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세금/일상 건강

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 - 연봉 월급 봉급표

잡가이버 2025. 11. 13. 11:08
728x90
반응형

2024~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과 연봉·월급·호봉표 한 번에 정리

최근 몇 년 사이에 공무원 보수 정책이 꽤 빠르게 바뀌면서 2024년·2025년·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에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9급 초임 준비 중인 공시생이나 이직을 고민하는 현직 공무원이라면, 실제 월급이 얼마나 오르는지, 연봉으로는 어느 정도 수준인지 체감이 잘 안 되는 경우가 많죠.

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 - 연봉 월급 봉급표

여기서는 2024년 공무원 봉급표를 중심으로, 2025년 확정 인상률과 2026년 예산안 기준 인상 방향까지 이어서 살펴보면서 앞으로의 흐름을 같이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2024년에는 공무원 보수가 평균 2.5% 인상되었고, 저연차·하위직에 추가 인상이 들어가면서 9급 1호봉은 약 6% 수준까지 오른 구조입니다.

2025년에는 전체 보수가 3.0% 인상되고, 7~9급 일부 구간은 다시 한 번 더 올려 9급 1호봉 기준 6.6% 인상으로 확정되었고, 2026년 예산안에는 공무원 보수를 3.5% 인상하는 안이 담기면서 9년 만에 가장 높은 인상률이 예고된 상태입니다.

2024·2025·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 한눈에 비교

먼저 최근 3개 연도를 간단히 비교해 보면 전체적인 공무원 보수 방향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감이 잡히기 좋습니다.

연도 공무원 보수 인상률 (평균) 저연차·하위직 추가 인상 특징 요약
2024년 약 2.5% 9급 1호봉 등 7~9급 일부 구간 추가 인상 9급 1호봉 연 3,010만 원(월 평균 약 251만 원) 수준으로 상승, 청년·저연차 공무원 처우 개선 시작점으로 평가
2025년 3.0% 9급 1호봉 6.6% 인상, 7·8급 1호봉도 추가 인상 반영 9급 초임 봉급이 처음으로 월 200만 원을 넘기며, ‘하후상박’ 기조를 더 강하게 적용한 해.
2026년 3.5% (예산안 기준) 구체 구간별 봉급표는 추후 확정·고시 예정 2017년 이후 9년 만에 최대 인상률로, 민간 대비 뒤처진 보수를 조금이라도 끌어올리기 위한 조정이라는 평가.

2024년 공무원 봉급표 이미지로 보기

숫자만 쭉 나열된 표보다 한 장의 이미지가 더 보기 편할 때가 많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2024년 공무원 월급·연봉·호봉별 봉급표 전체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자료입니다.

2024년 공무원 월급, 호봉, 연봉이 정리된 공무원 봉급표 전체 이미지

2024년 공무원 봉급표로 보는 계급·호봉별 월급

2024년 봉급표를 기준으로 보면, 같은 해에 임용되더라도 계급과 호봉에 따라 월급 차이가 꽤 큽니다. 1급에서 9급까지 계급별 첫 호봉(1호봉) 봉급만 간단히 정리해 보면 대략 이런 분위기입니다.

· 1급 1호봉 : 약 430만 원대 · 3급 1호봉 : 약 350만 원 안팎 · 5급 1호봉 : 약 270만 원대 · 7급 1호봉 : 약 200만 원 초반 · 9급 1호봉 : 2024년 기준 180만 원대 초반에서 출발

여기에 2024년부터는 9급 1호봉 기준 연간 보수가 약 3,010만 원(월 평균 251만 원) 수준까지 올라갔고, 2025년에는 초임 연봉이 3,222만 원(월 평균 269만 원) 수준으로 더 올라가면서 ‘최저임금 수준에 가깝다’는 불만을 일부 완화하는 형태로 설계되었습니다. 

상세 2024년 공무원 호봉별 봉급표 (1급~9급)

아래 표는 2024년 기준 1급부터 9급까지 호봉별 봉급(세전, 월지급액)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실제 수령액은 각종 수당·공제(연금, 건강보험, 세금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참고용으로 보는 것이 좋습니다.

2024년 공무원 호봉별 봉급표 (1급~9급, 단위: 원 / 세전)
호봉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9급
1 4,359,105 3,924,228 3,540,501 3,034,423 2,711,666 2,252,404 2,023,131 1,861,058 1,825,695
2 4,511,839 4,069,801 3,671,445 3,158,308 2,821,229 2,357,155 2,115,406 1,921,372 1,845,284
32           4,682,689      

공무원 연봉을 볼 때 같이 체크하면 좋은 포인트

봉급표만 보면 숫자가 굉장히 촘촘해서 감이 잘 안 오는데, 실제로는 연봉과 실수령액을 같이 보는 게 훨씬 현실적입니다. 특히 공무원 준비를 시작하는 단계라면 아래 항목들을 같이 보면서 본인 상황에 맞는지 차분하게 따져보는 게 좋습니다.

1. 봉급만 보지 말고 수당까지 포함해서 연봉을 계산하기

공무원 급여는 기본적으로 봉급 + 각종 수당 구조입니다. 직급보조비, 정근수당, 가족수당, 시간외수당, 명절휴가비, 성과상여금 등 여러 항목이 더해지기 때문에 봉급표에 찍힌 금액보다 실제 연봉은 더 높게 나옵니다.

다만 수당은 개인 상황과 근무형태에 따라 차이가 커서, 다른 사람 후기를 그대로 본인에게 대입하기보다는 ‘최소·평균·많이 받는 경우’ 정도로 상·하한을 나눠서 보는 게 더 현실적입니다.

2. 2024년 이후 인상률 흐름만 놓고 보면 나쁜 편은 아니다

물가를 생각하면 여전히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지만, 숫자만 놓고 보면 2023년 이후 공무원 보수 인상률은 조금씩 속도를 올리고 있습니다.

대략 2023년 1.7% → 2024년 2.5% → 2025년 3.0% → 2026년 3.5%(예산안) 순으로 이어지고 있어, 코로나 이후 사실상 제자리였던 보수를 조금씩 끌어올리는 분위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민간 임금 대비 공무원 보수 수준이 2020년 90%대에서 2024년 기준 80% 초반까지 떨어졌다는 분석도 있어서, ‘이번 몇 년 인상으로 과거와의 격차가 단번에 줄어든다’고 보기는 어렵고, 중장기적으로 계속 지켜봐야 하는 이슈에 가깝습니다. 

3. 최저임금과 비교해서 체감하기

공무원 봉급 이야기가 나올 때 빠지지 않는 것이 최저임금과의 비교입니다. 2024년 9급 1호봉 보수는 연 3,010만 원 수준, 2025년에는 3,222만 원 수준으로 올라가면서 과거에 비해 최저임금과의 차이가 조금씩 벌어지는 구조로 가고 있습니다.

그래도 물가·주거비를 고려하면 여전히 ‘넉넉하다’고 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고, 그 때문에 저연차 공무원의 이직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초임 기준으로만 비교하기보다는, · 5년 차 / 10년 차 / 15년 차 정도에서의 봉급 + 평균 수당이 어느 정도인지, · 안정성과 워라밸, 연금까지 합쳐서 본 삶의 총합이 나에게 맞는지까지 같이 보는 편이 현실에 좀 더 가깝다는 느낌입니다.

자주 궁금해하는 2024~2026 공무원 봉급 관련 Q&A

Q. 9급 1호봉 기준으로 실제 월 실수령액은 어느 정도라고 보면 될까?

연봉·봉급표에 나와 있는 금액은 세전 기준이라, 실제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은 이보다 적게 들어옵니다.

연금·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고용보험·소득세·지방소득세 등이 빠지고, 반대로 정근수당·직급보조비·정액급식비 같은 기본적인 수당이 더해지기 때문에 지역·가족 구성·근무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2024~2025년 9급 1호봉 기준으로는 세후 190만~210만 원 사이 구간에서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Q. 봉급표에 나온 숫자만 보고 연봉을 어떻게 대략 계산하면 좋을까?

가장 단순하게는 월 봉급 × 12개월을 기본 연봉으로 보고, 여기에 정근수당·명절휴가비·성과상여금 같은 정기성 수당을 더해 주면 됩니다.

공개된 예시를 보면 9급 1호봉 기준으로 2024년 연 3,010만 원, 2025년 연 3,222만 원 정도로 계산되고 있어서, ‘봉급 × 12’보다는 대략 10~20% 정도 더해진 수준이라고 보면 감이 조금 더 잘 올 거예요. 

Q. 호봉은 매년 자동으로 오르는 건가?

일반적으로는 근무연수에 따라 매년 1호봉씩 오르는 구조지만, 무단결근이나 징계, 휴직 등 특정 사유가 발생하면 호봉 승급이 보류되거나 늦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같은 연차라고 해도 사람마다 호봉이 조금씩 다른 경우가 생기고, 그만큼 월급 차이도 벌어질 수 있습니다.

Q. 2026년 3.5% 인상은 확정된 건가, 아니면 변동될 여지가 있을까?

현재 기준으로는 2026년 예산안에 공무원 보수 3.5% 인상이 반영되면서 방향성은 잡혀 있는 상태입니다.

다만 세부 봉급표(계급·호봉별 금액)는 이후 고시에서 구체적으로 확정되기 때문에, 실제 각 호봉에서 얼마가 오를지는 추후 공식 자료를 한 번 더 확인하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Q. 공무원 봉급 인상률이 민간보다 항상 낮은 편인가?

항상 그렇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최근 몇 년간 통계를 보면 민간 대비 공무원 보수 수준이 조금씩 낮아지는 추세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그래서 저연차·하위직 처우 개선을 위해 7~9급에 추가 인상률을 얹는 방식이 계속 등장하는 중이고, 이 기조가 2026년 이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꽤 높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Q. 2024년 봉급표만 보고 2025·2026년 내 연봉을 대략 어떻게 예상해볼 수 있을까?

여기에 본인의 호봉이 1년마다 하나씩 올라가는 부분까지 더하면, 실제 체감 인상률은 표면 인상률보다 조금 더 크게 느껴지는 편입니다.

물론 저연차·하위직 추가 인상 구간에 걸려 있다면 그만큼 더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Q. 공무원 준비를 할 때 봉급표를 어느 정도까지 자세히 보는 게 좋을까?

 

2023년 공무원 연봉 및 월급 호봉 - 9급 ~ 1급

2023년 공무원 연봉 및 월급 호봉 - 9급 ~ 1급 공무원연금이 줄고 있는 가운데 2023년 공무원의 9급 공무원부터 1급까지의 1호봉부터 32호봉까지의 월급을 알아보겠습니다. 호봉 1급 2급 3급 4급 5급 6

jab-guyver.co.kr

정리하자면, 2024년부터 2026년까지는 공무원 보수가 조금씩 숨을 고르며 올라가는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고민이 사라지는 건 아니지만, 안정적인 급여 + 연금이라는 공무원 특유의 장점은 여전히 분명하기 때문에 본인이 원하는 삶의 방향과 지금의 숫자를 차분히 맞춰보면서 선택하는 게 결국 제일 현실적인 방법인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