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V, TFR-CV, F-CV 전선, TFR-8 전선 종류별 허용전류표
HIV, TFR-CV전선, F-CV 전선, TFR-8 전선 종류별 허용전류표

전기공사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전선의 허용전류입니다. 허용전류는 전선 종류, 전선의 굵기, 그리고 전선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다릅니다.

특히, IV 전선, HIV 전선, HFIX 전선, CV 케이블은 각기 다른 특징과 용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허용전류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전선의 종류와 특징
IV 전선
IV 전선은 내열 온도가 70℃로, 주로 내선에서 사용됩니다. 허용전압은 450/750[V]이며, 일반적인 전기배선에 널리 사용됩니다.
HIV 전선
HIV 전선은 IV 전선보다 내열 온도가 높은 90℃를 견딜 수 있습니다. 허용전압은 300/500[V]로 IV 전선보다 낮지만, 고온 환경에서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HFIX 전선
HFIX 전선은 HIV 전선과 동일한 내열온도(90℃)를 가지고 있지만, 허용전압은 450/750[V]로 성능이 더 우수합니다. 또한, 화재 시 독성 가스를 덜 배출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CV 케이블
CV 케이블은 주로 고부하가 걸리는 전기설비에 사용됩니다. IV 전선이나 HIV 전선에 비해 허용전류가 높고 절연성이 우수해 외부 환경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2. 허용전류표(허용전류 계산 방법)
전선의 허용 전류는 각 전선의 굵기, 종류 및 설치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 표는 전선 종류별로 허용 전류를 정리한 예입니다.
IV 전선의 허용 전류 (주위 온도 30℃ 기준)
공칭 단면적 (㎟) | 단열된 벽 내 전선관 (2개 부하 도체) |
단열된 벽 내 전선관 (3개 부하 도체) |
목재 벽면 전선관 (2개 부하 도체 |
목재 벽면 전선관 (3개 부하 도체) |
1.5 | 14.5 | 13.5 | 17.5 | 15.5 |
2.5 | 19.5 | 18 | 24 | 21 |
4 | 26 | 24 | 32 | 28 |
6 | 34 | 31 | 41 | 36 |
10 | 46 | 42 | 57 | 50 |
16 | 61 | 56 | 76 | 68 |
25 | 80 | 73 | 101 | 89 |
35 | 99 | 89 | 125 | 110 |
50 | 119 | 108 | 151 | 134 |
70 | 151 | 136 | 192 | 171 |
95 | 182 | 164 | 232 | 207 |
120 | 210 | 188 | 269 | 239 |
150 | 240 | 216 | - | - |
185 | 273 | 245 | - | - |
240 | 320 | 286 | - | - |
300 | 367 | 328 | - | - |
HIV 전선 및 HFIX 전선의 허용 전류 (주위 온도 30℃ 기준)
공칭 단면적 (㎟) | 단열된 벽 내 전선관 (2개 부하 도체) |
단열된 벽 내 전선관 (3개 부하 도체) |
목재 벽면 전선관 (2개 부하 도체) |
목재 벽면 전선관 (3개 부하 도체) |
1.5 | 19 | 17 | 23 | 20 |
2.5 | 26 | 23 | 31 | 28 |
4 | 35 | 31 | 42 | 37 |
6 | 45 | 40 | 54 | 48 |
10 | 61 | 54 | 75 | 66 |
16 | 81 | 73 | 100 | 88 |
25 | 106 | 95 | 133 | 117 |
35 | 131 | 117 | 164 | 144 |
50 | 158 | 141 | 198 | 175 |
70 | 200 | 179 | 253 | 222 |
95 | 241 | 216 | 306 | 269 |
120 | 278 | 249 | 354 | 312 |
150 | 318 | 285 | - | - |
185 | 362 | 324 | - | - |
240 | 424 | 380 | - | - |
300 | 486 | 435 | - | - |
주위 온도가 높을수록 전선의 허용 전류는 줄어듭니다.
주위 온도 (℃) | 보정계수 |
15 | 1.12 |
20 | 1.08 |
25 | 1.04 |
30 | 1.00 |
35 | 0.96 |
40 | 0.91 |
45 | 0.87 |
50 | 0.82 |
55 | 0.76 |
60 | 0.71 |
허용전류는 단위가 암페어(A)로 표시되며, 전선의 굵기(㎟), 설치 환경, 그리고 주위 온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전선의 허용전류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통해 계산됩니다:
전선의 허용전류 = 허용전류 × 주위온도 보정계수 × 집합 감소계수
3. 주위온도 보정계수와 집합 감소계수
- 주위온도 보정계수는 전선이 설치된 환경의 온도에 따라 허용전류를 조정하는 계수입니다. 예를 들어, 주위 온도가 25℃일 때 보정계수는 1.04입니다.
- 집합 감소계수는 여러 전선이 함께 설치될 경우 적용되는 계수로, 전선 수에 따라 허용전류가 감소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4개의 전선이 함께 설치되면 감소계수는 0.65가 됩니다.
4. 전선의 허용전류 예시
IV 전선
예를 들어, IV 4㎟ 전선을 목재 벽면에 전선관을 통해 설치하는 경우, 단상 220V에서의 허용전류는 32A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차단기를 설치할 때는 30A 이하의 차단기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CV 케이블
CV 케이블의 경우, 동일한 굵기의 IV 전선보다 허용전류가 높습니다. 예를 들어, CV 4㎟ 전선은 허용전류가 약 42A로, IV 전선보다 더 높은 전류를 허용합니다. 하지만, CV 케이블은 가격이 더 비싸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5. 전선 설치 시 고려사항
전선의 허용전류는 전선의 굵기, 설치 위치, 주위 온도, 그리고 전선의 집합 수 등에 의해 달라집니다. 따라서 전기공사를 하기 전에, 전선의 허용전류와 설치 조건을 꼼꼼히 계산하고, 그에 맞는 차단기를 설치해야 안전한 시공이 가능합니다.
참고 : [건강 세금/일상 건강] - 전기 용량에 따른 전선 굵기 및 차단기 선정 방법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전기공사를 계획하시면,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전선굵기와 차단기 변압기 용량 선정 계산공식 - 노랗IT월드
전기 설비에서 전선 굵기와 차단기 용량을 정확히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적절한 선정은 과부하와 전기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 용량에 따른 전선 굵기와
yellowit.co.kr
'건강 세금 > 일상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 보험대리점 해킹 보험업계 전체 긴장이유 보험계약자 알아야 할 점 (1) | 2025.04.28 |
---|---|
전기 용량에 따른 전선 굵기 및 차단기 선정 방법 (0) | 2025.04.28 |
가족관계를 끊는 방법? 친생자관계 부존재 소송과 호적 삭제 (1) | 2025.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