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로그 기록 확인 및 사용시간 조회 방법 - 윈도우 맥

잡가이버 2025. 10. 28.
728x90
반응형
728x170

컴퓨터 로그 기록 확인 및 사용시간 조회 방법 총정리 – 윈도우, 맥OS별 설정법

누가 언제 컴퓨터를 켰고, 얼마나 사용했는지 알고 싶을 때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자녀의 컴퓨터 사용을 관리하거나, 사무실에서 직원의 사용 이력 및 보안 점검을 해야 할 경우 컴퓨터 로그 기록 확인사용시간 조회 방법은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컴퓨터 로그 기록 확인 및 사용시간 조회 방법 총정리 – 윈도우, 맥OS별 설정법 안내

윈도우(Windows)와 맥(macOS)에서는 복잡한 툴 없이도 운영체제에 기본 내장된 기능만으로 이런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컴퓨터 로그 기록 확인 및 사용시간 조회 방법을 윈도우와 맥 기준으로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Windows에서 컴퓨터 사용시간과 로그 기록 확인하는 법

1. 이벤트 뷰어(Event Viewer)로 부팅 및 종료 시간 확인

이벤트 뷰어는 윈도우에 내장된 시스템 로그 도구로, 컴퓨터 로그 기록 확인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설정 방법

  1. Win + R 키 입력 → eventvwr.msc 입력 후 Enter
  2. 왼쪽 메뉴에서 Windows 로그 → 시스템(System) 클릭
  3. 오른쪽에서 현재 로그 필터링(Filter Current Log) 선택
  4. 이벤트 ID를 각각 필터링
    • 6005: 시스템 시작(부팅)
    • 6006: 시스템 종료
    • 6013: 사용시간(Uptime)

해당 이벤트를 더블클릭하면 날짜와 시간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 언제 켰는지얼마나 사용했는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로그 기록 확인 기능 중 가장 정확도가 높은 방법입니다.

2. 작업 관리자에서 실시간 사용시간(Uptime) 확인

작업 관리자는 현재 시스템이 켜져 있는 동안의 누적 사용 시간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설정 방법

  1. Ctrl + Shift + Esc 키로 작업 관리자 실행
  2. 성능(Performance) 탭 클릭
  3. CPU 항목에서 아래쪽에 표시된 업타임(Uptime) 확인

업타임은 컴퓨터가 마지막으로 부팅된 이후 꺼지지 않고 얼마나 켜져 있었는지를 나타냅니다.
실시간으로 사용시간 조회 방법을 빠르게 알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3. 명령 프롬프트(CMD)로 마지막 부팅 시간 확인

복잡한 로그 기록을 열지 않고 간단히 마지막 부팅 시간만 확인하고 싶다면, 명령 프롬프트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설정 방법

  1. Win + R → cmd 입력
  2. 다음 명령어 입력
  3.  
    systeminfo | find "부팅 시간"

결과로 표시된 부팅 시간 항목을 보면 마지막으로 시스템이 켜진 시점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컴퓨터 사용시간 조회 방법 중 가장 간단한 방식입니다.

4. 로그인/로그아웃 사용자 기록 확인 (보안 로그)

공유 PC나 업무용 컴퓨터에서 누가 사용했는지 확인하려면 이벤트 뷰어에서 보안(Security) 로그를 확인해야 합니다.

설정 방법

  1. 이벤트 뷰어 실행 → Windows 로그 → 보안(Security)
  2. 이벤트 ID 4624: 로그인 성공
  3. 이벤트 ID 4634: 로그아웃 성공

해당 로그를 클릭하면 사용자의 이름, 로그온 시간, 시스템 경로 등 상세 정보가 표시됩니다.
컴퓨터 로그 기록 확인 시 사용자별 활동 내역까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macOS에서 사용시간과 로그인 기록 확인하는 법

1. 터미널(Terminal)로 로그인 기록 확인

macOS에서는 터미널 명령어만으로도 컴퓨터 로그 기록 확인이 가능합니다.

설정 방법

  1. Spotlight 검색 (Cmd + Space) → ‘터미널’ 실행
  2. 아래 명령어 입력
  3.  
    last

현재 사용자뿐 아니라 이전 사용자들의 로그인 시각, 세션 지속 시간 등을 시간 순으로 나열해줍니다.
공유 맥이나 업무용 맥북에서 누가 언제 사용했는지 빠르게 알 수 있습니다.

2. uptime 명령어로 부팅 이후 사용 시간 확인

맥에서도 윈도우처럼 시스템이 부팅된 이후 얼마나 켜져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정 방법

  1. 터미널 실행
  2. 다음 명령어 입력
  3.  
    uptime

시스템이 켜진 이후 경과된 시간, 사용자 수, 평균 CPU 부하 정보가 함께 표시됩니다.
macOS 사용시간 조회 방법으로 자주 쓰이는 명령어입니다.

3. 스크린 타임(Screen Time)으로 일별 사용 기록 추적

GUI 환경에서 시각화된 정보를 보고 싶다면 ‘스크린 타임’ 기능을 이용하면 됩니다.

설정 방법

  1. 시스템 설정 → 스크린 타임
  2. ‘앱 사용 시간’, ‘화면 켠 시간’, ‘웹사이트 방문 기록’ 등 확인

가족 계정이나 업무용 계정을 설정하면 다른 사용자의 사용 기록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사용시간 조회 방법 중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좋은 방식입니다.

이처럼 윈도우와 맥 모두 기본 도구만으로도 컴퓨터 로그 기록 확인사용시간 조회 방법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회사, 가정, 학교 등 어디에서든 사용 이력을 파악해야 할 일이 있다면 위 방법들을 꼭 기억해두세요.

더 정밀한 추적이 필요한 경우에는 RescueTime, ManicTime, ActivTrak과 같은 외부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 기록 기능을 활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컴퓨터가 절전 모드나 최대 절전 모드였다가 켜진 시간도 확인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윈도우 이벤트 뷰어의 'Power-Troubleshooter' 로그(이벤트 ID 1)는 컴퓨터가 절전 모드에서 다시 켜졌을 때의 시간과 해제 원인(마우스, 키보드 등)을 기록합니다. 사용자 몰래 PC가 켜졌는지 확인할 때 유용한 방법입니다.

사용자별로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했는지까지 추적할 수 있나요?

윈도우의 기본 기능으로는 실행 시각이나 종류까지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응용 프로그램 로그’나 작업 스케줄러 이력 등을 통해 제한적인 확인은 가능합니다. 더 정밀한 추적을 원한다면 ManicTime, ActivityWatch, Hubstaff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관리자 권한 없이도 컴퓨터 사용 이력을 확인할 수 있나요?

일부 기능(작업 관리자, CMD uptime 명령어, macOS의 uptime 등)은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벤트 뷰어 보안 로그나 systeminfo 명령어 등은 관리자 권한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회사나 학교 PC에서는 권한 제한 여부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장 OS로 부팅한 기록도 남나요?

USB 부팅(라이브 리눅스, 설치 디스크 등)과 같은 외장 OS의 사용은 윈도우 또는 macOS 시스템 로그에 남지 않습니다. 다만 BIOS 부팅 순서 변경 기록, USB 연결 로그 등은 별도의 BIOS 또는 UEFI 감사 설정을 통해 일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컴퓨터 사용 시간을 기록해주는 기능이나 앱이 있나요?

네, 업무 시간 기록이나 생산성 분석이 필요한 경우, 자동 기록 기능이 있는 앱이 유용합니다. 대표적으로 RescueTime, ActivTrak, DeskTime, ManicTime 등이 있으며, 대부분 앱 실행 시간, 사용 빈도, 비활성 시간, 웹사이트 방문 기록 등을 자동으로 기록해줍니다. 일부는 스크린샷 기능도 지원합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