정이나 USB 케이블, 포트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배드섹터가 원인일 수 있으니 HD Tune 같은 도구로 점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배드섹터 복구 후에도 증상이 반복된다면?
해당 드라이브는 이미 수명이 다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기적 사용은 위험하므로 새 드라이브로 교체 후 데이터를 옮기는 것이 안전합니다.

USB나 외장하드에서 '포맷하세요'라는 메시지가 나와요.
파일 시스템 오류나 배드섹터가 발생했을 때 주로 나오는 증상입니다. CHKDSK나 TestDisk로 복구를 시도해보고, 중요한 데이터가 있다면 바로 복사하거나 전문 복구 업체에 의뢰하는 것이 좋습니다.

TestDisk로 복구했는데 드라이브가 RAW로 뜨는 경우는?
RAW 상태는 파일 시스템이 인식되지 않을 때 생기며, TestDisk에서 파티션 구조가 잘못 복원되었거나 섹터 손상이 있는 경우입니다. PhotoRec 등으로 개별 파일 복구를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CHKDSK 실행 시 ‘읽기 전용’ 또는 ‘액세스 거부’ 메시지가 뜰 때는?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지 않았거나, 디스크가 시스템 예약 파티션일 수 있습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다시 시도하거나 안전모드에서 수행해보세요.

로우레벨 포맷을 하면 배드섹터가 사라지나요?
물리적인 손상이 아닌 논리적 오류의 경우 효과가 있지만, 실제 물리적 배드섹터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단지 사용하지 않도록 마킹하여 더 이상 접근하지 않게 막는 것뿐입니다.

데이터 복구보다 디스크 사용 가능 여부가 더 중요할 때는?
포맷이나 초기화 전, 배드섹터가 디스크 전체에 걸쳐 있지 않고 일부분일 경우 그 구역을 피하고 나머지 공간만 파티션을 재분할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다만 임시방편이며 권장되진 않습니다.

배드섹터가 발생한 드라이브도 재활용할 수 있나요?
개인적인 실험이나 중요하지 않은 자료의 임시 저장용으로는 가능하지만, 시스템 디스크나 중요 백업 용도로는 절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배드섹터가 발생해 더이상 디스크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파티션 삭제해서 파티션 초기화 / 정밀포맷을 진행해 보느것도 또하나의 방법이며 중요한 데이터는 늘 안전한곳에 백업을 하는것을 권장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