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장치관리자 실행방법 및 각종오류 FAQ
윈도우10 장치관리자 실행방법과 드라이버 문제 해결 FAQ 정리
컴퓨터에 장착된 부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려면 장치 관리자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장치 관리자는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하드웨어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드라이버 업데이트 및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장치 관리자를 통해 해당 디바이스를 확인하고,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거나 삭제 후 재설치를 할 수 있으며, 문제가 있는 경우 장치 상태를 확인하여 오류 코드를 통해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 장치를 비활성화하거나 전원 관리 옵션을 조정할 수 있으며, 장치 간의 리소스 충돌이 발생했을 때 이를 관리하고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윈도우 버전과 상관없이 모두 동일하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본 포스팅은 윈도우10 기준으로 진행되지만, 윈도우8 이나 윈도우7 등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도 장치 관리자 접속 방법과 사용 방식은 거의 유사하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버전의 윈도우 사용자들도 쉽게 따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장치관리자 기능
카테고리 | 기능 설명 |
드라이버 관리 | - 드라이버 설치, 업데이트, 롤백, 삭제 기능 |
장치 상태 확인 | - 장치 작동 상태 확인 및 문제 해결 (장치 문제 코드 표시) |
하드웨어 추가 및 제거 | - 시스템에 연결된 하드웨어 자동 인식 및 장치 추가/제거 |
전원 관리 | - 장치의 전원 관리 옵션 설정 (예: 절전 모드에서 장치 활성화) |
장치 속성 정보 확인 | - 각 장치의 속성 정보 (제조사, 모델, 드라이버 버전 등) 확인 |
리소스 충돌 해결 | - IRQ, 메모리 주소, I/O 포트 등 장치 리소스 충돌 관리 및 해결 |
장치 사용/비활성화 | - 특정 하드웨어 장치를 사용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기능 |
장치 식별 | - 장치 이름과 관련된 고유한 식별자 (Hardware ID, Device ID) 확인 |
USB 장치 관리 | - 연결된 USB 장치 상태 확인 및 관리 |
네트워크 어댑터 관리 | -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 및 문제 해결, 네트 |
내 컴퓨터 장치 관리자 실행
가장 흔한 방법으로 내 PC를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 "속성"을 선택합니다.
이곳에서 현재 컴퓨터의 메모리 및 윈도우버전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좌측에 "장치관리자"를 선택합니다.
장치 관리자에는 현재 컴퓨터에 장착된 부품들
DVD나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모니터, 마우스, 키보드, 프린터, 핸드폰 드라이브 등이 모두 표시됩니다.
이후 삭제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디바이스를 선택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다양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제어판 장치관리자 실행
윈도우키를 눌러 "제어판"으로 접속합니다.
우측 상단에 "장치 관리자"를 검색해서 실행합니다
이때 띄어쓰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일반 윈도우10 버전에서는 "범주"하면에서는 컴퓨터 설정 변경에서 제어판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보기 기준을 큰 아이콘으로 변경 후 마우스를 아래로 내리면 "장치관리자"를 찾을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장치관리자 실행
윈도우10에서는 윈도우키를 눌러 검색창에 "장치 관리자"를 검색해서 실행하는게 가장 간단합니다.
그 외에도 윈도우 키를 마우스 우클릭하면 "장치 관리자"를 실행할 수 있는 아이콘이 바로 보입니다.
윈도우7 장치관리자
보통 윈도우7이나 그 이하 버전에서 주로 사용하던 방식으로 제어판으로 들어가는 방법 다음으로 "실행"을 통해 장치관리자로 들어갑니다.
실행창에서 "devmgmt.msc"를 입력 후 확인을 눌러줍니다.
Windows10 제어판 장치관리자 실행방법 5가지
Windows10 제어판 장치관리자 실행방법 5가지 윈도우를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제어판과 장치 관리자를 자주 실행하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 이번에 윈도우7에서 Winodws10으로 변경되면서 제어판과 장
jab-guyver.co.kr
자주 묻는 질문(FAQ)
장치 관리자에서 느낌표(❗)나 노란 삼각형이 표시되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노란 느낌표 아이콘은 해당 장치에 문제가 있다는 뜻입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드라이버 누락 또는 호환성 문제이며, 마우스 우클릭 후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장치 제거 후 재부팅'을 통해 대부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오류 코드가 함께 표시되는 경우에는 해당 코드로 원인을 검색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장치 관리자에 특정 장치가 보이지 않아요
장치가 완전히 인식되지 않거나,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장치 관리자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땐 먼저 '동작 > 하드웨어 변경 사항 검색'을 선택해 인식을 시도해보세요. 그래도 나타나지 않으면 USB 포트나 장치 자체의 물리적인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USB 장치가 계속 인식 오류를 일으켜요
USB 장치가 인식되었다가 사라지거나 오류를 반복한다면, 전원 관리 설정이 문제일 수 있습니다.
- 해당 USB 항목 더블클릭 → 전원 관리 탭
- ‘컴퓨터가 이 장치를 끌 수 있음’ 체크 해제
- 시스템의 전원 옵션에서 USB 선택적 절전 모드도 꺼주세요.
이후 재부팅하면 대부분 안정적으로 인식됩니다.
드라이버 업데이트 후 장치가 오히려 작동하지 않아요
가끔 윈도우에서 자동으로 설치된 최신 드라이버가 기기와 호환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땐 '드라이버 롤백' 기능을 활용하세요.
장치 속성 → 드라이버 탭 → 드라이버 롤백을 선택하면 이전 정상 작동하던 버전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만약 이 옵션이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수동으로 이전 버전을 찾아 설치해야 합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장치를 비활성화하면 어떤 일이 생기나요?
비활성화된 장치는 시스템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 관련된 기능이 전혀 작동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어댑터를 비활성화하면 인터넷 연결이 끊기고, 그래픽 장치를 비활성화하면 저해상도로만 화면이 표시됩니다.
고급 전원 관리 옵션 설정
장치 관리자에서 전원 설정을 조정할 때는, 제어판 > 전원 옵션 > 고급 전원 설정 변경으로 들어가면 보다 세부적인 설정이 가능해요.
여기서 USB 절전모드, 무선 어댑터 성능, PCI Express 전원 설정 등을 최적화하면 장치 오류나 예기치 않은 꺼짐 현상을 줄일 수 있어요.
이벤트 뷰어로 시스템 오류 기록 확인
컴퓨터에서 특정 장치 오류나 블루스크린(BSOD)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면, 이벤트 뷰어(Event Viewer)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아요.
윈도우키 + X → '이벤트 뷰어' 선택 → Windows 로그 → 시스템 항목에서 오류나 경고를 중심으로 최근의 문제 원인을 파악할 수 있어요.
드라이버 충돌, 전원 문제, 장치 연결 실패 등 많은 정보가 여기에 기록됩니다.
시스템 구성(msconfig)으로 부팅 최적화
윈도우 부팅이 느리거나 불필요한 서비스가 자동 실행된다면 시스템 구성 도구를 활용해 불필요한 시작 항목과 서비스를 관리해보세요.
실행(Win+R) → msconfig 입력 → '서비스' 탭에서 'Microsoft 서비스 숨기기' 후 불필요한 항목을 비활성화하고, '시작프로그램'은 작업관리자에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드라이버 로그 저장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설치하거나 문제가 반복될 경우, 장치 관리자에서 장치 속성 → '이벤트' 탭에서 드라이버 설치 로그 및 장치 동작 이력을 확인할 수 있어요.
여기서 '정보 보기'를 클릭하면 드라이버가 어떤 경로로 설치되었고,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파악할 수 있어서 문제 분석에 유용합니다.
시스템 복원 지점 수동 생성
장치 관리자에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기 전이나 시스템 설정을 변경하기 전에는 반드시 복원 지점을 만들어두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아요.
제어판 > 복구 > 시스템 복원 구성 > 복원 설정을 켜고, ‘지금 만들기’를 눌러 복원 지점을 수동 생성해두면 문제가 생겼을 때 빠르게 되돌릴 수 있어요.
'IT 리뷰 > 윈도우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인보드 제조사별 CMOS 노트북 복구모드 접속 단축키 (0) | 2025.04.03 |
---|---|
HP노트북 초기화 포맷 - 윈도우10 복구 방법 (0) | 2025.04.03 |
윈도우10 EFI 시스템 파티션 삭제 초기화방법 (0) | 2025.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