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리뷰/윈도우 Tip

레노버 노트북 CMOS 바이오스 진입 부팅순서 바꾸는 방법 - UEFI 보안부팅

잡가이버 2025. 7. 10. 17:40
728x90
반응형

레노버 노트북 시모스 CMOS 바이오스 부팅 설정방법

레노버 노트북을 사용하다 보면 USB 부팅디스크를 이용한 윈도우 설치나 SSD 교체 후 부팅 순서를 변경해야 할 일이 생깁니다. 이럴 때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 바로 BIOS(바이오스) 또는 UEFI 설정 진입입니다.

BIOS는 노트북이 부팅되기 전 하드웨어 설정과 부팅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핵심 시스템으로, SSD, USB, CD-ROM 등 원하는 장치를 첫 번째로 부팅시키기 위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레노버 노트북은 모델에 따라 BIOS 진입 키가 다르거나, UEFI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윈도우10, 윈도우11 이후에는 빠른 부팅(Fast Boot)과 보안 부팅(Secure Boot) 기능이 기본 활성화돼 있어, USB 설치가 막히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죠.

레노버 노트북 CMOS 바이오스 진입 부팅순서 바꾸는 방법 - UEFI 보안부팅
레노버 노트북 시모스 CMOS 바이오스 진입방법

그럼 레노버 노트북의 BIOS 진입 방법부터 부팅 순서 변경, UEFI 설정, 그리고 Secure Boot 및 Fast Boot 해제 방법까지 최신 기준으로 하나하나 정리해보겠습니다.

레노버 노트북 시모스 Cmos 부팅 접속 단축키

레노버 노트북을 부팅 할때  첫 부팅 시 뜨는 Lenovo 로고가 실행된 되었을 때 바이오스 접속 단축키를 입력합니다.

제품군 모델 예시 Bios 진입 키 특이사항
레노버 씽크패드(ThinkPad) X1 Carbon, T14, E15 등 F1 또는 Enter → F1 로고 화면에서 빠르게 눌러야 함
레노버 아이디어패드(IdeaPad) 3, 5, Flex, Gaming 시리즈 등 F2 또는 Novo 버튼 일부 모델에 Novo 버튼 탑재 (작은 핀홀)
레노버 요가(Yoga) Yoga 6, Yoga 7i, Yoga Slim 등 F2 또는 Novo 버튼 화면 회전 및 터치스크린 기능 탑재
레노버 리전(Legion) Legion 5, 7 시리즈 F2 또는 F1 게이밍 BIOS 레이아웃
레노버 노트북 일반형 레노버 S145, V15 등 F2 일부 저가형은 F1일 수 있음
데스크탑 (ThinkCentre, Legion Tower 등) M 시리즈, T 시리즈 F1 또는 Del 키보드 인식 지연 주의

바이오스 접속 단축키 "fn + F2"를 접속될 때까지 눌러주는데 이 때 각 노트북 모델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위 표를 참고하세요

Secure Boot / Fast Boot 설정 (UEFI BIOS 기준)

설정 항목 위치 설정 방법 설명
Secure Boot BIOS → Security 또는 Boot → Secure Boot Disabled USB 부팅, 비공식 OS 설치를 위해 해제
Boot Mode (부팅 모드) BIOS → Boot → Boot Mode UEFI / Legacy / Auto 중 선택 USB 또는 OS 요구에 따라 변경
Fast Boot BIOS → Startup 또는 Configuration Disabled 권장 BIOS 진입이 어려울 경우 해제
USB Boot / Legacy USB Support BIOS → Boot 또는 Advanced → USB Enabled USB 키보드 인식, USB 부팅 허용
PXE Boot / Network Boot BIOS → Boot 또는 Advanced Disabled (필요 시 Enabled) 일반 사용자에겐 불필요, 기업 환경은 필요할 수 있음

설정 변경 순서 (공통 절차)

  1. BIOS 진입: 부팅 시 F2 또는 F1, 혹은 Novo 버튼 사용
  2. Boot 또는 Security 메뉴 이동
  3. Secure Boot 항목 → Disabled로 변경
  4. Fast Boot 항목 → Disabled로 변경 (선택 사항)
  5. USB Boot → Enabled
  6. 변경 후 F10 → Save & Exit

윈도우 레노버 UEFI 펌웨어 설정

만약 위의 "fn + F2"키를 눌러 바이오스 접속이 잘 되지 않는다면 윈도우를 부팅된 상태에서 UEFI 펌웨어에서 접속할 수 있습니다.

  1. 윈도우키를 눌러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2. 업데이트 및 보안을 선택합니다.
  3. 복구 메뉴를 클릭 후 다시 시작 버튼을 눌러주면 재부팅하면서 "문제해결"화면으로 부팅됩니다.

  1. 문제해결 "Troubleshoot"을 선택합니다.
  2. 고급옵션 "Advanced Options"를 선택합니다.
  3. Uefi 펌웨어 설정을 선택합니다.
  4. 다시 시작을 눌러 윈도우를 재부팅합니다.
  5. 그럼 자동으로 "바이오스 설정 인터페이스"로 접속됩니다.

Shift 키를 이용한 바이오스 설정 진입방법

그외에도 윈도우8,윈도우8.1,윈도우10 운영체제를 사용한다면 Shift 키를 이용해 부팅 시 바이오스 모드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1. Windows에서 로그아웃하여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2.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화면의 전원 버튼을 누릅니다.
  3. Shift 키를 계속 누른 상태에서 '다시 시작'을 클릭하면
  4. Hold down the Shift key. 파란색 화면과 함께 옵션 메뉴로 진입합니다.
  5. 문제 해결  고급 옵션  UEFI 펌웨어 설정  다시 시작을 순서대로 클릭합니다.
  6. 'BIOS setup utility' 인터페이스로 진입하게 됩니다.

이후 레노버 노트북의 Cmos "시모스"상태에서 부팅 순서를 USB나 SSD, 하드디스크 등으로 변경하거나 날짜 시간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레노버 바이오스(Fn + F2) 키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원인

  • Fast Boot(빠른 시작)가 활성화되어 있음
  • 외장 키보드 사용 시 신호 지연
  • 키보드 인식 전 로고 화면이 너무 짧게 지나감

해결 방법

  • 윈도우에서 Shift 키 누른 채 ‘다시 시작’ → 고급 옵션 → UEFI 펌웨어 설정으로 진입
  • Fast Boot를 비활성화하거나 바이오스 진입 키를 연타
  • 가능하면 노트북 내장 키보드 사용 권장

바이오스에서 USB 부팅 옵션이 보이지 않아요

원인

  • USB가 FAT32 형식이 아니거나, 부팅 가능한 디스크가 아님
  • UEFI 모드와 호환되지 않는 ISO 파일 사용
  • Secure Boot 활성화 상태

해결 방법

  • Rufus를 사용해 GPT + UEFI 형식으로 USB 부팅디스크 다시 제작
  • BIOS에서 Secure Boot → Disabled
  • Boot Mode → UEFI 또는 Legacy로 맞춤 설정

바이오스 설정 후 저장이 안 되고 자동으로 빠져나옵니다

원인

  • CMOS 배터리 전압 저하
  • BIOS 내부 오류 또는 설정 충돌
  • 저장 단축키(예: F10 → Yes) 누락

해결 방법

  • BIOS에서 “Load Default Settings” 후 다시 부팅 순서 설정
  • CMOS 배터리 교체 필요 시, 서비스센터 점검 (노트북은 내장형이 많음)
  • 저장 시 반드시 F10 → Enter → Yes로 적용

바이오스 화면에서 마우스가 안 움직입니다

설명: 레노버를 포함한 대부분의 BIOS는 마우스 지원을 하지 않거나 매우 제한적입니다. 방향키, Enter, ESC, +/– 키 등을 사용해 조작합니다. 일부 모델은 UEFI GUI 형태에서만 마우스 지원이 가능합니다.

BIOS에서 SSD가 인식되지 않습니다

원인

  • SSD 장착 불량 또는 케이블 문제
  • SATA 모드가 AHCI가 아닌 다른 설정
  • SSD 초기화가 되지 않아 부팅 인식 안 됨

해결 방법

  • BIOS → Storage 또는 Configuration에서 SATA Mode = AHCI로 설정
  • 다른 포트나 슬롯에 연결 후 확인
  • SSD가 새 제품일 경우, 윈도우 설치 USB로 부팅 후 파티션 초기화 필요

BIOS에서 언어가 영어로만 나오는데 한국어 설정은 없나요?

설명: 레노버 바이오스는 대부분 다국어를 지원하지 않으며 영어 전용입니다.

BIOS 언어 변경은 불가능한 경우가 많으며, UEFI GUI 기반 BIOS 일부에서 중국어/일본어 선택이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한국어는 미지원입니다.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