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사용자 필독 이미지 파일 사이트 속도 향상 및 용량관리
티스토리 사용자 필독 이미지 파일 사이트 속도 향상 및 용량관리
블로그의 성능은 로딩 속도와 서버 용량 관리에 크게 좌우되는데 일반 블로거 사용자와 달리 워드프레스 등 웹사이트를 관리한다면 이러한 SEO 최적화에 매우 관심이 많을텐데요 일반 네이버블로그나 티스토리와 같은 CMS 블로그를 관리한다면 사실 용량부족이나 이미지 최적화등을 딱히 신경쓰지 않는 부분일것입니다.
하지만 최근 제 티스토리 블로그가 느려진 원인을 분석하면서, 이미지 파일 관리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아 이번 포스팅에서는 티스토리의 이미지 관리 방식이 로딩 속도와 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탐구하고자 합니다.
특히, 이미지 포맷 변환과 메타정보 관리, 그리고 파일 삭제 후의 서버 상태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이번에 티스토리에서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관리하는 과정은 사이트의 전체적인 운영 효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느것을 알았는데 이번에 제가 진행한 실험은 티스토리의 이미지 파일 처리 방식을 철저히 분석해봤습니다.
1. JPEG 파일의 메타정보 소실 문제
티스토리에 JPEG 형식으로 업로드된 이미지의 메타정보는 사이트 내에서 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소실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우선 이미지의 메타정보는 이미지의 저작권 정보, 촬영 장비, 위치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정보들이 SEO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지만, 이미지 관리 측면에서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티스토리에서 이미지를 업로드할 때는 메타정보가 필요하지 않다면, 이를 사전에 제거하고 업로드하는 것이 용량 관리에 유리합니다.
2. 이미지 포맷 변환의 용량 문제
이미지를 티스토리 내에서 보정하게 되면, JPEG에서 PNG로 자동 변환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PNG는 무손실 압축을 사용하는 포맷으로, 품질은 유지되지만 파일 크기가 크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는데 이번 실험 결과, PNG 파일은 원본 JPEG 파일 대비 약 10배 가량 큰 용량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서버의 저장 공간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며, 페이지 로딩 시간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며 나중에 티스토리를 워드프레스로 마이그레이션 한다면 이러한 이미지 때문에 서버용량이 크게 필요할 것입니다.
따라서, 이미지 보정은 가능한 한 외부 툴을 사용하는게 좋을거 같으며 티스토리에는 최종적으로 최적화된 JPEG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3. 파일 삭제와 서버 용량 관리
티스토리에서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실험을 통해, 삭제된 파일이 서버에서도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불필요한 파일을 적극적으로 삭제하면 서버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사이트의 로딩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또한, 주기적인 백업을 통해 서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불필요한 데이터가 서버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며 티스토리 백업파일을 워드프레스로 마이그레이션 시 티스토리 백업용량보다 약 2배이상 커지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티스토리의 경우 이미지를 하나의 사이즈로만 관리하지만 워드프레스의 경우 하나의 이미지를 썸네일, 미듐사이즈, 라지사이즈 등 기본 3가지 사이즈로 나눠 저장하기 때문에 용량이 그만큼 많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른 티스토리 사용자들에게도 유용할 정보입니다. 사이트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JPEG 포맷의 사용을 권장하며, 티스토리의 내부 이미지 보정 도구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이미지 파일의 관리를 철저히 함으로써 더 빠르고 효율적인 블로그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IT 리뷰 > 블로그 SE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호스트 프로 호스팅에서 VPS 서버 업그레이드 워드프레스 속도후기 (0) | 2025.07.10 |
---|---|
블루호스트 VPS WHM & C-Panel 업데이트 설치 (0) | 2025.07.10 |
워드프레스 TTFB 속도개선 성공 후기 - 첫페이지 로딩 느려짐 최적화 (0) | 2025.06.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