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디펜더 완전 끄기 & 삭제 방법 총정리 (윈도우11, 10, 7 대응)
윈도우 디펜더 끄는 법부터 강제 제거까지, 꼭 필요한 정보 총정리
윈도우 디펜더는 윈도우 운영체제에 내장된 무료 백신 솔루션입니다. 하지만 일부 사용자에게는 이것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윈도우 디펜더가 컴퓨터 성능에 무리를 줄 수 있고, 특히 SSD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저장 공간도 차지한다는 점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다른 백신 소프트웨어와의 호환성
일부 사용자는 알약, V3, 카스퍼스키 등 다른 백신 솔루션을 선호합니다. 이러한 경우 윈도우 디펜더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다른 백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디펜더 기능 | 설명 |
실시간 보호 | 컴퓨터에 악성 코드나 바이러스가 침투하는 것을 감지하고 차단하여 시스템을 보호합니다. |
스캐닝 및 검출 | 시스템 파일 및 다운로드 파일 등을 주기적으로 스캔하여 악성 소프트웨어를 검출하고 처리합니다. |
바이러스 및 스파이웨어 탐지 | 바이러스, 트로이 목마, 웜, 스파이웨어 등의 악성 소프트웨어를 탐지하고 차단합니다. |
네트워크 보호 | 악성 활동이나 외부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차단할 수 있습니다. |
방화벽 기능 | 외부로부터의 공격을 방어하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여 시스템 보안을 강화합니다. |
브라우저 보호 | 악성 웹사이트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고, 피싱 사이트 및 악성 링크 접근을 차단합니다. |
자동 업데이트 | 윈도우디펜더의 바이러스 정의 파일과 엔진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여 최신 보안 기능을 유지합니다. |
스마트 스크린 필터 | 다운로드 파일 및 앱의 신뢰성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신뢰할 수 없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지 않도록 차단합니다. |
클라우드 보호 | 실시간으로 클라우드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며, 알려진 악성 파일을 신속하게 탐지하여 보호합니다. |
또한 윈도우 디펜더는 상대적으로 무겁고 많은 시스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SD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윈도우 디펜더가 차지하는 공간이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윈도우디펜더 비활성화 방법
1.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윈도우 보안으로 이동합니다.
2. 바이러스 및 위협 보호 > 설정 관리로 이동하여 "실시간 보호"를 끕니다.
만약 그래도 완전히 삭제하고 싶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청하거나 시스템 설정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Registry 편집 등 고급 작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7 윈도우 디펜더 삭제 사용해지 방법
윈도우 7과 윈도우 10에서 윈도우 디펜더를 비활성화 또는 삭제하는 방법은 상당히 유사합니다. 다만, 인터페이스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윈도우 7 기반으로 설명을 하되, 윈도우 10에서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보는것과 같이 윈도우7의 윈도우디펜더 (Windows Defender) 의 모습입니다.
윈도우디펜더 삭제하기 위해서는 로컬그룹정책편집기를 실행해서 기능을 비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 실행 창 열기: 윈도우키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
- GPEDIT.MSC 입력: 실행 창에 gpedit.msc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창이 열리면 아래 경로로 이동합니다.
그러면 보는바와 같이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창이 활성화되면 아래의 경로로 이동합니다.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요소 > Windows Defender (또는 Windows Defender Antivirus)
Windows Defender 해제: 이 설정을 찾으면, "Windows Defender 해제"를 선택합니다. 기본 설정은 "구성되지 않음"입니다.
해제 활성화: "해제를 사용"으로 설정을 변경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확인: 윈도우 디펜더를 다시 실행해 보면, "이 프로그램이 꺼져 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와야 합니다.
여기서 제목을 잘 읽어보면 디펜더 사용이 아닌 디펜더 해제 이므로 해제를 사용으로 눌러야 윈도우디펜더를 사용하지 않게됩니다.
윈도우 디펜더 해제 (Windows Defender 해제)에 사용으로 체크 후 확인을 누릅니다.
그러고 윈도우디펜더를 다시 실행하면 이렇게 이 프로그램이 꺼져 있습니다 라고 하면서 무거운 윈도우 디펜더를 사용해제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디펜더 강제 삭제 또는 차단 방법
1. 레지스트리 편집으로 디펜더 비활성화
윈도우 홈 버전에서는 그룹 정책 편집기(GPEDIT)가 없기 때문에 레지스트리 편집으로 차단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Win + R → regedit 입력 → 확인 후 아래 경로로 이동
HKEY_LOCAL_MACHINE\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 Defender
오른쪽 창에서 DisableAntiSpyware 값을 만들어서 1로 설정
없으면 새로 만들기 > DWORD(32비트) 값 → DisableAntiSpyware → 값 1
재부팅하면 디펜더가 자동으로 꺼짐
※ 다시 활성화하려면 해당 값을 0으로 변경하거나 삭제 후 재부팅
2. PowerShell로 관련 서비스 비활성화

Windows Powershell(관리자 권한)에서 아래 명령어 입력
Set-MpPreference -DisableRealtimeMonitoring $true
Stop-Service WinDefend -Force
※ 일부 명령어는 관리자 권한에서도 거부될 수 있으며, Defender는 Windows 보안이 중요하기 때문에 백그라운드에서 자동 복원될 수 있어.
3. Defender Control 유틸리티 사용 (비공식 툴)
Defender Control이라는 경량 유틸리티는 클릭 한 번으로 디펜더를 완전히 비활성화해주는 프로그램이야.
- 다운로드 후 실행 (관리자 권한 필요)
- "Disable Windows Defender" 클릭
- 실시간 보호 및 백엔드 서비스 모두 종료
- 다시 사용할 때는 "Enable Windows Defender" 클릭
※ 신뢰할 수 있는 소스에서만 다운로드하고, 실행 전 바이러스 검사 필수
4. Defender 관련 서비스 완전 차단 (고급)

services.msc를 실행해 다음 항목을 수동 또는 사용 안 함으로 변경 (단, 재부팅 후 복원될 가능성 높음)
- Windows Defender Antivirus Service
- Windows Defender Antivirus Network Inspection Service
단, 이 방법은 서비스가 다시 자동으로 복구되는 경우가 많아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결국 윈도우 디펜더는 윈도우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제공받는 강력한 보안 도구이지만, 사용자의 환경과 목적에 따라 꼭 필요한 기능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성능 저하나 저장공간 문제, 혹은 외부 백신 프로그램과의 충돌 등으로 인해 디펜더를 비활성화하고자 한다면,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신중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비활성화만 해도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충분하며, 윈도우 프로페셔널 이상의 사용자라면 그룹 정책 편집기를 통해 비교적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완전 삭제는 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피하는 것이 좋고, 진행한다면 반드시 백업과 복구 방법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디펜더를 끄는 대신 믿을 수 있는 대체 백신을 반드시 설치하고, 자신의 보안 환경을 점검하는 습관입니다. 윈도우 보안 설정을 바꾸는 일은 간단해 보일 수 있지만, 그만큼 책임도 따르기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FAQ
윈도우 디펜더를 꺼도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가는 것처럼 보일 때가 있어요. 진짜 꺼진 건가요?
윈도우 디펜더의 일부 서비스는 설정상 ‘실시간 보호 끄기’를 해도 잠시 후 자동으로 재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보안 업데이트가 진행될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탐지 모듈이 다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완전히 끄려면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나 보안 센터 서비스 자체를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윈도우 디펜더가 비활성화되어 있는데 다시 켜지지 않아요. 왜 그런가요?
다른 백신 프로그램(예: V3, 알약, 카스퍼스키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윈도우 디펜더는 자동으로 비활성화됩니다.
해당 백신을 제거하지 않으면 윈도우 디펜더의 실시간 보호 옵션이 회색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먼저 타 백신을 삭제한 뒤 재부팅하고 디펜더를 다시 켜보세요.
윈도우 디펜더가 삭제된 것처럼 보이는데 다시 설치할 수 있나요?
윈도우 디펜더는 윈도우의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로 완전 삭제가 공식적으로는 불가능합니다.
다만, 시스템 파일이 손상됐거나 일부 설정이 꼬인 경우 DISM 또는 SFC /scannow 명령어를 통해 복구가 가능합니다.
윈도우11 시스템손상 복구 SFC Scannow Dism 명령어 차이
윈도우11 시스템손상 복구 SFC Scannow Dism 명령어 차이 윈도우를 사용하면서 블루스크린 및 인터넷 연결오류, 랜카드 설치 및 컴퓨터 소리 안남, 윈도우 업데이트 실패 등 다양한 윈도우 사용 중 시
jab-guyver.co.kr
그래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윈도우 기능 복구 설치(Repair Install)를 진행해야 합니다.
윈도우 홈 버전에서는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GPEDIT.MSC)를 사용할 수 없어요. 다른 방법이 있나요?
윈도우 홈 버전에는 GPEDIT가 기본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해 디펜더 기능을 끌 수 있습니다.
예: HKEY_LOCAL_MACHINE\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 Defender 경로에 DisableAntiSpyware 값을 DWORD(32비트)로 생성하고 값을 1로 지정하면 디펜더가 비활성화됩니다.
단, 실수 시 시스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디펜더 끈 상태로 오래 써도 괜찮은가요?
다른 신뢰할 수 있는 백신을 설치했다면 괜찮습니다.
하지만 아무런 보안 솔루션 없이 윈도우 디펜더까지 꺼놓은 상태는 바이러스, 피싱, 랜섬웨어 등 다양한 보안 위협에 매우 취약합니다. 최소한 실시간 보호가 되는 백신 하나는 꼭 사용해야 안전합니다.
디펜더로 인해 느려진 것 같은데, 꼭 삭제까지 해야 하나요?
삭제까지 가지 않아도 ‘스캔 예약 비활성화’, ‘자동 검사 예외 설정’, ‘저장장치 제외 설정’ 등을 통해 리소스 사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히 SSD 사용자라면 백신이 저장장치에 접근할 때 성능 저하를 체감할 수 있기 때문에, 디펜더 내부 설정 조절로 충분히 개선 가능합니다.
윈도우디펜더 설치 실행 안될 때 재설치 방법
윈도우디펜더 설치 실행 안될 때 재설치 방법 마이크로소프트의 보안프로그램으로서 꼭 실행되어야 하는 프로그램은 윈도우방화벽, 윈도우디펜더, 윈도우실시간보호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능
jab-guyver.co.kr
이상으로, 윈도우 디펜더의 삭제와 비활성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윈도우디펜더 삭제 프로그램 및 끄기 비활성화 방법
윈도우디펜더 삭제 프로그램 및 끄기 비활성화 방법 윈도우10 및 윈도우11 등 최신 운영체제를 사용하면 윈도우에서 실시간감시 및 보호로 인터넷이나 토렌트 등에서 다운로드 받은 게임이나 유
jab-guyver.co.kr
'IT 리뷰 > 윈도우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소리가 안날때 오디오 출력장치를 찾을 수 없습니다 (0) | 2025.04.16 |
---|---|
V3보다 나은 백신? 어베스트 설치, 설정, 삭제까지 한눈에 정리 (0) | 2025.04.16 |
알집 알씨 알송 알약 - 알툴즈 자동 업데이트 끄기 자동시작 차단 (0) | 2025.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