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세금/일상 건강

경기도 설날 및 추석 제사상 상차림 및 제사 지내는 순서

반응형

경기도 설날 및 추석 제사상 상차림 및 제사 지내는 순서

경기도는 대표적인 한국의 지역 중 하나로, 다양한 상차림이 경기도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기 지역에서는 풍부한 자원을 활용한 상차림이 전통적으로 이어져왔습니다. 고기를 중심으로 한 상차림은 풍성하고 특색 있는 경기도의 제사상을 잘 보여줍니다.

경기도 설날 및 추석 제사상 상차림 및 제사 지내는 순서

경기도의 상차림은 다른 지역에 비해 고기류와 떡류가 많이 올라가는 것이 특징으로서 제사상에 올리는 음식들은 대개 경기 지역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고기가 주를 이룹니다.

  1. 고기산적: 경기도 지역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신선한 고기가 풍부하게 차려집니다.
  2. : 차례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떡이 풍성하게 올라갑니다.
  3. 과일과 과자: 대추, 친밤, 단감, 배, 사과, 산자, 약과 등 다양한 종류의 과일과 과자가 차례상을 장식합니다.
  4. 나물류: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등 다양한 나물류가 제사상을 풍성하게 만듭니다.
  5. 탕류: 국과 소탕, 어탕, 육탕의 3탕이 들어가며 백김치와 식혜, 식혜밥이 함께 제공됩니다.

특히 고기산적의 양이 풍부하여 상차림에서는 다양한 고기요리들이 제공됩니다. 또한, 풍요롭고 존경받는 신상들을 위해 대부분의 상차림에는 특별히 많은 양의 떡이 함께 올라갑니다.

1열 잔, 밥, 국, 지방, 밥, 국, 잔
2열 육전, 육적, 소적, 어적, 어전, 떡
3열 육탕, 소탕, 간장, 어탕, 북어적
4열 포, 삼색나물, 김치, 식혜
5열 대추, 밤, 배, 감, 사과, 한과 등

제사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과일과 과자도 함께 준비됩니다. 대추, 친밤, 단감, 배, 사과, 산자, 약과 등이 제사상에 올라가며, 나물류로는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가 함께 준비됩니다. 탕류로는 탕 국과 소탕, 어 탕, 육탕의 3탕이 제공되며, 백김치와 함께 식혜와 식혜 밥이 함께 차려집니다.

전류와 적류로는 각종 전류와 소고기 간적와 계적이 올라가며, 생선류로는 조기찜과 함께 북어적과 북어포가 함께 준비됩니다. 송편과 계피 고물떡, 그리고 기타 제사상에 오르는 다양한 떡들도 함께 차려집니다.

  • 제사상의 배치는 여자조상과 남자조상의 신위를 구분하여 정돈됩니다.
  • 수저는 중앙에 놓이며, 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합니다.
  • 고기는 서쪽(왼쪽), 생선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하며, 꼬리는 서쪽(왼쪽), 머리는 동쪽(오른쪽)에 놓입니다.
  • 나물은 서쪽(왼쪽), 김치는 동쪽(오른쪽)에 배치됩니다. 북어는 왼쪽에 놓이고, 식혜는 오른쪽에 위치합니다.

그 외에도 특히, 경기도의 주요 지역인 수원은 한우로 유명하여, 제사상에는 한우를 사용한 고기산적이 풍성하게 올라갑니다. 또한, 경기도에서는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 말처럼 떡을 아주 좋아하는데, 이에 따라 제사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떡이 풍성하게 차려집니다.



과일 및 과자는 대추, 친밤, 단감, 배, 사과, 산자, 약과 등이 올라가며 나물류로는 고사리와 도라지, 시금치가 올라간다. 탕류로는 탕 국과 소탕, 어 탕, 육탕의 3탕이 들어가며 백김치와 식혜, 식혜 밥이 올라간다. 전류로는 동태전, 육원전, 녹두전, 두부전, 꼬치전, 호박전, 버섯전이 올라가고 적류로는 소고기 간적와 계적이 올려 진다. 생선류로는 조기찜과 함께 북어적과 북어포를 올리고 송편과 계피 고물떡이 그리고 기타 제사상에 오르는 떡들이 올려진다.

제사를 재니는 순서 및 예절

제사를 지낼 때는 '남좌여우(男左女右)' 원칙을 따릅니다.

이는 산 사람의 상 차림과 반대로, 수저는 중앙에 놓으며 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하게 됩니다. '반서갱동(飯西羹東)' 원칙에 따라 남자 조상의 신위, 밥, 국, 술잔은 왼쪽에 놓고 여자조상은 오른쪽에 놓습니다.

  1. 남좌여우(男左女右): 남자조상의 신위, 밥, 국, 술잔은 왼쪽에 놓이고, 여자조상은 오른쪽에 배치됩니다.
  2. 반서갱동(飯西羹東): 남자조상의 음식은 서쪽(왼쪽), 여자조상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합니다.
  3. 어동육서(漁東肉西): 고기는 서쪽(왼쪽), 생선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합니다.
  4. 두동미서(頭東尾西): 꼬리는 서쪽(왼쪽), 머리는 동쪽(오른쪽)에 배치됩니다.
  5. 생동숙서(生東熟西): 나물은 서쪽(왼쪽), 김치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합니다.
  6. 좌포우혜(左脯右醯):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는 왼쪽에 놓이고, 식혜(수정과등 삭힌음식)는 오른쪽에 위치합니다.
  7. 조율이시(藻栗梨枾): 대추, 밤, 배, 감이 왼쪽부터 차례로 놓입니다.
  8. 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배치됩니다.

또한, '어동육서(漁東肉西)' 원칙에 따라 고기는 서쪽(왼쪽), 생선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하며, '두동미서(頭東尾西)' 원칙에 따라 꼬리는 서쪽(왼쪽), 머리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합니다. '생동숙서(生東熟西)' 원칙에 따라 나물은 서쪽(왼쪽), 김치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하며, '좌포우혜(左脯右醯)' 원칙에 따라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는 왼쪽에 놓고혜(수정과등 삭힌음식)는 오른쪽에 위치합니다. 또한, '조율이시(藻栗梨枾)' 원칙에 따라 진열의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서로 놓으며, '홍동백서(紅東白西)' 원칙에 따라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습니다.

이외에도, 경기도의 제사상에는 북어가 필수적으로 올라갑니다.

바다와 먼 지리적 특성을 가진 경기도에서는 다산과 풍요를 상징하는 북어를 산적으로 올리거나, 구이나 포 형태로 제사상에 차려놓습니다. 그 외에도, 경기도의 특색을 반영한 녹두전이 제사상에 올라가는 것도 특징입니다.

이처럼 경기도의 제사상은 지역의 특색과 전통을 반영한 다양한 음식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런 풍요로운 상차림을 통해 조상들에 대한 경의를 표현하고, 가족들이 함께 하여금 소중한 시간을 보낼 수 있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