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세금/부동산

6억 초과 9억 이하 아파트 취득세 계산 - 세금을 정확히 알아보자!

잡가이버 2025. 7. 28. 15:35
728x90
반응형

6억 초과 9억 이하 아파트 취득세 세금계산 

2025년 현재, 부동산 시장이 다시 조정기에 들어서면서 무주택자의 내 집 마련 수요는 여전히 높습니다. 특히 정부의 특례보금자리론이나 취득세 감면 혜택 등으로 인해 6억 초과 9억 이하 아파트를 고려하는 실수요자들이 많아졌는데요.

문제는 이 구간의 취득세율이 단일 고정세율이 아닌 누진구간으로 적용된다는 점입니다.

취득세는 단순히 거래금액에 일정 비율을 곱하는 방식이 아니라, 세율 자체가 거래금액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 실제로 계산해보면 예상보다 세금이 많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전용면적 85㎡ 초과 주택의 경우엔 **농어촌특별세 0.2%**까지 추가되므로 더 세심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럼 2025년 무주택자 기준으로 6억 초과 9억 이하 아파트의 취득세 계산 방법을 가격대별로 정리하고, 농어촌특별세가 적용되는 조건과 세금 예시를 함께 안내해 드릴게요. 세금 계획을 세우기 전 반드시 알아둬야 할 부분들을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2023년 특례보금자리론 대출자격 및 LTV DTV 금리한도 - 노랗 잡동산 - 세금 부동산 절세

특례보금자리론 소득제한 없는 4% 금리를 제공하는 정책으로서 서민 실수요자를 위해서 안심전환대출을 제공하였지만, 수요예측에 실패하여 신청자가 많지 않았습니다. 이에 정부는 2023년에 안

yellow-realeatate.co.kr

6억 초과 9억 이하 아파트 취득세 계산 방법

주택 유상 취득자는 취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과세 대상에는 토지, 차량, 선박, 골프 회원권 등이 포함됩니다.

구분 조정지역 비조정지역 취득세율 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 비고
무주택자 동일 동일 (거래금액×2/3)-3 (%) 약 0.1~0.3% 85㎡ 초과 시 0.2% 부과 누진세율 적용, 면적 따라 가산세 유무
1주택자 (기존 보유) 동일 동일 동일 (무주택자와 동일) 동일 동일 단, 기존 주택 1년 내 매도 조건 시 혜택 유지
2주택자 8% 1~3% 지방교육세: 0.8% 농특세: 없음 조정지역 중과 대상  
3주택자 이상 12% 3~4% 지방교육세: 최대 1.2% 없음 2023년 중과세율 유지 중  
법인 명의 주택 취득 조정 여부 무관 동일 12% (전면 중과) 지방교육세 1.2% 농특세 없음 감면 혜택 없음, 주택 수와 무관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예로 주택(아파트)이 있습니다. 취득세는 조정 대상인지 다주택자인지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아래 포스팅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취득세율, 다주택자 아파트 취득세 계산기

최근 가파른 부동산 가격 하락과 함께 정부의 규제가 완화되었습니다. 이제 남은 건 세금인데요. 취득세나 양도세와 같은 주택 세금을 느슨하게 푸는 경우, 시장 흐름이 바뀔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2023년 취득세율과 다주택자 아파트 취득세 계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주택자 취득세율과 계산 방법

2025년 아파트 취득세 계산법: 6억 초과 9억 이하 최신 세율 정리

취득세는 신고 당시의 취득가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또한, 부동산을 취득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신고 및 납부를 완료해야 합니다.

특히 6억 초과 9억 이하 매매가의 주택 취득세 계산을 세분화해 보겠습니다. 농어촌특별세(가산세)는 전용면적 85㎡ 초과일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아래는 무주택자 취득세율(조정 및 비조정 규제지역 모두 동일)에 대한 표입니다.

취득가액 취득세율 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
6억 이하 1% 0.1% 0.2% (85㎡ 초과 시)
6억 초과 ~ 9억 이하 거래금액(억) × 2/3 - 3 0.1% ~ 0.3% -
9억 초과 3% 0.3% -

예를 들어, 전용면적 59㎡ 크기에 8억 짜리 아파트를 매매한 경우 취득세는 총 20,504,000원입니다.

  • 취득세율: (8 × 2/3 - 3) = 2.33%
  • 취득세: 8억 원 × 2.33% = 18,640,000원
  • 지방교육세율: 18,640,000원 × 0.1% = 186,400원
  • 농어촌특별세: 없음

해당 아파트가 40평대라면 농어촌특별세 0.2%가 추가될 수 있으며, 최종 세액에 약 1,600,000원의 가산세가 더해집니다.

위의 내용은 아파트 가격별 취득세 계산을 보기 좋게 정리한 것입니다.

주의할 점은 최종 세액은 취득세와 지방교육세를 모두 합한 금액이며, 농어촌특별세 0.2%가 미포함된 취득세율임을 유의해야 합니다. 또한, 전용면적 85㎡ 초과 주택을 매매한 경우 해당 취득가액 세율에 0.2%를 추가해야 합니다.

예상 금액이므로 실제 세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6억대 주택

가격(만원) 취득세(%) 지방교육세(%) 최종 세액(만원)
6억원 1.0 0.1 660
61,000 1.07 0.11 718
62,000 1.13 0.11 771
63,000 1.2 0.12 832
64,000 1.27 0.13 894
65,000 1.33 0.13 952
66,000 1.4 0.14 1,016
67,000 1.47 0.15 1,084
68,000 1.53 0.15 1,144
69,000 1.6 0.16 1,214

2. 7억대 주택

가격(만원) 취득세(%) 지방교육세(%) 최종 세액(만원)
7억 1.67 0.17 1,286
71,000 1.73 0.17 1,351
72,000 1.80 0.18 1,426
73,000 1.87 0.19 1,502
74,000 1.93 0.19 1,571
75,000 2.0 0.2 1,650
76,000 2.07 0.21 1,730
77,000 2.13 0.21 1,804
78,000 2.2 0.22 1,888
79,000 2.27 0.23 1,972

3. 8억대~9억 주택

가격(만원) 취득세(%) 지방교육세(%) 최종 세액(만원)
8억 2.33 0.23 2,050
81,000 2.40 0.24 2,138
82,000 2.47 0.25 2,228
83,000 2.53 0.25 2,310
84,000 2.6 0.26 2,402
85,000 2.67 0.27 2,497
86,000 2.73 0.27 2,583
87,000 2.8 0.28 2,680
88,000 2.87 0.29 2,779
89,000 2.93 0.29 2,869
9억 3.0 0.3 2,970

위 내용을 참고하여 6억 초과 9억 이하 아파트의 취득세 계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실제 세금 계산 시에는 해당 지역의 세법과 세무 담당 기관의 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무주택자 및 생애최초자는 조정 여부 관계없이 누진세율로 계산되며, 기본적으로 취득세율은 약 1.0% ~ 3.0% 사이에서 결정됨.
  • 조정대상지역에서 2주택 이상 보유자8~12% 고정 중과세율이 적용됨.
  • 농어촌특별세는 전용면적 85㎡ 초과 시에만 적용되며, 이는 수도권 외 지역의 실거주용 아파트에 영향을 줌.

전용면적 vs 공급면적 차이 정리

구분 정의 포함 범위 주로 활용되는 분야
전용면적 세대 내 실제로 사용하는 실내 공간 방, 거실, 욕실, 주방 등 전용공간 취득세·청약·농어촌특별세 기준
공급면적 전용면적 + 복도, 계단 등 공유공간 포함 전용면적 + 공용면적(복도, 계단, 벽체 일부 등) 분양계약 시 광고, 청약 공고
계약면적 공급면적에 기타 부대시설까지 포함 공급면적 + 지하창고, 테라스, 지하주차장 등 분양사, 건설사 측 면적 표현
 

✅ 예시로 보는 면적 비교

예를 들어 분양면적이 115㎡ 아파트라고 해도 실제 전용면적은 약 85㎡ 수준일 수 있으니 이점 참고하세요

항목 면적(㎡) 비율(%)
전용면적 84.97㎡ 100%
공용면적 30.02㎡ 약 35%
공급면적 114.99㎡ 전용 + 공용
 

✅ 왜 중요한가?

  • 농어촌특별세 부과 기준: 전용면적이 85㎡를 초과하면 0.2%의 가산세 발생
  • 청약 자격 조건: 국민주택·신혼희망타운 등 전용면적 기준으로 자격 제한
  • 취득세 계산 기준: 면적이 커질수록 세금도 증가할 수 있음
  • 대출 조건: 일부 금융기관은 전용면적 기준으로 평가

✅ 전용면적 확인 방법

확인 방법 설명 참고 링크
등기부등본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서 발급 가능, 실제 등기된 면적 확인 http://www.iros.go.kr
건축물대장 정부24 또는 민원24에서 확인 가능, 건축물 면적 구체적 명시 https://www.gov.kr
분양계약서 계약 당시 받은 서류, 공급·전용면적 구분 명확히 표기 보관 필수
국토부 실거래가 시스템 전용면적 기준으로 거래 내역 확인 가능 https://rt.molit.go.kr
 

 

 

10억 아파트 재산세 취득세 계산 종부세 제외 의문점

10억 아파트 재산세 취득세 계산 종부세 제외 의문점 현재 집값 폭등으로 인한 입대인 입장에서는 본전인 상황으로 다만 집을 사지 않은 사람들에겐 세금을 우한 적금을 들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jab-guyver.co.kr

 

 

특례보금자리론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 - 4% 대출금리

특례보금자리론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 - 4% 대출금리 2023년 한시적으로 실행되는 4%대 대출금리로 2022년 부동산 구입으로 영혼을 끌어모든 사람들을 위한 높아진 금리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

jab-guyver.co.kr

 

 

특례보금자리론 4% 대출금리 LTV DTV 9억원 이하 신청자격

2023년 특례보금자리론 9억원 이하 4% 대출금리 제목에도 알수 있듯이 기존의 보금자리론이 2023년 특례보금자리론으로 9억원 이하로 별도의 소득제한이 없이 4% 대출금리로 안심전환대출 및 보금

jab-guyver.co.kr

FAQ 

아파트 취득세 계산 시 부동산 중개수수료나 인테리어 비용도 포함되나요?

아니요. 취득세는 순수한 실거래가 기준으로만 계산합니다.

중개보수, 인테리어 비용, 이사비용 등 부대비용은 취득가액에 포함되지 않으며, 취득세율 적용 시 제외됩니다.

전용면적 85㎡ 초과 여부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전용면적은 건축물대장이나 등기부등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서도 면적 기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용면적이 85㎡를 초과하면 **농어촌특별세 0.2%**가 추가되니 꼭 확인해야 합니다.

조정대상지역 내 아파트를 구매해도 무주택자는 동일한 취득세율이 적용되나요?

네. 6억 초과 9억 이하 구간에서는 조정대상지역 여부와 관계없이 무주택자라면 동일한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단, 다주택자는 조정지역 여부에 따라 중과세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주택이 아닌 상가, 오피스텔은 이 계산 방식과 동일한가요?

아닙니다. 상가, 오피스텔은 주택 외 부동산으로 간주되어 다른 취득세율이 적용됩니다.

특히 오피스텔의 경우 주거용인지 업무용인지에 따라 과세 기준이 달라지며, 일반 취득세율인 4.6% 적용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전세를 끼고 매입한 갭투자도 취득세 계산에 영향이 있나요?

전세를 끼고 매입하더라도 실질 취득가액(매매가 기준)에 따라 취득세가 산정되며, 전세보증금은 취득가액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단, 실거주 요건이 필요한 다른 세금 감면 혜택에는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전용면적 착오로 농어촌특별세가 잘못 부과되었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건축물대장 또는 등기부등본에서 전용면적이 85㎡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0.2% 농특세가 과다 부과된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 경우엔 관할 시청 세무과에 경정청구서(지방세 환급청구서 포함)를 제출하면 환급 가능하며, 수수료는 없고 환급까지 약 2주~1개월 소요됩니다.

취득세 계산 시 면적 단위 착오(공급 vs 전용)로 추징 통보를 받았어요. 어떻게 해결하죠?

공급면적을 기준으로 세금을 신고한 경우 과소신고로 간주되어 추징될 수 있습니다.

세무 담당자의 안내에 따라 추가 납부 또는 수정신고 절차를 밟아야 하며, 신고 불성실 가산세가 최대 20%까지 부과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용면적 기준 확인 후 납부해야 합니다.

전산오류로 위택스(WETAX)에서 취득세 납부가 실패했어요. 미납으로 불이익 받을 수 있나요?

위택스에서 카드 오류, 이체 실패, 인증서 문제 등으로 납부 완료 전 페이지 이탈 시 실제 납부되지 않은 사례가 있습니다.

납부 확인서(또는 미납 내역)는 위택스 '지방세 납부결과 조회'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오류였다면 납부기한 연장 신청 가능하고 연체 가산세 면제 신청도 가능합니다.

부동산 중개사 실수로 가격 잘못 신고되어 세금이 더 나왔어요. 수정 가능한가요?

실제 계약금액과 신고금액이 달라서 허위 취득가액 신고로 세금 과다 납부 시, 부동산 중개업자 또는 법무사 실수라 하더라도 최종 책임은 납세자 본인에게 있음에 유의해야 합니다.

반드시 계약서 사본과 정정 사유서, 공인중개사 확인서, 수정 계약서를 첨부해 경정청구해야 하며, 평균적으로 2~3주 내 환급 결정됩니다.

부부 공동명의인데 세금이 한 명에게만 과세되었어요. 수정 가능한가요?

취득세는 지분에 따라 과세되므로 부부 공동명의인데 한쪽 명의로만 과세된 경우, 세무서에 공동취득 신고서를 제출하면 정정됩니다.

지분별로 취득세가 재산정되며, 추가 납부 또는 환급이 함께 이뤄질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법무사 실수일 경우 수수료 일부 환급 요청도 가능합니다.

전입신고 누락으로 감면혜택이 취소되었어요. 구제 방법이 있을까요?

생애최초 주택구입 취득세 감면의 경우 3개월 이내 전입신고가 필수 조건입니다.

정당한 사유(해외 체류, 질병, 이사불가 등)가 있다면 소명자료와 함께 감면 재심사 청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단순 지연은 대부분 거부되며 추징 대상이 됩니다.

취득세 자동이체 설정이 되지 않아 기한을 넘겼습니다. 연체 가산세는 얼마나 붙나요?

지방세는 기한 내 납부하지 않으면 매 1일당 0.025%씩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한 달을 넘기면 최대 3%까지 부과될 수 있으며, 실수로 인한 미납 시 세무과에 연체 사유서를 제출하면 일부 면제되기도 합니다.

위법한 면적 축소 분양으로 인해 실제 전용면적이 작습니다. 환급이 가능할까요?

드물지만 분양계약서상 면적과 실제 준공된 면적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계약 위반에 해당하며, 분양사 또는 시행사에 손해배상 청구 가능하며, 이미 납부한 세금에 대해서는 경정청구를 통해 조정 요청할 수 있습니다. 단, 소송으로 이어질 경우 변호사 선임비용 발생 가능성 있음.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