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리뷰/윈도우 Tip

윈도우10 비밀번호 분실 기억안날때 변경방법

잡가이버 2025. 7. 17. 14:01
728x90
반응형

윈도우10 비밀번호 분실 기억안날때 변경방법

컴퓨터의 보안을 위해서 부팅시 암호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렇게 설정한 윈도우 부팅암호가 기억이 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윈도우10 비밀번호 분실했을 때 해결하는 모든 방법
윈도우10 비밀번호 분실 기억안날때 찾는방법

참고로 부팅시 암호는 메인보드암호설정이 있고 윈도우10 로그인시 필요한 비밀번호가 있으며 메인보드의 부팅암호는 메인보드 초기화를 통해 암호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로그인 비밀번호 분실 찾는방법

윈도우10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계정복구 기능을 통해 분실한 암호를 찾을 수 있습니다.

Microsoft 계정복구
Microsoft 계정복구

Microsoft 계정복구 사이트로 접속 해 자신의 윈도우10 로그인 메일이나 휴대폰번호 또는 스카이프 이름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현재 사용중인 윈도우10 문제를 선택합니다.

  • 암호를 잊어버렸습니다.
  • 제 암호를 알지만 로그인 할 수 없습니다.
  • 다른 사용자가 내 계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윈도우10 비밀번호 분실 시 암호를 잊어버렸습니다를 선택합니다.

윈도우10 계정복구
윈도우10 계정복구

윈도우10 계정보안을 위해서 보안 텍스트를 입력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해당 방법으로 윈도우 암호를 분실을 복구하기 전에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로그인 및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이며 만약 로컬사용자로 로그인해서 사용한다면 MS 사이트를 통해 비밀번호 찾는것이 불가능합니다.

만약 로컬버전으로 윈도우를 사용했다면 안전모드로 접속하는 방법으로 비밀번호를 찾아야 합니다.

728x90

윈도우10 안전모드 비밀번호 찾기

Safe Mode 안전모드 부팅

윈도우7 윈도우8 윈도우10 안전모드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Safe Mode로 부팅합니다.

우선 컴퓨터를 종료 후 다시 재부팅합니다.

기존의 윈도우7의 안전모드 부팅방법과 달리 윈도우10에서는 안전모드 부팅이 조금 까다로워졌습니다.

가장 간편하게 안전모드 접속방법으로는 컴퓨터의 재시작 버튼을 Shift를 누른 채로 눌러줍니다.

윈도우10 이전버전을 사용하고 있다면 컴퓨터 부팅 시 단축키 F4 or F8을 눌러 윈도우 안전모드로 부팅합니다.

이후 안전모드로 부팅이 완료시에는 윈도우10 로그인 비밀번호를 묻지 않는데 이때 윈도우10 계정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

"과거에는 안전모드 진입 시 비밀번호를 묻지 않는 경우가 있었지만, 최근 윈도우10 업데이트 이후로는 안전모드에서도 정상적인 비밀번호 입력이 필요합니다."
 

윈도우10 부팅암호 설정 및 분실 복구방법 - 노랗it월드

컴퓨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설정해서 외부와 내부로부터의 노출을 방어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부팅암호 설정 및 암호 변경방법을 알아보겠으며 이렇게 설정한 암호를 잃어

yellowit.co.kr

윈도우10 부팅 암호설정 변경방법

윈도우10 안전모드로 부팅을 완료되었다면 부팅암호를 변경합니다.

Winodws 설정 계정

윈도우10 계정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윈도우10 암호 변경

윈도우 로그인 옵션에서 암호 계정암호변경을 통해 새로운 암호를 입력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윈도우10에서 안전모드로 진입하더라도 무조건 비밀번호를 묻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과거 구버전에서는 로컬 계정을 사용할 경우 안전모드 진입 시 로그인 없이도 가능했던 경우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보안 업데이트로 인해 안전모드에서도 로그인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특히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있었다면 비밀번호 입력은 필수이며, 이를 우회해 접속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만약 이러한 방식으로도 접속이 어렵다면, 윈도우 설치 USB나 복구 디스크를 통해 복구 환경으로 부팅한 후 명령 프롬프트에서 안전모드 부팅을 강제로 설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때는

bcdedit /set {default} safeboot minimal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며, 복구 후에는 다시 원래 상태로 돌려놓는 것도 잊지 않아야 합니다.

로컬 계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또 다른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달리 온라인을 통한 비밀번호 초기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같은 PC 내에 관리자 권한을 가진 다른 계정이 있다면 그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사용자 계정 관리에서 비밀번호를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단 하나의 계정만 있고 그것마저 비밀번호를 잊었다면, 설치 USB를 활용해 명령 프롬프트에서 비밀번호를 강제로 재설정하는 고급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복잡하고 위험 부담이 따르므로, 숙련되지 않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메인보드의 부팅 암호와 윈도우 로그인 비밀번호는 다르기 때문에 이 둘을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메인보드 BIOS의 암호는 메인보드를 초기화하거나 점퍼 설정, 배터리 제거 등을 통해 초기화할 수 있지만, 최근 노트북은 이마저도 보안상 제한이 걸려 있어 제조사 서비스센터를 통해서만 해제가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FAQ

윈도우10 로컬 계정인지 Microsoft 계정인지 어떻게 구분하나요?

로그인 화면에서 입력해야 하는 계정이 이메일 형식(@ 포함)이라면 Microsoft 계정입니다.

반면, 사용자 이름만 보이고 이메일 형식이 아니라면 로컬 계정입니다. 또한, 설정 → 계정 → 사용자 정보에서 계정 유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컬 계정 비밀번호를 잊어버렸다면 다른 방법은 없나요?

로컬 계정은 Microsoft 계정처럼 복구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관리자 권한의 다른 계정이 있는 경우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잊어버린 계정의 비밀번호를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만약 다른 계정도 없다면 설치 USB를 활용한 명령어 방식 또는 전문 복구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설치 USB 없이 비밀번호 초기화는 불가능한가요?

일반적으로는 설치 USB나 복구 디스크 없이 시스템의 관리자 권한에 접근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다만 안전모드에서 기존 로그인 오류가 무시되고 진입이 가능할 경우 제한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나, 최근 보안 업데이트 이후로는 이 방법도 성공률이 낮습니다.

비밀번호 분실 예방을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나요?

정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기억하기 어려운 경우 비밀번호 관리 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Microsoft 계정을 사용할 경우, 복구용 이메일과 전화번호를 반드시 등록해두는 것이 비밀번호 분실 시 큰 도움이 됩니다.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서 내 Microsoft 계정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Microsoft 계정은 웹 기반으로 작동하므로, 인터넷만 된다면 다른 기기에서도 https://account.live.com/password/reset 페이지를 통해 본인 인증 후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단, 보안 확인 절차를 통과해야 합니다.

컴퓨터에 로그인하지 못하면 중요한 파일은 복구할 수 없나요?

로그인이 불가능해도, 부팅 가능한 리눅스 USB나 윈도우 PE(Preinstallation Environment)를 통해 하드디스크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다만 BitLocker나 다른 암호화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복구가 어렵습니다.

윈도우10에서 PIN 번호와 비밀번호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PIN은 해당 장치에서만 유효한 숫자 기반 인증 방식이며, 비밀번호는 Microsoft 계정 전체에 적용되는 인증 수단입니다. PIN은 더 빠르고 보안성도 높다고 평가되며, 장치가 초기화되면 PIN도 사라집니다.

비밀번호 초기화를 시도했는데 '계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와요

이 메시지는 주로 오타 또는 등록되지 않은 Microsoft 계정을 입력했을 때 나타납니다.

계정이 맞는지 다시 확인하고, 이메일이 아닌 경우 스카이프 ID나 전화번호를 시도해 보세요. 이메일 주소의 도메인(@outlook.com 등)까지 정확히 입력했는지도 체크해봐야 합니다.

안전모드로 부팅할 수 없는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Windows 복구 환경(RE)이 동작하지 않거나 Shift+재시작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윈도우 설치 USB를 통해 부팅 후 복구 모드 진입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후 윈도우10 복구모드 시스템 복원하는 법 - 안전모드 복원 초기화

윈도우10 복구모드 강제 진입과 초기화 방법 - 부팅 단축키윈도우10을 사용하시다가 갑자기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부팅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특정 오류로 인해 반복 재시작되는 경우를 경험하

jab-guyver.co.kr

여기서 명령 프롬프트를 통해 bcdedit 명령어를 사용해 강제로 안전모드 설정을 할 수도 있습니다.

비밀번호 재설정 디스크는 무엇이고 어떻게 만드나요?

비밀번호 재설정 디스크는 로컬 계정 사용자에 한해 사용할 수 있는 USB 복구 디스크입니다.

제어판 > 사용자 계정 > 비밀번호 재설정 디스크 만들기 메뉴에서 USB 드라이브를 선택해 생성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 분실 시 이 디스크를 통해 간단히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