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무실 네트워크 원격접속을 위한 IPTIME DDNS + VPN 설정 원격접속

잡가이버 2025. 7. 7.
728x90
반응형

출장 중 사무실 접속? IPTIME 공유기로 VPN 환경 만드는 방법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나 라이선스 서버, NAS 파일 저장소 등에 외부에서 안전하게 접속하고 싶을 때,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방법이 바로 VPN(Virtual Private Network)입니다. 특히 외근이 잦거나 재택근무 중인 사용자라면, 내부 네트워크로 접속하지 않으면 사용이 불가능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접근해야 할 일이 생기기 마련인데요 이럴 때 아이피타임(IPTIME) 공유기의 VPN 서버 기능과 DDNS(Dynamic DNS) 기능을 활용하면 복잡한 네트워크 장비 없이도 손쉽게 원격 접속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사무실 네트워크 원격접속을 위한 IPTIME DDNS + VPN 설정 원격접속

아이피타임 공유기는 대부분의 가정과 소규모 사무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품으로, 관리자 메뉴에서 몇 가지 설정만 해주면 외부에서도 사설망처럼 내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더 이상 고정 IP를 신청하거나 복잡한 방화벽 설정을 건드릴 필요 없이,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사무실 네트워크와 외부 출장지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IPTIME 공유기 DDNS 설정 방법

먼저, 아이피타임 VPN 서버를 설정하기 전 가장 먼저 해두어야 할 작업은 DDNS 설정입니다.

728x90

대부분의 가정용이나 사무실 회선은 유동 IP를 사용하고 있어 공유기의 외부 IP 주소가 바뀔 수 있는데, DDNS는 이 IP 주소가 바뀌더라도 도메인 주소 하나로 고정 접속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myoffice.iptime.org라는 주소를 만들어두면 외부에서 IP 주소를 신경 쓸 필요 없이 언제든 동일한 주소로 VPN 연결이 가능합니다.

항목 설명
설정 경로 관리자 페이지 접속 (기본 주소: 192.168.0.1) →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
서비스 제공자 ipTIME DDNS (기본 선택값)
호스트 이름 사용자가 원하는 이름 입력 (예: myoffice.iptime.org)
등록 조건 외부 인터넷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함
설정 후 대기 시간 약 5~10분 내외로 활성화
테스트 방법 외부 네트워크에서 도메인 주소로 핑(ping) 테스트 또는 브라우저 접속 확인

아이피타임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려면 먼저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공유기 네트워크에 연결한 뒤,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192.168.0.1을 입력합니다.

관리자 로그인은 기본값이 admin / admin이지만, 보안을 위해 반드시 비밀번호를 변경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피타임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

관리자 페이지에 들어갔다면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 메뉴로 이동해, 원하는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고 등록을 완료합니다. 약 5분 내외로 등록이 활성화되며, 이후 외부에서는 이 주소를 통해 접속할 수 있게 됩니다.

DDNS 설정을 마쳤다면 이제 VPN 서버를 구성할 차례입니다.

관리자 메뉴에서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VPN 서버 설정’ 항목을 찾아 들어 간 뒤 VPN 서버 사용을 ‘사용함’으로 체크한 뒤, VPN 유형을 선택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설정이 간편한 PPTP를 많이 사용하지만, 회사 보안 정책이나 민감한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다면 더 강력한 보안을 제공하는 L2TP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VPN 계정은 반드시 별도로 만들어야 하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각각 지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vpnuser라는 아이디에 secure2025! 같은 복잡한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할당할 IP 주소 범위도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92.168.100.10 ~ 192.168.100.20으로 설정하면 VPN으로 접속하는 사용자는 이 구간의 IP를 부여받게 됩니다.

IPTIME 공유기 VPN 서버 설정 방법

항목 설명
설정 경로 관리자 페이지 →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VPN 서버 설정
VPN 서버 활성화 ‘VPN 서버 사용’ 항목 체크 (사용함)
VPN 타입 선택 PPTP (간편), L2TP/IPSec (보안 강화) 선택
계정 추가 방법 사용자 ID / 비밀번호 입력 후 ‘추가’ 클릭
IP 주소 범위 설정 예: 192.168.100.10 ~ 192.168.100.20
적용 및 저장 설정 완료 후 ‘저장’ 또는 공유기 재부팅 필요
연결 테스트 외부 장치(윈도우, 아이폰 등)에서 VPN 설정 후 접속 시도
주의사항 관리자 계정과 별도로 VPN 사용자 관리 / 최신 펌웨어 유지 권장

설정이 끝났다면 공유기를 저장 또는 재부팅해 VPN 서버를 활성화하고, 이제 외부에서 접속 테스트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출장지에서 사용하는 노트북에서는 윈도우 자체에 내장된 VPN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VPN 연결주소 추가 L2TP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VPN > VPN 연결 추가’를 선택한 후, 연결 이름은 임의로 지정하고, 서버 주소에는 아까 설정한 DDNS 주소인 myoffice.iptime.org를 입력합니다.

로그인 정보에는 공유기에서 설정한 VPN 계정을 입력하고 연결하면, 내부망에 접속한 것과 동일한 환경이 구성됩니다.

핸드폰 & 안드로이드 / 아이폰 VPN 설정방법

스마트폰에서도 마찬가지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Phone이나 iPad의 경우, ‘설정 > 일반 > VPN’ 메뉴에서 새 VPN 구성을 추가하고, 유형은 PPTP 또는 L2TP 중 선택합니다.

다음 서버 주소, 계정, 비밀번호 등을 입력한 후 저장하면 VPN 슬라이더를 통해 접속이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 기기 역시 유사한 방식으로 VPN 연결이 가능하며, 일부 앱에서는 자동화를 지원하는 기능도 제공됩니다.

VPN 통해 가능한 기능들

VPN이 성공적으로 연결되면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는 점은 내부 IP가 VPN 서버에서 설정한 범위로 바뀐다는 점입니다. 윈도우의 경우 ipconfig 명령어를 통해 할당된 IP를 확인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는 마치 사무실 안에 있는 것처럼 내부 자원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회사 네트워크 내에서만 접근 가능한 프로그램의 라이선스 인증이나, NAS에 저장된 프로젝트 파일을 열람하고 수정하거나, 공유 프린터 출력까지도 가능하며 그 외에도 원격 데스크톱(RDP)을 함께 설정해두면 사무실 PC 화면을 외부에서 그대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 실제 업무에서 이 구성을 활용하면 외근 중간에도 사무실에 들르지 않고도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정상 인증받거나, 사내 시스템에서만 열리는 ERP 자료를 확인할 수 있고, 팀원이 실시간으로 올려놓은 NAS 자료를 바로 열어서 작업할 수 있는 등 업무 효율이 상당히 높아 주로 사용하느데요 이 모든 것이 공유기 하나만 잘 설정해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IT 인프라 예산이 제한적인 소규모 기업이나 프리랜서에게 특히 강력한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주의할 점도 몇 가지 있습니다.

VPN 접속 시에는 전체 트래픽이 암호화 터널을 통해 오가기 때문에 평소보다 인터넷 속도가 다소 느려질 수 있고, 공유기의 펌웨어가 오래되었다면 VPN 기능이 제한적이거나 불안정할 수 있으므로 항상 최신 펌웨어로 업데이트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관리자 로그인 계정과 VPN 계정의 보안도 중요한 만큼, 간단한 패스워드는 반드시 피하고 2단계 인증이 가능한 경우 이를 활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기능항목 사용목적 접근 경로 (관리자 페이지 기준)  사용 예시 및 설명
무선 네트워크 설정 와이파이 이름(SSID), 암호 설정 및 주파수 대역 선택 고급 설정 > 무선 설정/보안 2.4GHz / 5GHz 대역 선택, WPA2 보안 암호 설정 등
DHCP 서버 설정 내부 IP 자동 할당 및 예약 IP 설정 고급 설정 > 네트워크 관리 > DHCP 서버 설정 NAS나 프린터의 고정 IP 설정 시 유용
포트포워딩 내부 장치에 외부 포트 접근 허용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 CCTV, 원격 데스크탑, NAS 등 외부 접속 필요 장치 사용 시
DDNS 설정 유동 IP 환경에서 도메인 기반 외부 접속 제공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 예: myhome.iptime.org 주소로 외부에서 접속 가능
VPN 서버 설정 외부에서 내부망 접속 가능하도록 VPN 서버 구성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VPN 서버 설정 재택근무, 출장 중 사무실 접속, 라이선스 인증용 접속 구성
인터넷 연결 설정 회선 유형, MAC 주소 변경, PPPoE 사용자 정보 입력 기본 설정 > 인터넷 연결 설정 통신사별 맞춤 설정, IPTV나 KT 회선 연결 시 필수 설정
펌웨어 업데이트 공유기 성능 및 보안 업데이트 고급 설정 > 시스템 관리 > 펌웨어 업그레이드 최신 보안 패치 및 신규 기능 반영
관리자 계정 변경 공유기 관리자 비밀번호 변경 고급 설정 > 시스템 관리 > 관리자 설정 기본 admin/admin 사용 지양, 강력한 비밀번호 설정 권장
무선 MAC 주소 필터링 특정 기기만 와이파이 접속 허용 또는 차단 고급 설정 > 무선 설정/보안 > MAC 필터링 자녀 보호, 외부 불법 접속 차단용
트래픽 관리(QoS) 기기별 대역폭 제한 및 우선순위 지정 고급 설정 > 고급 설정 > 트래픽 관리 특정 기기 속도 제한, IPTV 우선순위 설정 등

아이피타임 공유기를 활용하면 복잡한 네트워크 장비나 고가의 보안 솔루션 없이도 안정적인 원격 업무 환경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회사에서 출장이 많은 직장인, 외근 위주의 프리랜서, 소규모 오피스의 IT 관리자가 꼭 알아두면 좋은 실전 활용 방법입니다. DDNS와 VPN 기능을 제대로 설정해두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내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FAQ

아이피타임 공유기에서 VPN 연결 시 포트포워딩 설정이 필요한가요?

PPTPL2TP 같은 VPN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부 공유기 또는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포트포워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PTP는 1723번 포트를 사용하고, L2TP는 UDP 500, 1701, 4500 포트를 사용합니다.

 

윈도우 컴퓨터 원격 데스크톱 포트변경 - 네트워크 방화벽 해제

컴퓨터 원격 데스크톱 포트 변경 및 네트워크 방화벽 해제 윈도우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노트북과 데스크탑 PC 사용자를 위해, 보안을 강화하고 네트워크 연결을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원격

jab-guyver.co.kr

만약 포트가 차단된 경우 VPN 연결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회사 내부 방화벽이나 상위 공유기에서 해당 포트를 열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VPN 연결은 되었는데 사무실 내부 자원이 보이지 않아요. 해결 방법은?

VPN이 연결되었다 하더라도 DNS 설정이나 네트워크 분리(VLAN) 때문에 내부 자원이 탐색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다음 사항을 점검해 보세요.

  • VPN 설정에서 ‘기본 게이트웨이 사용’ 옵션을 활성화
  • 공유기의 VPN 설정에서 내부 네트워크 접근 허용 여부 확인
  • 내부 자원의 IP를 수동으로 입력해 접근 시도 (예: NAS의 IP 주소)

사무실 내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VPN으로는 인증되지 않아요.

일부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내부 IP 대역에 있어야만 정상 인증됩니다.

이 경우 VPN으로 연결되었을 때 할당되는 IP 주소가 실제 내부 대역과 동일해야 하므로, VPN IP 범위를 사내 IP 대역에 맞게 설정하거나, 내부 DHCP와 충돌하지 않도록 조정해주셔야 합니다.

VPN 연결 시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자주 끊어져요. 어떻게 개선하나요?

  • 공유기 펌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 PPTP보다 안정적인 L2TP 또는 OpenVPN 방식 사용 고려
  • 유선 환경에서 연결 시도 (무선보다 속도 안정성 ↑)
  • 공유기 CPU/메모리 점유율 확인 (저가형 공유기는 동시 접속 시 느려짐)
  • 필요 시 VPN 접속자는 2~3명 이하로 제한

외부에서 접속이 안 될 때 확인해야 할 것은?

  1. 공유기의 공인 IP가 제대로 할당되었는지
  2. DDNS 주소가 최근에 갱신되었는지
  3. 공유기 설정에서 VPN 서버가 ‘사용함’으로 되어 있는지
  4. 공유기 상위에 다른 공유기(이중 NAT)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지
  5. 외부 인터넷 환경에서 포트가 차단되어 있지 않은지 (모바일 데이터, 공공망 등)

회사에 고정 IP가 없는데도 VPN 사용이 가능한가요?

네, DDNS 기능을 이용하면 고정 IP 없이도 VPN 서버에 접속이 가능합니다.

아이피타임 공유기에서 제공하는 무료 DDNS 서비스를 설정하면, 유동 IP가 바뀌더라도 도메인 주소로 언제든 접속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에서 VPN이 자주 끊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iOS는 절전 정책으로 인해 VPN을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자동으로 해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설정 > 일반 > VPN & 기기 관리 > VPN에서 '연결 유지' 옵션을 활성화하고, 백그라운드 앱 새로 고침을 허용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VPN 연결된 상태에서 인터넷은 느려지고 사내 시스템은 느려지지 않아요. 왜 그런가요?

이는 VPN 설정에서 전체 트래픽(Full Tunnel)을 VPN으로 우회하도록 설정된 경우 발생합니다.

이를 Split Tunnel(분할 터널링) 방식으로 설정하면 사내 자원만 VPN을 통해 연결되고 일반 인터넷은 기존 회선으로 빠르게 처리됩니다. 윈도우에서 VPN 설정 > 어댑터 속성 > IPv4 설정 > ‘원격 게이트웨이 사용’ 체크 해제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