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년 최저시급 9860원 2.5% 인상 최저월급 206만원

노랗 2024. 1. 10.
반응형

2024년 최저시급 9860원 2.5% 인상 최저월급 206만원

2023년 법정 최저임금이 9620원에서 2024년에는 2.5% 오른 9860원으로 조정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1주 소정 근로 40시간과 유급 주휴 8시간을 포함한 월 환산 기준 209시간을 적용하면, 최저임금에 따른 월급은 206만740원으로 계산됩니다.

2024년 최저시급 9860원 2.5% 인상 최저월급 206만원

이와 더불어, 일자리의 미스 매칭과 임금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으로 '빈 일자리 청년 지원금'이 도입되었습니다. 2023년 10월 1일부터 2024년 9월 30일까지 조선업, 뿌리산업, 물류운송업 등의 빈 일자리 업종에서 정규직으로 취업하고 고용보험에 가입한 청년들이 지원 대상으로 선정됩니다.

항목 2023년 2024년
최저임금 9,620원 9,860원

이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3개월 또는 6개월 근무 시에는 각각 100만원(최대 200만원)의 지원이 제공됩니다.

국민 취업지원제도 확대

2024년 2월 9일부터는 국민취업지원제도의 청년 연령이 확대되어 15~34세(병역의무 복무기간 최대 3년 추가)까지 참여 가능하게 조정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에게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소득이 발생하더라도 구직촉진수당을 통해 일자리 탐색 및 안정적 생계를 지원합니다.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도 확대

뿐만 아니라,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도가 2024년 1월 1일부터 전면 확대됩니다. 이제는 모든 퇴직공제 가입 대상 건설공사(공공 1억원, 민간 50억원 이상)에서 적용되며, 사업주는 건설근로자가 전자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자카드 단말기를 설치하고 운영해야 합니다.

저출산 부모육아휴직제도

저출산 극복을 위해 2024년 1월 1일부터는 기존의 '3+3부모육아휴직제'가 '6+6부모육아휴직제'로 개편됩니다. 자녀 생후 18개월 내에 부모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 휴직을 사용할 경우, 첫 6개월에 대해 부모 각각의 육아휴직 급여를 최대 월 450만 원(통상임금 100%)까지 지원하게 됩니다.

이는 초기 영아기 자녀에 대한 맞돌봄 문화 확산과 일·가정 양립을 촉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공무원 육아휴직수당 아동수당 신청 혜택 및 조건 2024년

공무원 육아휴직수당 아동수당 신청 혜택 및 조건 2024년 아이를 키우는 일은 어렵고 책임감이 큰 일입니다. 특히나 공무원으로서의 업무를 감당하면서 가족의 양육과 생계를 동시에 지켜내는

jab-guyver.co.kr

아울러, 청년층을 위한 국가기술자격 시험 응시료 지원 제도가 새로 시행됩니다. 34세 이하 청년이 국가기술자격 시험에 응시하는 경우 응시료의 50%를 지원하며, 1인당 연 3회까지 가능합니다.

빈 일자리 청년 지원금 대상: 조선업, 뿌리산업, 물류운송업 등 빈 일자리 업종의 우선지원
대상 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하여 3개월·6개월 근속 시 각 100만원(최대 200만원) 지급
국민취업지원제도 확대 연령 확대: 15~34세(병역의무 복무기간 최대 3년 추가)
소득 발생 시에도 구직촉진수당 지급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도 확대 대상: 모든 퇴직공제 가입 대상 건설공사(공공 1억원, 민간 50억원 이상)
건설근로자는 전자카드를 사용해야 함
6+6부모육아휴직제 확대 자녀 생후 18개월 내 부모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 휴직 사용 시,
첫 6개월에 대해 부모 각각의 육아휴직 급여 최대 월 450만 원(통상임금 100%)까지 지원
국가기술자격 시험 응시료 지원 대상: 34세 이하 청년
응시료의 50%를 지원하며 1인당 연 3회까지 가능
보험료 부담 완화 정책 상시근로자 수 증가로 인한 보험료 인상 시, 3년 동안 기존의 보험료율 유지
'워라밸' 지원 근로자 1인당 주 평균 실근로시간 2시간 이상 단축한 사업주에게 월 30만 원의 장려금 지원
지원 대상 근로자의 30%(최대 100명)까지

마지막으로, 상시근로자 수의 증가로 인한 보험료 부담 완화 정책이 시행됩니다.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 보험료율이 기업의 상시근로자 수에 따라 4단계로 차등 적용되어 왔는데, 올해부터는 상시근로자 수 증가로 인한 보험료 인상이 발생해도 3년 동안 기존의 보험료율이 유지됩니다. 

또한, '워라밸'을 실천한 사업주에게는 장려금이 지원되어 근로자의 실근로시간을 단축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지원 대상 근로자의 30%까지 최대 100명에게 월 30만 원씩 단축 장려금이 지급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