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데이트 후 윈도우10 복구모드 시스템 복원하는 법 - 안전모드 복원 초기화

잡가이버 2025. 7. 10.
728x90
반응형

윈도우10 복구모드 강제 진입과 초기화 방법 - 부팅 단축키

윈도우10을 사용하시다가 갑자기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부팅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특정 오류로 인해 반복 재시작되는 경우를 경험하신 적 있으실 겁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윈도우10의 복구모드(Repair Mode)나 안전모드(Safe Mode)로 진입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안전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윈도우10에서는 이전 버전인 윈도우7과 달리 F8 키만으로 간단히 안전모드에 진입할 수 없기 때문에, 복구모드 진입 단축키나 명령어, 고급 시작 옵션 설정 방법을 미리 알고 계시면 갑작스러운 오류에도 당황하지 않고 대응하실 수 있습니다.

시스템 오류 시 꼭 알아야 할 윈도우10 복구모드 사용법
윈도우10 복구모드 안전모드 활성화

그럼 윈도우10 복구모드 진입 방법과 안전모드 부팅 단축키, 시스템 초기화, 시동 복구, 명령어 설정까지 실용적인 팁을 정리해 드립니다. 갑작스러운 블루스크린이나 무한 재부팅 같은 상황에서도 포맷 없이 문제를 해결하실 수 있도록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10 안전모드 부팅 활성화

안전 모드는 윈도우 운영 체제의 특별한 부팅 옵션으로, 시스템 문제 해결에 유용합니다. 

구분 진입 방법 세부 설명
복구모드 자동 진입 시스템 오류 시 자동 진입 부팅 실패 2~3회 반복 시 자동으로 복구모드로 전환됨
수동 복구모드 진입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복구 > 고급 시작 재시작 후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메뉴로 진입
부팅 중 수동 진입 Shift 키 누른 상태에서 재부팅 로그인 화면 또는 시작 메뉴에서 사용 가능
설치 USB 사용 부팅 시 USB 삽입 후 F12 또는 ESC 등 제조사 키 입력 설치 화면에서 ‘컴퓨터 복구(R)’ 선택
F8 안전모드 복원 CMD에서 bcdedit /set {default} bootmenupolicy legacy 입력 후 재부팅 재부팅 중 F8 키 눌러 고전 부팅 옵션 활성화 가능
시스템 구성(msconfig) 실행창(Win + R) > msconfig 입력 → 부팅 탭 → ‘안전 부팅’ 체크 기본 / 네트워크 포함 안전모드 선택 가능
고급 시작 옵션 내 안전모드 복구모드 진입 →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 시작 설정 → 재시작 이후 숫자키 4(기본) / 5(네트워크) / 6(명령프롬프트) 선택
명령어로 재부팅 CMD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후 shutdown /r /o /f /t 0 입력 즉시 고급 시작 옵션으로 재부팅됨
복구모드 내 초기화 문제 해결 > 이 PC 초기화 선택 개인 파일 유지 / 전체 삭제 선택 가능
복구모드 내 시스템 이미지 복원 고급 옵션 > 시스템 이미지 복원 백업된 이미지가 있어야 사용 가능

이 모드를 사용하면 운영 체제는 필수적인 시스템 파일과 드라이버만 로드하여 부팅합니다. 이는 윈도우의 정상적인 기능보다 적은 리소스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안전 모드는 특히 컴퓨터가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때, 드라이버 충돌이나 레지스트리 오류와 같은 기술적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를 진단하고 수정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시작] 버튼을 클릭하고 [시스템 구성]을 검색하여 창을 띄웁니다.

윈도우10 시스템 구성 안전모드 부팅 설정

스템 구성의 두 번째 탭 [부팅]을 클릭하고 하단에 있는 [부팅 옵션]에서 [안전 부팅]을 체크하면 해당 옵션을 해제하기 전까지 자동으로 안전 모드로 부팅됩니다.

안전모드에서 인터넷을 활성화하고 싶다면 부팅 옵션 중 네트워크를 체크하면 됩니다.

  1. 기본 안전 모드: 이 모드에서는 최소한의 드라이버와 서비스만 시작되어, 사용자가 시스템을 검사하고 복원 점을 사용하여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게 합니다.
  2. 안전 모드와 네트워킹: 기본 안전 모드의 기능에 네트워크 드라이버와 서비스가 추가로 로드됩니다. 이는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 해결이나 업데이트 다운로드, 인터넷 접근이 필요할 때 선택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문제를 해결한 후에는 같은 방법으로 부팅 옵션을 해제하면 일반 모드로 부팅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이 재부팅되면 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 및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Windows 10의 강력한 기능을 활용하여 컴퓨팅 환경을 최적화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bcdedit /set {default} bootmenupolicy legacy

시작 -> CMD 명령프롬프트를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합니다.

그리고 아래의 입력값을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줍니다.

bcdedit /set {default} bootmenupolicy legacy

해당 키 값을 입력해주면 "윈도우10 안전모드" 접속이 가능하게 됩니다.

컴퓨터를 재부팅 하면서 복구모드 단축키 F8을 입력해줍니다.

윈도우10 안전모드 복구모드 부팅

윈도우10 복구모드 부팅방법

다른방법으로는 윈도우10 사용자라면 윈도우10 복구 -> 고급시작 옵션으로 복구모드 부팅 및 안전모드 부팅이 가능합니다.

문제해결 -> 고급옵션

문제해결 -> 고급옵션으로 들어갑니다.

  • 시스템 복원
  • 명령프롬프트
  • 시스템 이미지 복구
  • 시작 설정
  • 시동복구

시작설정을 선택합니다.

  • 저해상도 비디오모드 사용
  • 디버깅 모드사용
  • 부팅로깅 사용
  • 안전모드 사용
  • 드라이버 서명 적용 사용안함
  • 초기 실행 멀웨어 방지 프로그램 보호 사용안함
  • 시스템 오류 시 자동 다시시작 사용안함

컴퓨터가 부팅되면 9가지 부팅이 가능합니다.

  • 디버깅 사용
  • 부팅 로깅 사용
  • 저해상도 비디오 사용
  • 안전모드 사용
  • 안전모드 (네트워킹 사용)
  • 안전모드 ( 명령프롬프트 사용)
  • 드라이버 서명 적용 사용안함
  • 멀웨어 방지 보호 초기 실행 사용안함
  • 오류 발생 후 자동 다시시작 사용안함

안전모드 사용을 통해 안전모드로 부팅합니다.

윈도우10 복구모드 부팅방법

그럼 윈도우10 안전모드 접속이 가능해집니다.

그리고 Repair Mode (복구모드)로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해당 버전은 영문판으로 한글판을 사용시 모두 한글로 표시됩니다.

복구모드 접속 후 Troubleshoot "문제해결"를 선택합니다.

  1. 고급 옵션(Advanced options)을 눌러줍니다.
  2. 시동 복구 "Startup Repair"를 통해 문제가 있는 윈도우10을 복구가 진행됩니다.
  3. 이는 컴퓨터 상태에 따라 시간이 금방 걸릴수도 있으며 오래걸릴 수 있습니다.

리고 시동복구가 안된다면 윈도우 프로그램이 심각한 손상을 입었거나 하드웨어에 배드섹터가 발생했을 확률이 높습니다.

이런경우는 "윈도우 초기화"를 통해 처음 설치했던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초기화 데이터 삭제

윈도우10 초기화는 복구모드에서도 가능합니다.

Reset This Pc "PC 초기화"를 선택합니다.

시스템 이미지 복구(System Image Recovery)를 눌러 USB나 DVD 드라이브를 지정해서 복구를 진행합니다.

만약 해당방법으로도 윈도우10 초기화가 되지 않는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윈도우10 초기화 방법 포맷

윈도우10 초기화 방법 포맷 핸드폰처럼 컴퓨터도 사용하면 할수록 노후화되어 점점 재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워지며 이런 경우 포맷을 하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윈도우10 초기화 기능을 이용하면 포맷을 하지..

jab-guyver.co.kr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기존에 입력한 CMD 명령어를 다시 복구합니다.

CMD를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후 아래 입력값을 입력합니다.

bcdedit /set {default} bootmenupolicy standard

이상 윈도우10 복구모드 부팅 및 복구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윈도우10 안전모드 부팅방법이 궁금한 분들은 아래 참고하세요

 

윈도우10 안전모드 로그인 비밀번호 오류

윈도우10 안전모드 로그인 비밀번호 오류 윈도우10 운영체제를 사용하다가 안전모드로 부팅 시 로그인에 필요한 암호를 잊어버려 계속해서 로그인 오류가 발생하는 상황에 대한 해결책에 대해

jab-guyver.co.kr

 

윈도우10 안전모드 부팅 - Safe Mode 강제설정

윈도우10 안전모드 부팅 - Safe Mode 강제설정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출시한 윈도우는 현재 윈도우10 버전까지 출시되었으며 기존 버전과 달리 안전모드 즉 "Safe mode"에 접속하는 방법이 기존과

jab-guyver.co.kr

안전모드에서 키보드나 마우스가 작동하지 않아요.

해결 방법

  • USB 3.0 포트 사용 시 드라이버 미적용으로 작동 안 될 수 있습니다.
  • USB 2.0 포트에 연결해보세요.
  • 무선 키보드/마우스는 안전모드에서 인식 안 될 수 있으므로 유선 장치 사용 추천.

윈도우10 부팅 중 검정 화면만 나오고 넘어가지 않아요.

해결 방법

  •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문제일 수 있으므로 F8 반복 입력 후 안전모드 진입
  • 안전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삭제 또는 업데이트
  • 실패 시, [시동 복구] 또는 초기화를 고려해야 함

안전모드 진입 시 로그인 비밀번호를 모릅니다.

해결 방법

  • 로컬 계정 사용 시 비밀번호 초기화 디스크 없으면 재설정 불가
  • MS 계정이라면 비밀번호 재설정 링크로 복구 가능
  • 그래도 안될 경우, 별도 유틸리티(예: Hiren’s Boot CD)로 강제 초기화 가능

복구모드 진입 단축키가 작동하지 않아요.

해결 방법

  • F8, Shift + F8는 SSD 사용 시 타이밍 맞추기 어려움
  •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복구 > 고급 시작 옵션 경로에서 직접 진입 가능
  • 그래도 안될 경우, 설치 USB 부팅 후 "복구" 메뉴 활용

안전모드에서 인터넷이 안 됩니다.

해결 방법

  • "네트워크 포함 안전모드"로 진입하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
  • 부팅 옵션 선택 시 **4번이 아닌 5번 (네트워킹 포함)**을 선택해야 정상 연결됨

복구모드 진입 후 마우스 커서만 있고 멈췄어요.

해결 방법

  • 윈도우 시스템 손상일 가능성
  • 설치 USB로 부팅해 "시동 복구" 실행
  • 작동 안 되면 sfc /scannow 또는 DISM 명령으로 복구 시도

안전모드 진입 후 블루스크린(BSOD)이 뜹니다.

해결 방법

  • 시스템 파일이 손상됐거나 드라이버 충돌
  • sfc /scannow 또는 chkdsk 명령으로 디스크 복구
  • 심한 경우, 포맷 없이 윈도우10 재설치 추천

윈도우10 복구모드에서 시스템 복원이 안돼요.

해결 방법

  • 복원지점이 없거나 복원 지점 손상 가능
  • 설정 > 시스템 보호에서 복원 지점 생성해두는 습관 필요
  • 없는 경우, 초기화 또는 이미지 복구 활용

복구모드 진입이 반복돼 정상 부팅이 안됩니다.

해결 방법

  • 자동 복구 루프 문제
  • CMD 열고 bcdedit /set {default} recoveryenabled No 입력
  • 이후 bootrec /fixmbr → bootrec /fixboot 실행해 부팅 복원

복구모드 진입 시 설치 USB가 필요하다고 나옵니다.

해결 방법

  • 시스템 주요 파일 손상 시, 자체 복구 불가능
  •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미디어 생성 도구로 설치 USB 제작 후 진입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