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 도메인 IP주소 DNS 확인 nslookup 명령어
웹사이트 도메인 IP주소 DNS 확인 nslookup 명령어
웹사이트를 운영하거나 개발할 때 도메인 문제로 접속 오류가 생기면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이 DNS 설정과 IP 주소 매핑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보안 강화와 CDN, 클라우드 서버 활용이 늘어나면서 DNS 서버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이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도구가 바로 윈도우 CMD에서 실행하는 nslookup 명령어입니다.
nslookup은 도메인의 IP 주소뿐 아니라 메일 서버(MX), 네임서버(NS), 특정 서비스용 레코드(SRV)까지 확인할 수 있어, 웹사이트 문제를 신속히 진단하고 해결하는 데 필수적인 명령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nslookup 명령어는 DNS 서버에 도메인이나 IP 주소를 질의하여 DNS 서버에 있는 정보를 응답받는 명령어입니다.
nslookup 명령어 기본 사용법
- 명령 프롬프트(CMD) 창 열기: 윈도우 검색창에 'cmd'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엽니다.
- nslookup 명령어 입력: nslookup [도메인명]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설정된 DNS 서버에 질의하여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조회합니다.
- 예를 들어, nslookup example.com을 입력하면 example.com의 IP 주소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C:\> nslookup example.com
Server: dns.example.server
Address: 192.168.1.1
Non-authoritative answer:
Name: example.com
Address: 93.184.216.34
nslookup 명령어 옵션 및 사용법
도움말 확인
명령어 | 설명 | 예시 |
nslookup [도메인명] | 기본 도메인 조회 | nslookup tistory.com |
nslookup -type=any [도메인명] | 도메인에서 조회할 수 있는 모든 값 조회 | nslookup -type=any tistory.com |
nslookup -type=mx [도메인명] | 도메인의 메일 서버 정보 조회 | nslookup -type=mx tistory.com |
nslookup -type=ns [도메인명] | 도메인의 네임 서버 정보 조회 | nslookup -type=ns tistory.com |
nslookup [IP 주소] | IP 주소에 대한 도메인명 조회 (역방향 조회) | nslookup 8.8.8.8 |
nslookup -debug [도메인명] | 디버그 정보와 함께 도메인 조회 | nslookup -debug tistory.com |
nslookup [도메인명] [DNS 서버 주소] | 특정 DNS 서버를 지정하여 도메인 조회 | nslookup tistory.com 8.8.8.8 |
nslookup ? | nslookup 도움말 확인 | nslookup ? |
nslookup -querytype=SRV [도메인명] | 특정 서비스에 대한 SRV 레코드 조회 | nslookup -querytype=SRV _sip._tcp.example.com |
명령 프롬프트에서 nslookup ?을 입력하면 nslookup 명령어의 다양한 옵션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특정 정보만 조회하거나, 서버를 변경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정보 모든 값 조회
nslookup의 type 설정을 any로 설정하면 도메인에서 조회할 수 있는 모든 값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C:\> nslookup -type=any example.com
메일 서버 조회
DNS란? Domain Name Server 도메인네임서버
DNS란? Domain Name Server 도메인네임서버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은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모든 컴퓨터가 서로를 찾고 통신하기 위해 도메인 이름(예: http://www.example.com)을 IP 주소(예: 192.0.2.44)로 변환
jab-guyver.co.kr
nslookup의 type 설정을 mx로 설정하면 도메인의 메일 서버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C:\> nslookup -type=mx example.com
네임 서버 조회
nslookup의 type 설정을 ns로 설정하면 도메인의 네임 서버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C:\> nslookup -type=ns example.com
nslookup 명령어의 특징과 사용해야 하는 이유
nslookup 명령어는 단순한 IP 주소 조회뿐만 아니라 메일 서버, 네임 서버 등 다양한 도메인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으로 명령 프롬프트에서 간단한 명령어 입력만으로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습니다.
- [IT 리뷰/블로그 SEO] - 블루호스트 워드프레스 도메인 연결 추가 설정
- [IT 리뷰/애플 Mac 아이폰] - 아이폰 아이패드 DNS 설정 인터넷 웹사이트 보안 우회접속
- [IT 리뷰/블로그 SEO] - 워드프레스 CloudFlare "클라우드플레어"CDN HTTS GZIP 압축 로딩 속도개선
그래서 워드프레스나 그누보드 등 다양한 웹사이트를 제작 후 도메인 문제나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할 때, nslookup 명령어로 DNS 설정을 확인하고 진단할 수 있습니다.
맥주소 변경 및 물리적주소 확인 8가지 - MacAddress
맥주소 변경 및 물리적주소 확인 8가지 - MacAddress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나 노트북 그 외에 안드로이드 핸드폰 및 아이폰 등 모바일 기기까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노드와 통신할 때 사
jab-guyver.co.kr
FAQ
DNS 서버와 웹 브라우저 캐시 차이는 무엇인가요?
DNS 서버는 도메인과 IP 주소를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지만, 웹 브라우저는 한 번 조회된 DNS 결과를 일정 기간 캐시에 저장합니다.
이 때문에 DNS 설정을 변경했는데도 바로 반영되지 않고, 브라우저 캐시나 로컬 PC의 DNS 캐시를 지워야 새로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nslookup과 dig 명령어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윈도우 환경에서는 nslookup이 기본적으로 사용되지만, 리눅스나 맥OS에서는 dig 명령어가 더 자주 사용됩니다.
dig는 nslookup보다 더 많은 옵션과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 전문적인 분석에 유리합니다.
DNS 서버를 변경하면 속도에 차이가 있나요?
네, DNS 서버의 응답 속도와 안정성에 따라 웹사이트 접속 속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구글 DNS(8.8.8.8)나 Cloudflare DNS(1.1.1.1)를 설정하면 보다 빠르고 안정적인 접속 환경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nslookup 결과에서 Non-authoritative answer란 무엇인가요?
이는 질의한 DNS 서버가 직접 관리하는 권한 있는 서버가 아니라, 다른 서버로부터 얻은 정보를 전달했다는 뜻입니다. 즉, 참고용 캐시 데이터를 반환한 것이며, 공식 네임서버의 원본 데이터와 다를 수 있습니다.
역방향 조회(Reverse Lookup)는 언제 유용한가요?
특정 IP 주소가 어느 도메인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특히 서버 관리나 보안 점검 시, 출처를 추적하거나 의심스러운 IP가 어느 사이트와 연관되는지 확인할 때 활용됩니다.
nslookup이 실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DNS 서버가 응답하지 않거나, 잘못된 도메인명을 입력했을 때, 혹은 로컬 네트워크 방화벽 설정으로 인해 차단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DNS 서버 주소를 변경하거나 네트워크 설정을 점검해야 합니다.
nslookup 입력 시 "DNS request timed out"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 오류는 지정된 DNS 서버가 응답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해결방법: 다른 공용 DNS(예: 8.8.8.8, 1.1.1.1)로 변경해 테스트합니다. 네트워크 방화벽이나 VPN 차단 여부도 확인해야 합니다.
nslookup 결과가 "Non-existent domain"으로 나옵니다.
도메인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거나, 만료된 도메인일 때 나타납니다.
해결방법: 도메인 등록 여부를 WHOIS에서 확인하고, 만료된 경우 재등록해야 합니다.
특정 도메인만 조회가 안 되고 다른 도메인은 정상적으로 조회됩니다.
이는 DNS 서버의 캐시 오류나 해당 도메인의 네임서버 문제일 수 있습니다.
해결방법: 로컬 PC에서 ipconfig /flushdns 명령으로 캐시를 초기화합니다. 문제가 지속된다면 해당 도메인의 네임서버 설정을 점검해야 합니다.
nslookup은 되지만 웹사이트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DNS는 정상이나, 실제 웹 서버에 문제가 있는 경우입니다.
- 해결방법: 서버의 방화벽 설정, SSL 인증서 만료 여부, 웹 서버(Apache/Nginx) 상태를 점검해야 합니다.
- 수리비용: SSL 인증서 갱신 비용은 무료(무료 인증서 Let’s Encrypt)부터 연 10만~30만 원까지 다양. 서버 점검·수리 비용은 외부 대행 시 5만~15만 원 정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nslookup 결과는 정상인데 핑(Ping) 테스트가 실패합니다.
네트워크 경로상의 문제(라우터 장애, ISP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 해결방법: tracert(윈도우) 또는 traceroute(리눅스) 명령으로 어느 구간에서 장애가 발생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ISP 고객센터에 문의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수리비용: 개인 사용자는 보통 비용 없음. 기업용 회선에서는 장애 처리 지원비가 계약에 따라 10만 원 이상 청구될 수 있습니다.
nslookup 시 결과가 IP 주소 대신 IPv6 형태로만 나옵니다.
DNS 서버가 IPv6 응답을 우선적으로 반환하기 때문입니다.
- 해결방법: nslookup 옵션에서 -type=A를 지정해 IPv4만 조회하거나, PC 네트워크 설정에서 IPv6 사용을 비활성화합니다.
- 수리비용: 설정 변경은 무료. 네트워크 장비가 IPv6만 지원하는 경우 장비 교체 시 수십만 원 이상 비용이 들 수 있습니다.
'IT 리뷰 > MS DOS 명령프롬프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T32로 포맷하는 DOS 배치 명령어 도스 사용방법 (1) | 2025.09.11 |
---|---|
명령 프롬프트 CMD 파일경로 복사 및 변경방법 (0) | 2025.02.28 |
데이터복구 불가능하게 포맷 - CIPHER 삭제 명령어 (0) | 2024.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