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삭제 완벽제거
Adobe에서 제공하는 플래시 플레이어는 출시 24년 차를 맞아 2020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서비스를 종료합니다.
출시된 시기에는 플래시라는 플랫폼이 용량도 적고 최적화가 잘되어 있었지만 세상이 변하듯 웹 표준도 변하였고 더 이상 구글 크롬에서는 플래시 플레이어 기능을 제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는 플래시로 제작된 홈페이지가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와 액티브x와 같은 다양한 설치를 요구하면서 많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2021년부터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서비스를 종료와 함께 해당 프로그램을 완벽하게 삭제하지 않으면 해당 프로그램으로부터 바이러스 등이 감염될 수 있고 멀웨어나 랜섬웨어등의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2021년이 오기 전에 모두 완벽하게 삭제하느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윈도우10 초기화하거나 포맷 후 새로 설치하느것이 아니라면 설치 후에는 찌꺼기 등이 남긴 마련입니다.
우선 어도비 플레시 플레이어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추가삭제를 통한 삭제와 Adobe에서 제공하는 Uninstall 방법 그리고 레지스터리와 같은 찌꺼기를 삭제하는 방법 3가지가 있습니다.
- 윈도우10 삭제 및 설치참고
윈도우10 어도비 플래시 삭제
윈도우10 기준 좌측하단 윈도우로고 마우스 우클릭 -> 설정 -> 앱으로 들어갑니다.
윈도우7 기준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 삭제 선택합니다.
이후 Adobe Flash Player 항목을 찾아 삭제합니다.
Adobe Flash Player Uninstall
다음은 어도비에서 제공하는 플래시 삭제 프로그램을 이용합니다.
아래 첨부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합니다.
제거버튼을 통해 간단하게 플래쉬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레지스터리 제거
마지막으로 윈도우 로고 우클릭 실행창을 실행해 아래 4가지 경로에 있는 폴더의 파일을 모두 삭제합니다.
C:\Windows\system32\Macromed\Flash
C:\Windows\SysWOW64\Macromed\Flash
%appdata%\Adobe\Flash Player
%appdata%\Macromedia\Flash Player
참고로 해당 파일의 경로는 일반 윈도우 계정으로는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관리자권한을 부여하여 높은 권한으로 파일을 삭제해야하는데 이때 관리자계정을 활성화 하는방법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 [IT 리뷰/윈도우 Tip] - 윈도우10 관리자계정 활성화 및 변경 삭제방법
- [IT 리뷰/윈도우 Tip] - 윈도우10 administrator 활성화 방법
- [IT 리뷰/윈도우 Tip] - 윈도우10 대상 폴더 액세스 거부 권한 해결방법
아쉽게도 고클린의 파일강제삭제로는 삭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지워지지 않는 파일은 관리자계정 "Administrator"로 삭제하세요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삭제확인
모든 삭제가 완료되었다면 Adobe 사이트를 통해 컴퓨터에 플래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합니다.
현재 저의 플래쉬 버전이 "Flash Player Disabled"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컴퓨터에는 플래쉬가 설치되지 않은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dobe 및 Flash 참고
- [IT 리뷰/윈도우 Tip] - Adobe 체험판 결제취소 환불 신청방법
- [IT 리뷰/윈도우 Tip] - 인터넷 익스플로러 삭제 제거방법
- [IT 리뷰/윈도우 Tip] - 인터넷 익스플로러 구글크롬 플래시 허용방법
- [IT 리뷰/윈도우 Tip] - 인터넷 익스플로러 쿠키 접속한 사이트 로그인 정보 삭제
- [IT 리뷰/윈도우 Tip] - 구글크롬 접속정보 보안 및 쿠키 캐시 삭제
'IT 리뷰 > 윈도우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영상 검은화면 재생 녹화 하드웨어 가속끄기 (0) | 2021.01.10 |
---|---|
지원되지 않는 비디오코덱 동영상 재생 해결방법 (0) | 2021.01.04 |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삭제 완벽제거 (0) | 2020.12.29 |
인스타그램 사진 동영상 저장방법 (0) | 2020.12.29 |
무료 PDF 편집 글씨쓰기 Text 이미지 추가 압축방법 (0) | 2020.12.27 |
인스타그램 DM 차단 계정 제한설정 방법 (0) | 2020.12.26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