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동행카드로 탑승 가능한 버스와 노선 안내

잡가이버 2025. 2. 24.
반응형

기후동행카드로 탑승 가능한 버스와 노선 안내

기후동행카드는 환경보호와 교통 혼잡 완화를 위해 도입된 카드로, 일상적인 버스 이용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줍니다. 아래는 기후동행카드로 탑승 가능한 버스와 노선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분 사용 가능한 버스 노선 사용 불가능한 버스 노선
서울시 시내버스 초록색(일반), 파란색(간선) 등 서울 시내에서 운행되는 대부분의 시내버스 광역버스(G버스) 및 시·도 면허버스, 서울시 외 지역 운행 버스 (예: G버스, 8601(김포), 1000(인천), 광주M4403 등)
서울시 마을버스 서울 내 지역 이름과 숫자로 표시된 마을버스 노선 기본요금이 상이한 광역버스 (예: 9401, 9404, 9701 등) 및 동행버스 (서울01, 서울03, 서울06 번 버스)
서울시 심야버스(N버스) N으로 시작하는 서울시 심야버스 노선 경기도민을 위한 대중교통 혜택인 경기패스 시행 예정 및 지도앱에서 지역이 "서울"이 아닌 경우 사용 불가 (예: N13, N26, N51 등)
서울동행버스 출퇴근시간에 운행되는 일부 서울동행버스  

🚎 사용 가능한 버스

1. 서울시 시내버스 서울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초록색과 파란색 버스입니다. 예를 들어, 342, 143, 272, 153, 3412, 5413, 6637, 1711 등의 노선은 기후동행카드로 이용 가능합니다.

2. 서울시 마을버스 동작01, 서초18, 금천01, 강서05, 금천03 등과 같이 서울 시내의 각 지역을 연결하는 마을 버스 노선은 기후동행카드로 탑승할 수 있습니다.

3. 서울시 심야버스(N버스) N으로 시작하는 심야버스 노선도 기후동행카드로 이용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N13, N15, N16, N26, N30, N31, N37, N51, N61, N62, N64, N72, N73, N75 등이 포함됩니다.

4. 일부 서울동행버스 출퇴근 시간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일부 운행되는 서울동행버스 중, 서울02, 서울04, 서울05 번 버스는 기후동행카드로 탑승할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편의점 발급 및 요금 충전 사용방법

기후동행카드 편의점 발급 및 요금 충전 사용방법 기후동행카드에 대한 정보를 찾고 계시나요?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으로, 한 번의 요금 충전으로 30일

jab-guyver.co.kr

🚌 사용 불가능한 버스

1. 서울시 밖에서 운행하는 시·도 면허버스 및 광역버스(G버스) 서울시를 벗어나 운행되는 버스는 기후동행카드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G버스, 8601(김포), 8600(김포), G6005(김포), 1000(인천), 1301(인천), G8110, G1200, 9710(파주) 등이 해당됩니다.

2. 기본요금이 상이한 광역버스 기본요금이 다른 광역버스도 기후동행카드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9로 시작하는 빨간색 버스(9401, 9404, 9701 등)와 동행버스인 서울01, 서울03, 서울06 번 버스 역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지도앱에서 버스를 검색할 때, 노선이 "서울"이 아닌 다른 지역에 속하는 경우에는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버스 유형 탑승 가능 여부
서울시 시내버스 가능
서울시 마을버스 가능
서울시 심야버스(N버스) 가능
서울동행버스 일부 가능 (서울02, 서울04, 서울05)
시·도 면허버스 불가능
광역버스 (G버스) 불가능
기본요금 상이 광역버스 불가능
다른 지역 버스 불가능

위의 안내를 참고하여 기후동행카드로 탑승 가능한 버스를 이용하시면 환경과 교통 혼잡 완화에 동참하실 수 있으며 추가로, 경기도민을 위한 대중교통 혜택인 경기패스에 관한 정보도 함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K패스 기후동행카드 차이점? 알뜰교통카드 활용 Tip

K패스 기후동행카드 차이점? 알뜰교통카드 활용 Tip 대중교통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한 번쯤은 이용해 보았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그 안에 숨겨져 있는 여러 정책이

jab-guyver.co.kr

기후동행카드로 승하차 가능한 지역 및 구간

지역/시 호선 과 구간 상세 정보
과천시 4호선 선바위역~정부과천청사역 승하차 가능
남양주시 4호선 진접역~별내별가람역 승하차 가능
남양주시 8호선 별내역~다산역 승하차 가능
남양주시 경춘선 별내역 승하차 가능
구리시 8호선 동구릉역~장자호수공원역 승하차 가능
구리시 경의중앙선 구리역 승하차 가능
하남시 5호선 미사역~하남검단산역 하차만 가능
성남시 8호선 남위례역~모란역 승하차 가능
성남시 수인분당선 모란역 승하차 가능
광명시 7호선 광명사거리역~철산역 승하차 가능
의정부시 7호선 장암역 승하차 가능
고양시 3호선 대화역~삼송역 승하차 가능
고양시 경의중앙선 한국항공대역~탄현역 승하차 가능
고양시 서해선 능곡역~일산역 승하차 가능
부천시 7호선 까치울역~상동역 하차만 가능
김포시 김포골드라인 전구간 승하차 가능
인천광역시 7호선 석남역~삼산체육관역 하차만 가능
인천광역시 공항철도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역 하차만 가능

기후동행카드로 승하차 불가능한 역

지역/시 호선과 구간 상세 정보
남양주시 경의중앙선 도농역~운길산역 승하차 불가
구리시 경춘선 갈매역 승하차 불가
성남시 신분당선 판교역~미금역 승하차 불가
성남시 GTX 성남역 승하차 불가
성남시 경강선 판교역~이매역 승하차 불가
성남시 수인분당선 태평역,가천대역, 이매역,오리역 승하차 불가
광명시 1호선 광명역 승하차 불가
의정부시 1호선 망월사역~녹양역 승하차 불가
의정부시 의정부경전철 발곡역~탑석역 승하차 불가
부천시 1호선 역곡역~송내역 승하차 불가
인천광역시 인천 1호선 계양역~송도달빛축제공원역 승하차 불가
인천광역시 인천 2호선 검단오류역~운연역 승하차 불가
인천광역시 1호선 부개역~인천역 승하차 불가
인천광역시 수인분당선 인천역~소래포구역 승하차 불가
인천광역시 공항철도 계양역~공항화물청사역 승하차 불가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