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부팅에러 StartProcessAsCurrentUser 해결방법
윈도우 부팅에러 StartProcessAsCurrentUser 해결방법
StartProcessAsCurrentUser는 현재 사용자의 권한으로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NET Framework 메서드입니다. 이 메서드를 사용하면 Windows 서비스나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권한으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Windows 서비스는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되는데, 이 계정은 일반 사용자 계정보다 더 많은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권한이 일부 시나리오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StartProcessAsCurrentUser를 사용하면 현재 사용자의 권한으로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메서드는 세션 ID를 기반으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의 권한으로 프로세스를 시작하며 이러한 에러는 윈도우 부팅시 뜨며, 매번 이 창이 뜨면 번거로워집니다.
StartProcessAsCurrentUser 삭제방법
보는것과 같이 컴퓨터 부팅 시 윈도우 사용자 계정을 설정하는 부분에서 해당 에러창이 뜹니다.
우선 부팅 후 윈도우에서 제어판 -> 프로그램 제거 또는 변경 으로 들어갑니다.
그럼 보는것과 같이 eISP 2.0 이라는 브이아이피 게시자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C:\Program Files (x86) 폴더안에 VP 폴더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폴더를 삭제하거나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eISP 2.0 파일을 삭제해주면 윈도우부팅시 해당 에러창이 사라집니다.
eISP 무엇인가?
윈도우 부팅에러 원인 및 해결방법
윈도우 부팅 에러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하드웨어 문제, 소프트웨어 문제, 바이러스 감염 등이 있습니다.
윈도우 부팅 에러의 원인
윈도우 부팅 에러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하드웨어 문제 : 하드웨어의 고장, 이상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 소프트웨어 문제 : 운영체제나 드라이버 등의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 바이러스 감염 : 컴퓨터에 악성 코드가 감염되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윈도우 부팅 에러의 해결 방법
윈도우 부팅 에러는 발생한 원인에 따라 해결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윈도우 복구모드로 진입 : 윈도우 복구 모드로 진입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복구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은 컴퓨터 제조사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제조사 웹사이트를 참조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 찾아보세요.
- 시스템 복구 : 윈도우 시스템 복구 도구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복구 도구는 윈도우 설치 디스크나 USB를 사용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 드라이버 업데이트 : 문제가 발생한 원인이 드라이버에 있을 경우, 해당 드라이버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 스캔 :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문제일 경우,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바이러스를 검사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부팅 에러 관리 방법
- 이벤트 뷰어를 이용한 로그 확인
- 윈도우는 시스템 로그를 자동으로 기록되며 이벤트 뷰어를 사용하여 로그를 확인하고, 문제가 발생한 시각에 기록된 로그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시스템 복원점 생성
- 시스템 복원점을 생성하여, 문제가 발생하기 전의 상태로 시스템을 복원할 수 있습니다.
- 윈도우는 정기적으로 자동으로 시스템 복원점을 생성하지만, 사용자가 수동으로 생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시스템 검사 도구 실행
- 윈도우는 시스템 검사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 도구를 실행하여,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지 검사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윈도우 삭제 후 재설치
- 윈도우 부팅 에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윈도우를 재설치해야 할 수 있으며 이때, 데이터의 백업이 필수적입니다.
윈도우10 부팅 운영체제 여러개 뜰시 삭제방법
윈도우10 부팅 운영체제 여러개 뜰시 삭제방법 보통 하나의 PC에 하나의 운영체제를 설치하는것이 보통인데 간혹 하나의 컴퓨터에 윈도우10,윈도우8,윈도우7,윈도우XP등등 그외 맥북OSX나 리눅스
jab-guyver.co.kr
2000-master boot record hard drive has changed Error 해결방법
2000-master boot record hard drive has changed Error 해결방법이번에는 자주 생기는 에러는 아니지만 컴퓨터를 부팅할때 표제란과 같은 에러가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에러에 대한 정식 이름은 2000-Master
jab-guyver.co.kr
FAQ
부팅 시 StartProcessAsCurrentUser 오류가 매번 뜨는 이유는?
이 오류는 eISP 등 특정 보안 프로그램이 시작 프로그램으로 등록되었지만, 실행 권한이나 세션 ID가 맞지 않아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스템이 부팅되며 자동 실행을 시도하지만 권한 오류로 팝업이 뜨게 됩니다.
eISP 2.0을 제거해도 StartProcessAsCurrentUser 오류가 계속 발생합니다
프로그램 자체를 삭제했어도 레지스트리 또는 시작 프로그램 항목에 남아 있는 잔재 실행 명령 때문에 문제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 작업 관리자의 시작 프로그램 탭, 또는 msconfig → 시작 항목을 확인하여 관련 항목을 비활성화하거나, regedit에서 관련 경로 삭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StartProcessAsCurrentUser 오류가 뜨는 프로그램은 안전한가요?
해당 메서드는 합법적인 .NET API지만, 이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악성코드이거나 불필요한 금융 보안 모듈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의심스러운 프로그램이라면 VirusTotal 등에서 검사 후 삭제 여부를 결정하세요.
자가 수리 가능한가요? 혹시 윈도우 다시 설치해야 하나요?
이 문제는 시스템 손상이나 하드웨어 고장과 무관하므로 재설치 전 반드시 다음을 시도하세요:
- eISP 제거
- 시작 프로그램 목록 정리
- 레지스트리 클리너로 정리 (CCleaner 등)
- 이벤트 뷰어 로그 확인 후 문제 소프트웨어 식별
이벤트 뷰어에서는 어떤 로그를 봐야 하나요?
Windows 로그 > 시스템 항목에서 "오류"나 "경고" 항목 중, 부팅 시간대에 해당하는 항목을 중심으로 확인합니다. 오류코드와 함께 특정 서비스나 실행 파일명이 명시되므로 문제 소프트웨어를 추적하기에 좋습니다.
.NET 관련 오류는 어떻게 처리하나요?
.NET 런타임 오류일 수 있으므로, Microsoft .NET Framework Repair Tool을 실행하거나, 프로그램 및 기능에서 현재 .NET Framework를 제거 후 다시 설치해보세요.
다른 윈도우 버전에서도 이 문제가 발생하나요?
네. 해당 오류는 윈도우 10, 8.1, 7 등 .NET 기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환경에서는 모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Windows 11에서는 보안 기능이 더 엄격해져 이러한 오류가 더 빈번히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윈도우 부팅 시 운영체제가 2개 이상 표시되는 경우 삭제 방법은?
시작 > msconfig > 부팅 탭에서 사용하지 않는 OS 항목을 선택 후 삭제할 수 있으며, bcdedit 명령어를 통해 수동으로도 설정 가능합니다.
'IT 리뷰 > 윈도우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지텍 G Hub 초기화 무한로딩 - 블루투스 마우스 연결 페어링 (0) | 2025.04.11 |
---|---|
컴퓨터 전원 켜졌다 꺼졌다 파워교체 파워서플라이어 고장확인 (0) | 2025.04.11 |
윈도우10 암호분실 - 암호기억 마법사 복구 3가지 (0) | 2025.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