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 출력 도면 선 굵기와 색상 설정 CTB와 STB 차이
오토캐드에서 플롯(출력)을 이해하는 것은 도면 작업의 마지막 단계를 깔끔하게 마무리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단순히 프린터만 선택한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플롯 스타일, 용지 크기, 출력 옵션 등 여러 가지 요소가 맞물려 있어 정확히 이해하고 설정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제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출력 장치를 선택해야 합니다. 설치된 프린터나 플로터의 이름은 출력 시 표시되는 이름과 동일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글이나 엑셀에서 기본 프린터로 잡혀 있는 이름과 동일하게 선택하면 혼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 한 가지 중요한 옵션은 파일에 플롯 스타일 포함 여부입니다.
파일 자체에 플롯 스타일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체크 후 해당 스타일을 불러오면 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회사에서는 별도의 플롯 파일을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파일에 플롯 체크를 해제하고 기본 제공되는 플롯 스타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흑백 출력이 필요하다면 monochrome.ctb가 가장 많이 쓰이고, 컬러 출력이 필요하다면 acad.ctb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참고로 CTB 방식은 색상에 따라 선 굵기를 조절하는 방식이고, STB는 레이어나 객체별로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는 조금 더 세분화된 방식입니다. 다만 STB는 사용하는 빈도가 낮고 관리가 번거로워 실무에서는 대부분 CTB를 활용합니다.
용지 크기는 선택한 프린터에서 지원하는 사이즈만 표시되므로 원하는 크기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만약 PDF 출력을 원한다면 .pc3 프린터를 선택하면 다양한 규격의 PDF 파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면에 투명도가 적용된 경우 출력 결과가 기대와 다르게 나올 수 있는데, 이럴 땐 프린터 이름을 제외한 다른 옵션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흑백 레이저 프린터에서 acad.ctb를 사용할 경우 특정 선이나 면이 예상치 못한 결과로 나올 수 있습니다.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CTB 플롯 스타일이 보이지 않고 STB만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이는 해당 도면이 STB 플롯 스타일에 종속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해결 방법은 간단합니다.
명령창에 CONVERTPSTYLES를 입력하면 도면이 색상 종속(CTB) 모드로 변환되며, 이후 CTB 플롯 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또 다른 문제는 플롯 스타일 파일이 어디에 있는지 찾지 못하는 경우인데, 이때는 STYLESMANAGER 명령을 사용하면 됩니다.
실행 시 플롯 스타일 폴더가 바로 열리며, 오토캐드 옵션에서 지정된 경로와 실제 파일 경로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만약 다르다면 경로를 수정해야 하며, 숙련된 사용자들은 아예 플롯 스타일을 별도의 폴더로 관리해 혼란을 방지하기도 합니다.
정리하자면 오토캐드 플롯은 단순히 ‘출력’ 이상의 개념으로, 올바른 프린터 선택, 플롯 스타일 지정, 용지 크기 확인, 출력 옵션 검토까지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다뤄야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FAQ
오토캐드에서 플롯 미리보기는 꼭 확인해야 하나요?
플롯 미리보기는 실제 출력물의 상태를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특히 선 굵기, 배치 비율, 여백이 예상과 다르게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출력 전에 반드시 미리보기를 통해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출력 도면이 실제 용지 크기와 다르게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는 보통 축척 설정이 잘못되었거나 ‘맞춤 비율(Fit to paper)’이 잘못 적용된 경우에 발생합니다. 정확한 배율 출력이 필요하다면 비율을 1:1 혹은 원하는 스케일 값으로 직접 지정해야 하며, 자동 맞춤 옵션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CTB와 STB를 혼용할 수 있나요?
같은 도면에서는 혼용이 불가능합니다. 다만 기존 CTB 도면을 STB로, 또는 반대로 변환할 수 있는 명령어가 제공되므로 필요에 따라 변환 후 작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회사나 팀에서 사용하는 표준 스타일을 따르는 것이 협업 효율에 더 유리합니다.
PDF 출력 시 해상도를 높일 수 있나요?
PC3 설정에서 DPI 값을 조정하면 출력되는 PDF 품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은 보통 300DPI 정도지만, 선이나 텍스트가 흐리게 보인다면 600DPI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파일 용량도 커지므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투명도 출력이 안 될 때 해결 방법은 무엇인가요?
도면에서 투명도 기능을 사용했는데 출력 시 반영되지 않는다면, 플롯 대화상자에서 ‘투명도 인쇄(Plot transparency)’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기본값은 꺼져 있으므로 반드시 체크해 주어야 원하는 결과가 출력됩니다.
출력물에 특정 글자가 깨져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는 폰트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오토캐드는 SHX 폰트와 TTF 폰트를 모두 지원하는데, 도면에 설치되지 않은 글꼴이 사용되었을 경우 대체 글꼴로 표시되면서 깨져 보일 수 있습니다. 이때는 해당 폰트를 설치하거나 대체 폰트를 지정해주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3D 2D 디자인 > Autodesk AutoC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드드림 오토캐드 ZW캐드 호환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 (1) | 2025.06.02 |
---|---|
오토캐드 네트워크 에러코드 문제 FLEXnet Licensing 해결방법 (0) | 2025.06.02 |
오토캐드 초기화 - 설정 오류 발생 시 복원 (0) | 2025.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