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복권 1등 당첨금? 520과 720+ 차이점 비교 실수령액 계산
태어나서 처음 사본 연금복권 과연 당첨금은?
이번 설날에 가족들과 함께 태어나서 처음으로 연금복권을 사봤는데요 처음이라 어떻게 구입하는지도 몰라 알아보니 기존의 연금복권은 연금복권520 이란 이름으로 출시되었으며 현재는 연금복권 720+ 이름이 변경되었더라구요
연금복권은 1등 당첨 시 매달 일정 금액을 연금 형태로 지급받는 복권으로, 기존의 일시불 당첨금이 아닌 연금식 지급 방식을 채택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 방식은 주택복권과 로또와는 다른 점을 가지고 있어 주목받았습니다.
연금복권 520과 720+는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지급되는 금액의 차이로, 520은 20년간 매월 500만 원을 지급했으며, 720+는 20년간 매월 700만 원을 지급합니다.
연금복권의 장점은 일시불로 큰 돈을 받는 것보다 매월 안정적인 수입을 제공하는 점입니다. 로또 당첨금은 한 번에 지급되지만, 연금복권은 일정 기간 동안 매월 꾸준히 금액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등수 | 총 당첨금금 | 당첨번호 (예시) | ||||||
1등 | 월 700만원 X 20년 | 2조 | 0 | 2 | 4 | 9 | 9 | 2 |
2등 | 월 100만원 X 10년 | 1등 제외 각조 |
0 | 2 | 4 | 9 | 9 | 2 |
3등 | 1백만원 | 각조 | - | 2 | 4 | 9 | 9 | 2 |
4등 | 1십만원 | 각조 | - | - | 4 | 9 | 9 | 2 |
5등 | 5만원 | 각조 | - | - | - | 9 | 9 | 2 |
6등 | 5천원 | 각조 | - | - | - | - | 9 | 2 |
7등 | 1천원 | 각조 | - | - | - | - | - | 2 |
보너스 | 월 100만원 X 10년 | 각조 | 8 | 8 | 8 | 9 | 2 | 8 |
또한 당첨금이 세금으로 일부 공제되지만, 매월 일정 금액을 수령하는 점에서 삶의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연금복권 520과 720+의 차이점
- 지급 금액: 연금복권 520은 매달 500만 원을 지급했으나, 연금복권 720+는 매달 700만 원을 지급합니다. 따라서, 720+가 당첨자에게 더 큰 혜택을 제공합니다.
- 세금: 연금복권 당첨금에는 약 22%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따라서, 720+ 당첨 시 세전 700만 원에서 세금을 제외한 실수령액은 약 546만 원이 됩니다.
- 추첨 방식: 520에서는 각 등수별로 따로 추첨이 이루어졌으나, 720+는 로또와 유사한 방식으로 한 번의 추첨으로 모든 등수가 결정됩니다. 이 방식은 추첨 과정이 간소화되어 소비자에게 더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구매 방식: 720+에서는 오프라인 구매 후 온라인에서 추가 구매가 가능해지며, 세트 구매가 유리한 구조로 변경되었습니다.
연금복권 실수령액 계산방법
연금복권 720+의 1등 당첨금은 700만 원(세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1등에 당첨되었다고 해서 매달 700만원씩 받느것이 아니라 복권에 붙는 세금 약 22%가 부과되므로 실수령액을 계산하려면 아래와 같이 실제 연금으로는 546만원이 됩니다.
실수령액 = 세전 금액 - 세금 세금 = 세전 금액 × 22%
실수령액 = 700만 원 - (700만 원 × 0.22) 실수령액 = 700만 원 - 154만 원 실수령액 = 546만 원
즉 위 공식을 참고하면 연금복권 720+ 1등 당첨 시 매월 546만 원을 실수령액으로 받게 됩니다.
로또와 연금복권 당첨확률 비교
복권 종류 | 당첨 내용 | 당첨 확률 |
로또 (6/45) | 1등 (6개 번호 맞추기) | 1/8,145,060 |
로또 (6/45) | 2등 (5개 번호 + 보너스 번호 맞추기) | 1/1,357,510 |
로또 (6/45) | 3등 (5개 번호 맞추기) | 1/35,724 |
로또 (6/45) | 4등 (4개 번호 맞추기) | 1/733 |
로또 (6/45) | 5등 (3개 번호 맞추기) | 1/45 |
연금복권 520 | 1등 (500만원/월 20년) | 1/2,000,000 |
연금복권 520 | 2등 (50만원/월 20년) | 1/200,000 |
연금복권 520 | 3등 (5만원/월 20년) | 1/20,000 |
연금복권 520 | 4등 (5만원/연금식) | 1/5,000 |
연금복권 520 | 5등 (1만원/연금식) | 1/1,000 |
하지만 로또보다 당첨확률이 높기 때문에 연금복권도 인기라고 할 수 있는데요 연금복권은 안정적인 연금식 수입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며, 로또보다 장기적인 재정적 안전망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금복권 당첨 시 지급방법 및 준비물은?
당첨금 지급 장소 및 준비물
- 1억 원 이상 및 연금식 당첨금
- 지급 장소: (주)동행복권
- 준비물: 당첨 복권, 신분증, 통장 사본
- 지급 시작일: 익월 20일부터 지급
- 1억 원 미만 ~ 5만원 이상
- 지급 장소: 농협은행 각 지점
- 준비물: 당첨 복권, 신분증
- 5만원 이하
- 지급 장소: 연금복권 520 전국 판매점
- 준비물: 당첨 복권
당첨 후 절차
- 당첨 확인: (주)동행복권 고객센터에 전화(1566-5520)하여 당첨 여부를 확인합니다. 고객센터에서 방문 일자와 시간을 정할 수 있습니다. 방문 시간은 월~금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권장됩니다.
- 복권 소지 후 방문: 당첨자는 본인 신분증과 당첨 복권을 지참하여 (주)동행복권을 방문합니다. 복권 실물 확인 후 세금(소득세 + 주민세)을 제외한 당첨금이 지급됩니다.
- 지급 기한: 당첨금은 복권면에 명시된 지급기한 내에 청구해야 하며, 기한을 초과하면 당첨금은 복권 기금으로 귀속됩니다. 지급기한이 은행 영업일이 아닐 경우, 익영업일이 지급기한 종료일로 간주됩니다.
- 연금식 당첨금 지급: 연금식 당첨금은 당첨금 지급 청구 접수 익월 20일부터 시작하여, 20년간 매월 20일에 지급됩니다. 만약 연금식 당첨자가 사망하면, 상속인이 그 권리를 상속받을 수 있습니다.
기타 중요한 사항
- 복권 훼손: 복권이 오염되거나 훼손되어 검증 번호나 추첨 번호가 식별 불가한 경우, 당첨금 지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주)동행복권에 내방하거나 우편 접수를 통해 복권의 당·낙첨 확인 검사를 요청할 수 있으며, 검사 비용은 소지자가 부담합니다.
- 기타 제한 사항: 만 19세 미만 청소년은 복권을 구매할 수 없습니다.
상담 및 고객센터
- 상담 전화: 1588-6450 (월~금, 일요일 06:00 - 24:00, 토요일 06:00 - 21:00)
연금복권 Q&A
Q1: 연금복권 당첨금 지급기한은 얼마인가요?
A1: 연금복권 당첨금은 복권면에 명시된 지급기한의 은행 영업시간까지 청구해야 하며, 기한을 초과하면 당첨금은 복권 기금으로 귀속됩니다.
지급기한 초과 시: 당첨자가 기한 내에 당첨금을 청구하지 않으면, 그 금액은 복권 기금으로 반환됩니다.
Q2: 지급기한이 지난 당첨금은 어떻게 되나요?
A2: 당첨금을 지급기한 내에 청구하지 않으면, 당첨금은 복권 기금으로 귀속됩니다. 지급기한이 지나면 당첨금은 반환되지 않으며, 다시 받을 수 없습니다.
Q3: 복권을 분실했을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A3: 복권을 분실한 경우, 당첨금을 받을 수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복권 번호나 검증 바코드가 제대로 남아 있다면 복권의 당·낙첨 확인 검사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주)동행복권에 내방하거나 우편 접수를 통해 분실된 복권의 당첨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검사를 위한 소요비용은 복권 소지자가 부담해야 합니다.
Q4: 연금복권을 가족에게 양도하거나 친구에게 줄 수 있나요?
A4: 연금복권은 양도나 판매가 불가능합니다. 복권은 소지자가 당첨금을 수령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있으며, 제3자에게 양도하거나 판매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가족이나 친구에게 당첨된 복권을 양도할 수 없습니다.
Q5: 대리로 연금복권을 구입할 수 있나요?
A5: 연금복권은 대리구입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대리로 구입한 복권의 당첨금을 수령하려면 구입자가 아닌 본인이 직접 당첨금을 수령해야 하며, 대리인이 복권을 수령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당첨된 복권은 본인이 직접 (주)동행복권에 방문하여 수령해야 합니다.
Q6: 인터넷에서 구입한 연금복권의 당첨금은 어떻게 지급되나요?
A6: 인터넷에서 구입한 연금복권의 경우, 1억 원 이하의 당첨금은 본인의 예치금 계좌로 자동 지급됩니다.
또한 1억 원 이상의 당첨금은 본인이 직접 (주)동행복권에 방문하여 당첨금을 수령해야 합니다.
Q7: 연금식 당첨금은 어떻게 지급되나요?
A7: 연금식 당첨금은 첫 지급일 이후 매월 20일에 지급됩니다. 지급이 은행 영업일이 아닐 경우, 직전 영업일에 지급됩니다. 연금식 당첨금은 20년간 매월 20일에 분할 지급되며, 당첨자가 사망하면 상속인에게 상속됩니다.
Q8: 연금복권을 여러 장 구입하면 중복 당첨이 가능한가요?
A8: 연금복권은 중복 당첨이 가능합니다. 각 복권이 독립적으로 당첨을 결정하므로, 여러 장을 구입하면 당첨될 확률이 높아지고, 중복 당첨이 있을 경우 당첨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Q9: 연금복권의 당첨금을 수령할 때 필요한 준비물이 무엇인가요?
A9: 1억 원 이상의 당첨금 및 연금식 당첨금을 수령하려면, 당첨 복권, 신분증, 통장 사본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1억 원 이하의 당첨금은 농협은행에서 당첨 복권과 신분증만 있으면 수령할 수 있습니다.
'건강 세금 > 직장인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공무원 육아휴직 완벽 정리! 혜택, 수당, 신청 방법까지 총정리 📢 (0) | 2025.02.03 |
---|---|
개인회생 vs. 파산, 어떤 게 더 유리할까? 신용불량자 불이익 정리 (0) | 2025.01.31 |
은행 10억 20억 30억 40억 50억 100억 예금 시 이자 얼마일까? (0) | 2025.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