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 유효하지 않은 라이센스가 감지되었습니다. 오류
오토캐드 “유효하지 않은 라이센스가 감지되었습니다” 경고 뜰 때 정품 기준 해결 방법
Autodesk AutoCAD를 실행했을 때 “유효하지 않은 라이센스가 감지되었습니다”라는 팝업이 반복해서 뜨면 꽤 당황스럽습니다. 메시지 안에는 “무단 출처에서 구입했을 가능성”, “정품 서브스크립션 구매 필요”, “감사 및 법적 조치” 같은 문구까지 들어 있어서, 정품 사용자인데도 순간 불안해지기도 하죠.
먼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은, 크랙 버전이나 불법 라이센스를 계속 쓰는 것은 추천할 수 없고 법적으로도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런 경고가 떴다는 건 오토데스크 쪽에서 라이센스를 비정상적인 상태로 인식했다는 뜻이기 때문에, 가장 안전한 방향은 정품 상태를 다시 확인하고 필요하면 재설치·정식 구독으로 정리하는 쪽입니다.
아래에서는 정품 사용자 기준으로, 이 메시지가 왜 뜨는지와 함께 라이센스 정보 점검, 캐시 정리, 방화벽·프록시 확인 같은 비교적 안전한 범위의 조치들 위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토캐드 “유효하지 않은 라이센스” 메시지 종류와 기본 점검

문제가 생겼을 때 대략 아래와 비슷한 문구가 나타납니다.
“유효하지 않은 라이센스가 감지되었습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무단 출처에서 모르고 구매했거나 이 디바이스에 원래 들어 있었던 것일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정품 서브스크립션을 구매해야 합니다.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AutoCAD에 대한 액세스가 차단되며 감사 및 법적 조치가 취해질 수 있습니다.”
이런 메시지는 크게 세 가지 상황에서 많이 보입니다.
| 상황 | 가능한 원인 |
|---|---|
| 정품인데도 라이센스 오류가 뜨는 경우 | 네트워크 문제, 방화벽·프록시로 라이센스 서버에 연결 실패, 예전 버전 잔여 파일 충돌 |
| 예전에 크랙 버전 사용 이력이 있는 PC | 비정상 라이센스 정보가 남아 있어서 정품 설치 후에도 의심 상태로 인식 |
| 저가 거래·중고로 받은 계정, 공유 계정 사용 | Autodesk에서 계정·시리얼의 비정상 사용을 감지해 차단 또는 경고 |
정품 사용 중이라면 Autodesk 계정 정보, 설치 버전, 네트워크 연결만 제대로 맞춰줘도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크랙 버전이나 출처가 불분명한 설치 파일이라면, 지금이라도 정식 경로로 다시 정리하는 편이 안전합니다.
AcWebBrowser 관련 경고가 반복될 때 참고 경로


오토캐드를 실행할 때마다 AcWebBrowser와 연관된 창이 뜨거나, 특정 버전에서만 라이센스 체크 화면이 반복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모듈은 Autodesk의 웹 기반 라이센스·계정 관련 기능과 연결되는 부분이라, 문제 해결 과정에서 경로를 확인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경로 자체는 아래처럼 설치 버전에 따라 달라집니다.
C:\Program Files\Autodesk\AutoCADxxx\AcWebBrowser
C:\Program Files(x86)\Autodesk\Autodesk Desktop App\AcWebBrowser
여기서 AutoCADxxx의 xxx는 설치한 버전 이름으로 표시됩니다.
다만 이 경로나 파일을 인위적으로 바꾸거나 삭제해 라이센스 확인을 피하는 방식은 정식 사용 정책에 어긋날 수 있기 때문에 추천할 수 없습니다. 정품 사용자라면, 이 위치는 문제 분석이나 Autodesk 지원을 받을 때 참고용으로만 보고, 구체적인 조작은 공식 안내에 따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라이센스 캐시·설정 폴더 위치 확인
정품인데도 오류가 반복된다면 예전에 설치했던 버전이나 체험판, 잘못된 로그인 정보가 남아 충돌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Autodesk 라이센스 서비스가 사용하는 대표적인 위치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C:\ProgramData\FLEXnet\
C:\ProgramData\Autodesk\ADUT
C:\ProgramData\Autodesk\CLM\LGS
C:\Users\\AppData\Local\Autodesk\CLM
C:\Users\\AppData\Local\Autodesk\Web Services\LoginState.xml
C:\Users\\AppData\Roaming\Autodesk\ADUT
이 위치에는 라이센스 관련 캐시와 설정 정보가 들어 있기 때문에, 무심코 모두 삭제하거나 임의 수정하는 것은 피하는 편이 좋습니다.
대신 Autodesk 공식 안내에 따라 제거 도구를 활용하거나, 기술 지원을 통해 어떤 폴더를 정리해야 하는지 확인 후 작업하는 쪽이 안전합니다.
정품 사용자가 라이센스 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기본 흐름은 오토캐드 완전 제거 → PC 재부팅 → Autodesk 계정 확인 → 최신 버전 재설치 정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위 경로들이 남아 있으면 “예전에 쓰던 정보” 때문에 신규 설치가 꼬일 수 있으니, 반드시 공식 문서나 지원팀의 지침을 참고해 처리하는 게 좋습니다.
윈도우 Defender 방화벽과 오토캐드 라이센스 통신 확인
정품 서브스크립션을 사용 중인데도 라이센스 서버에 접속하지 못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Windows Defender 방화벽이나 보안 솔루션이 오토데스크 서버와의 통신을 막고 있지 않은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기업 환경에서는 보안 정책 때문에 특정 실행 파일이나 포트가 기본 차단되어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먼저 윈도우 로고키 + S를 눌러 검색창을 연 뒤, defender를 입력해 Windows Defender 방화벽을 실행합니다.

왼쪽 메뉴에서 고급 설정을 클릭하면, 인바운드·아웃바운드 규칙을 세부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화면이 열립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라이센스 관련 실행 파일을 막고 있는 규칙이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차단이 아니라 허용 쪽으로 조정하는 것입니다. 임의로 라이센스 통신을 끊어서 정품 확인을 우회하려는 방식은, 단기적으로는 메시지를 줄일 수 있을지 몰라도 Autodesk 정책에 위배될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계정 차단이나 법적 리스크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실제 방화벽 규칙을 새로 만드는 과정은 인바운드·아웃바운드 모두 비슷한 화면을 거치게 되며, 프로그램 경로로 오토캐드 실행 파일이나 관련 모듈을 지정한 뒤, 연결 차단이 아닌 허용 방향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기업망이나 관리형 PC에서는 개인이 임의로 방화벽을 만지는 것이 제한돼 있을 수 있으니, 이런 경우에는 사내 IT 담당자나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오토데스크 라이센스 서버 접속” 관련 예외 설정을 요청하는 것이 가장 깔끔합니다.
LMTOOLS · 라이센스 서버 사용 환경이라면
회사에서 네트워크 라이센스(플로팅 라이센스) 구조로 AutoCAD를 쓰는 경우, FLEXnet·LMTOOLS를 통해 중앙 라이센스 서버에 접속해 인증을 받게 됩니다. 이때 서버가 꺼져 있거나, 방화벽·프록시 때문에 포트가 막혀 있거나, 서버 시간·서비스 상태가 꼬여 있어도 클라이언트에는 “유효하지 않은 라이센스”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런 환경에서는 개인 PC에서 폴더를 지우거나 방화벽을 과감하게 만지는 것보다, LMTOOLS에서 라이센스 상태를 확인하고 서버를 재기동한 뒤, 관리자 권한으로 클라이언트 쪽 AutoCAD를 다시 실행해 보는 쪽이 더 현실적인 해결법입니다. 동시에 프록시 설정과 포트(일반적으로 2080, 27000~27009 등)가 제대로 열려 있는지도 확인해 보는 편이 좋습니다.
오토캐드 완전 삭제 후 정품 재설치 고려
여러 방법을 써도 라이센스 오류가 반복된다면, 오토캐드 관련 요소를 완전히 제거한 뒤 정품으로 다시 설치하는 것도 고민해 볼 만합니다. 예전에 크랙·체험판·구버전을 섞어서 사용한 PC일수록, 이런 “초기화 후 재설치”가 생각보다 깔끔한 해결책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토데스크 오토캐드 삭제 - 라이센스 서버, 재질, 로밍, 레지스트리 완벽제거
오토데스크 오토캐드 삭제 - 인벤터, 마야, 맥스 제거오류 해결 오토데스크의 프로그램으로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3DMAX, 3DMAYA, INVENTER, AUTOCAD, WORKFLOWER, ALIAS, FUSION360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으며
jab-guyver.co.kr
이때는 제어판·Autodesk Uninstall Tool 등을 활용해 제품을 모두 제거하고, 필요하면 남은 라이센스 서비스·캐시도 정리한 뒤 PC를 재부팅하고, Autodesk 공식 사이트에서 내려받은 설치 파일로 다시 설치하는 순서를 추천합니다.
프록시·VPN·보안 솔루션도 라이센스에 영향을 줄 수 있음
회사·학교·공공망에서는 프록시 서버, SSL 검사, DLP(정보 유출 방지) 같은 보안 장비가 앞단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과정에서 Autodesk 서버와의 통신이 중간에서 끊기거나 변형되면, 정품 계정인데도 인증이 실패하면서 “유효하지 않은 라이센스”로 오인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 환경에서 VPN이나 특정 IP 차단 도구를 쓰고 있다면 Autodesk 도메인이 그 안에 걸려 있지 않은지도 확인해 보는 게 좋습니다. 라이센스 확인이 필요한 순간만큼은 가급적 안정적인 일반 인터넷 회선을 사용하는 쪽이 오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Autodesk 계정으로 웹사이트에 로그인해 현재 구독 상태, 활성화된 디바이스 수, 관리 콘솔의 라이센스 할당 여부를 직접 확인해 보면, 계정 차원에서 문제가 있는지 여부도 어느 정도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오토캐드 라이센스 오류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정품 서브스크립션을 쓰고 있는데도 “유효하지 않은 라이센스”가 뜨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먼저 Autodesk 계정 웹페이지에서 구독 상태와 사용자 할당이 정상인지 확인하고, AutoCAD가 최신 버전인지, 인터넷 연결이 안정적인지 체크해 보는 게 좋습니다. 그다음 방화벽·프록시·보안 프로그램이 오토데스크 서버와의 통신을 막고 있지 않은지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오토캐드를 완전 제거 후 최신 버전으로 재설치하는 순서로 접근하면 대부분 해결됩니다.
예전에 크랙 버전을 잠깐 쓴 적이 있는데 지금은 정품으로 바꿨습니다. 그래도 문제될까요?
크랙 버전 사용 이력 자체가 이미 라이센스 정책을 위반한 상태이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비정상 설치 흔적을 최대한 정리하고 정식 라이센스만 사용하는 상태로 정리하는 게 좋습니다. 시스템 안에 남아 있는 비정상 라이센스 정보 때문에 정품 설치 후에도 오류가 이어질 수 있어, 필요하다면 오토캐드 완전 삭제·재설치와 함께 Autodesk 지원팀에 현재 상황을 솔직하게 문의해 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AcWebBrowser 관련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하면 라이센스 경고가 없어지나요?
일부 사용자들이 인터넷에 올려둔 방법 중에는 특정 폴더를 지우거나 이름을 바꾸는 식으로 Autodesk의 라이센스 체크를 피하려는 내용도 있지만, 이런 방식은 정식 라이센스 정책을 우회하는 행위가 될 수 있고, 장기적으로 계정·제품 차단이나 법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권장되는 방향은 우회가 아니라 정품 사용 상태를 정상적으로 맞추는 것입니다.
방화벽에서 오토캐드 관련 프로그램을 차단하면 경고창이 안 뜨는 것 같아요. 이렇게 써도 되나요?
방화벽으로 Autodesk 라이센스 서버 접속을 일부러 막아서 경고를 안 보이게 만드는 것은, 일시적으로 눈앞의 팝업만 숨기는 것일 뿐이고 라이센스 위반 상태를 해결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오히려 나중에 계정 감사나 제품 업데이트 과정에서 더 크게 문제가 될 수 있어, 정식 사용을 전제로 필요한 통신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설정을 잡는 게 안전합니다.
LMTOOLS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라이센스인데 특정 PC만 오류가 뜹니다. 어디를 볼까요?
먼저 라이센스 서버 쪽에서 서비스 상태, 포트, 서버 시간이 정상인지 확인하고, 문제가 있는 PC에서 서버로 핑·포트 테스트를 해 보면 네트워크 레벨의 문제인지 점검할 수 있습니다. 클라이언트 PC에서는 이전 버전의 오토캐드·라이센스 캐시가 남아 있지 않은지 확인하고, 필요하면 해당 PC에서 오토캐드를 제거 후 최신 버전으로 다시 설치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라이센스 오류가 뜬 상태로 계속 사용하면 정말로 법적 조치까지 이어질 수 있나요?
오토데스크는 기업·기관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감사를 진행하기도 하고, 명백한 불법 사용이 확인되면 추가 비용 청구나 법적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개인 사용자라도 크랙·불법 계정 거래 등은 위험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경고가 떴을 때 바로 정품 상태를 확인하고 정리해 두는 편이 마음도 편하고 안전합니다.
중고로 정품이라고 해서 산 계정인데, 나중에 유효하지 않다고 뜰 수도 있나요?
정식 리셀러나 Autodesk가 아닌 경로에서, 특히 너무 저렴한 가격으로 계정·시리얼을 구매했다면 나중에 도용 계정·불법 재판매로 판정되어 차단될 수 있습니다. 정품을 쓰고 싶다면 공식 파트너·공식 사이트에서 구입한 서브스크립션만 사용하는 것이 좋고, 이미 애매한 계정을 가지고 있다면 라이센스 계약 상태를 Autodesk 지원에 직접 문의해 보는 편이 안전합니다.
회사에서 쓰는 여러 Autodesk 제품이 한 번에 라이센스 오류를 띄우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utoCAD뿐 아니라 3ds Max, Maya, Inventor 등까지 동시에 문제가 생긴다면, 개별 PC보다는 라이센스 서버·프록시·방화벽·도메인 정책처럼 인프라 쪽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개인이 폴더를 지우는 것보다, IT 관리자와 함께 LMTOOLS·방화벽·프록시 설정을 전체적으로 점검하는 편이 훨씬 빠르게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앞으로 라이센스 문제 없이 AutoCAD를 안정적으로 쓰려면 어떤 점을 신경 써야 할까요?
가장 중요한 건 정식 경로로 구매한 계정만 사용하고, Autodesk 계정·구독 정보, 설치 버전을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여기에 더해 회사라면 라이센스 사용 현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사용자·PC 교체 시에는 Autodesk 콘솔에서 할당·회수 작업을 깔끔하게 처리해 두면 나중에 같은 경고를 마주칠 일이 훨씬 줄어듭니다.
'3D 2D 디자인 > Autodesk AutoC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오토캐드 라이센스 오류 해결방법 - 실행 안될 때 모든것 (0) | 2025.11.18 |
|---|---|
| 오토캐드 네트워크 라이센스 FLEXnET 오류 해결 (0) | 2025.11.11 |
| 오토캐드 도면을 엑셀 워드 깔끔하게 복사 붙여넣기 방법 (0) | 2025.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