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게임 메모리 부족 CPU GPU 점유율 - Steam Client WebHelper
스팀게임 메모리 부족 CPU GPU 점유율 - Steam Client WebHelper
스팀게임(Steam) 플랫폼에서 많은 사용자들이 직면하는 문제 중 하나인 메모리 부족과 CPU, GPU 점유율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특히, 스팀 클라이언트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인 Steam Client WebHelper에 초점을 맞춰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그래픽카드 성능 및 오류 참고
스팀게임 오류 CPU GPU 사용 점유율
스팀은 현재 가장 인기 있는 게임 플랫폼 중 하나로,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끔씩 여러분들이 게임을 실행하면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경험하거나 게임이 갑작스럽게 멈추는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주로 메모리 부족과 CPU, GPU의 점유율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작업관리자 Steam Client WebHelper
스팀 클라이언트의 중요한 컴포넌트 중 하나인 Steam Client WebHelper는 게임 실행과 관련된 여러 가지 작업을 처리합니다. 이러한 작업에는 게임 업데이트, 커뮤니티 기능, 친구 목록 및 채팅 기능 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때로는 Steam Client WebHelper가 과도하게 많은 메모리와 CPU, GPU 자원을 소비하여 게임 실행에 지장을 줄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 먼저, Steam 클라이언트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신 버전은 보안 패치와 최적화된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게임 성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스팀 클라이언트의 설정을 조정하여 메모리 및 자원 사용량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스팀 클라이언트 설정에서 "WebHelper 프로세스 종료 시간 초과" 옵션을 조정하여 WebHelper 프로세스의 실행 시간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WebHelper가 지나치게 많은 자원을 소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스팀 메모리부족 최소 사용모드
스팀 배치 파일을 생성하여 메모리 최소 사용 모드로 실행하는 것으로 이 방법을 사용하면 매번 많은 명령을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합니다.
메모장을 실행 후 아래 명령어를 복사해서 배치파일로 저장합니다.
"C:\Program Files (x86)\Steam\steam.exe" start -dev -console -nofriendsui -no-dwrite -nointro -nobigpicture -nofasthtml -nocrashmonitor -noshaders -no-shared-textures -disablehighdpi -cef-single-process -cef-in-process-gpu -single_core -cef -disable-d3d11 -cef-disable-sandbox -disable-winh264 -cef-force-32bit.
위에서 복사한 명령어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로에 “steam.bat“와 같은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C:\Steam” 폴더에 저장하려면 “C:\Steam\steam.bat”로 저장합니다.
저장한 “steam.bat”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이렇게 하면 스팀 클라이언트가 메모리 최소 사용 모드로 실행됩니다.
더 나아가, 여러분의 컴퓨터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다른 프로그램을 종료하거나 제한하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CPU 및 GPU를 게임에 할당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면 게임 실행에 필요한 성능 향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물론, 컴퓨터 자원을 최적화하는 것 외에도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를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메모리, CPU 또는 GPU를 업그레이드하면 게임 실행 시 자원 부족 문제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PC의 장비 업그레이드는 비용과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판단해야 하며 실제로 오래된 컴퓨터는 장비교체 시 노후화되어 최신제품과 호환되지 않다보니 비용대비 투자가치가 없다고 느껴질때가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스팀 공식 지원팀에 문의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윈도우10 노트북 내장그래픽카드 끄기 외장그래픽카드 활성화
윈도우10 노트북 내장그래픽카드 끄기 외장그래픽카드 활성화 윈도우11 및 윈도우10, 윈도우8.1 등등 윈도우 설치된노트북에서 내장 그래픽카드를 비활성화하고 외장 그래픽카드를 활성화하는
jab-guyver.co.kr
스팀의 지원팀은 사용자들이 게임 실행에 문제를 겪을 때 도움을 주는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문제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고, 사용 중인 시스템의 사양을 알려주면 지원팀이 최적의 해결책을 제시해줄 수 있습니다.
Nvidia 그래픽카드 설정 게임 최적화 - Geforce Experience
Nvidia 그래픽카드 설정 게임 최적화 - Geforce Experience 엔비디아에서 출시한 지포스 그래픽카드인 GTX, RTX, 쿼드로 등의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면서 최신게임을 즐길고자 한다면 Nvidia 제어판을 통한
jab-guyver.co.kr
스팀 게임 메모리 부족 및 자원 점유율 관련 FAQ
스팀 클라이언트를 종료했는데도 Steam Client WebHelper 프로세스가 계속 실행됩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 문제는 백그라운드에서 스팀 관련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아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작업 관리자(Task Manager)에서 Steam Client WebHelper 또는 steamwebhelper.exe를 수동으로 종료하거나, 전체 Steam 관련 프로세스를 완전히 종료한 후 다시 실행해 보세요.
또한, 스팀 클라이언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종료 프로세스가 보다 안정적으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Steam Client WebHelper를 완전히 비활성화할 수는 없나요?
완전한 비활성화는 불가능하지만, 스팀 설정에서 친구 목록 및 채팅 자동 실행 비활성화, 커뮤니티 탭 미사용, 게임 내 브라우저 사용 안 함 등의 설정을 꺼두면 WebHelper의 동작 빈도와 점유율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습니다.
게임 중 CPU 사용률이 100%에 도달하면서 프레임 드랍이 심해집니다.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먼저 작업 관리자에서 어떤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하고 있는지 확인하세요.
Steam Client WebHelper 외에 백신 프로그램, Windows Defender, 기타 자동 업데이트 항목이 CPU를 과도하게 사용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Windows 자동 백업, Windows Search Indexer 등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일시적으로 꺼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전원 옵션을 고성능으로 설정하고, Windows의 **게임 모드(Game Mode)**를 활성화하면 리소스 우선순위가 게임에 맞춰져 성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GPU는 여유가 있는데 CPU만 100%를 유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 경우, 해당 게임이 GPU 연산보다 CPU 연산에 의존적인 구조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전략 게임, 다수의 AI 연산이 필요한 게임 등은 CPU 자원을 더 많이 요구합니다.
이때는 멀티 코어 지원 여부나 스레드 최적화 설정을 게임 내 또는 그래픽 드라이버에서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Nvidia의 경우, 제어판 > 3D 설정 관리 > 스레드 최적화 항목을 활성화하면 개선될 수 있습니다.
메모리 부족 오류는 실제로 메모리가 부족해서 생기는 건가요?
항상 그런 건 아닙니다. 특히 16GB 이상의 메모리를 사용 중임에도 오류가 발생한다면, 이는 메모리 누수(memory leak)나 가상 메모리 설정이 비정상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일 수 있으며 가상 메모리(페이지 파일)를 자동으로 설정하지 않고 수동으로 너무 낮게 설정한 경우, 실제 메모리는 남아있어도 시스템이 메모리 부족 오류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1 시스템 메모리 부족 리소스 - 가상메모리 설정 및 최적화
윈도우11 시스템 메모리 부족 리소스 - 가상메모리 설정 및 최적화노트북이나 데스크탑 PC 컴퓨터에서 속도를 담당하는 부분은 기본적으로 CPU나 메모리카드, 그리고 하드디스크의 읽기 쓰
jab-guyver.co.kr
가상 메모리 권장값은 최소값을 RAM의 절반, 최대값은 RAM의 2~3배 정도로 설정하는 것입니다. 예: 16GB RAM 사용 시, 최소값 8000MB, 최대값 24000MB
WebHelper 점유율이 너무 높을 때 자동으로 꺼지는 설정이 있나요?
공식적으로는 없지만, 일정 시간 이상 높은 리소스 점유를 하는 WebHelper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제한하거나 꺼주는 서드파티 툴(예: Process Lasso)을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이 툴을 통해 특정 프로세스의 CPU 점유율 한도를 설정하거나, 우선순위를 자동 조정해 안정적인 리소스 분배가 가능합니다.
윈도우에서 스팀 게임 실행 전 리소스를 자동으로 정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윈도우 작업 스케줄러(Task Scheduler)를 활용해 게임 실행 전 캐시 정리, 백그라운드 앱 종료, 임시파일 삭제 스크립트를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는 steam.bat 파일 안에 taskkill 명령어를 활용하여 특정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을 미리 종료시키는 설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시
taskkill /f /im OneDrive.exe
taskkill /f /im chrome.exe
WebHelper로 인해 게임 내 렉이 발생하는 경우, 스팀을 어떤 방식으로 실행해야 하나요?
기존에 안내된 steam.bat 외에도, 스팀을 Big Picture 모드 없이 실행, DirectWrite 비활성화, 친구창 비활성화 등을 조합하여 실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명령어를 단순화하자면 아래와 같이도 가능합니다:
"C:\Program Files (x86)\Steam\steam.exe" -no-cef-sandbox -nofriendsui -no-browser
이렇게 하면 WebHelper가 사용하는 Chromium Embedded Framework 관련 프로세스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IT 리뷰 > 게임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닌텐도스위치 조이콘 고장 셀프수리 - 기판 분해 및 부품교체 (0) | 2025.04.14 |
---|---|
어몽어스 한국어 한글 언어설정 하는법 (2) | 2025.04.04 |
어몽어스 PC 무료 컴퓨터 설치 하는법 - 각종오류 및 설정 Tip (0) | 2025.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