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대통령 대선 선거 우리가 반드시 투표해야 하는 이유

잡가이버 2025. 4. 25.
반응형

우리는 선거철이 되면 “꼭 투표하세요”, “당신의 한 표가 세상을 바꿉니다” 같은 문구를 수도 없이 접합니다.

그러나 정작 투표 날이 되면 “뽑을 사람이 없다”, “어차피 다 똑같다”는 회의적인 말들이 주변을 메우곤 하죠. 2025년 지금, ‘윤석열 탄핵’, ‘1찍 2찍’ 같은 거친 정치적 언어가 온라인을 떠돌고, 박근혜·이명박 정부를 떠올리면 정치 자체에 염증을 느끼는 이들도 많습니다. 그러나 그렇기에 더더욱, 우리는 이번 대선에서 투표를 해야 합니다.

민주주의는 우리가 투표소에 갈 때마다 다시 시작됩니다.

2025년 대통령 대선 선거 우리가 반드시 투표해야 하는 이유

투표는 어떤 정당을 찍는 일만이 아닙니다. 더 정확히는, 내 삶의 방향을 직접 그려나가기 위한 출발점입니다. 현실 정치에 실망스러울 때일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해야만 조금이라도 더 나은 선택지가 생겨납니다. 선택은 누군가가 대신해주지 않습니다.

나와 내 주변, 나아가 이 사회 전체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수단이 바로 투표입니다.

728x90

우리는 직접 정치를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대신, 정치를 할 사람을 뽑습니다. 이른바 대의민주주의 체제입니다. 시민이 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행동은 ‘대표를 선출하는 것’입니다. 내가 뽑은 사람은 나를 대신해 정책을 만들고, 예산을 쓰고, 국제사회에서 우리를 대표합니다.

이들이 무책임하거나 무능하다면, 그 책임은 이들을 뽑은 유권자에게도 돌아옵니다. 다시 말해, 투표는 단순한 권리가 아니라 사회 전체를 움직이는 책임이기도 한 셈입니다.

한 표로 세상이 바뀌겠어?” 많은 사람들이 이런 의심을 품지만, 실제로 세계 곳곳에서는 단 한 표, 단 몇 표 차이로 대통령과 국회의원이 결정된 사례가 많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6.13 지방선거에서 충남 청양군의 한 기초의원이 단 1표 차이로 당락이 갈렸습니다. 현실이 이렇게 팽팽할수록 한 표는 숫자 이상의 힘을 갖게 됩니다. 그 한 표가 결국 지역을, 국가를, 우리의 삶을 흔들 수 있는 겁니다.

게다가 투표는 ‘혼자 하는 일’이 아닙니다. 내가 투표장에 가는 순간, 나와 정치 이야기를 나누는 지인들의 투표 참여 확률이 함께 올라갑니다.

사회적 연결망에서 나 하나의 행동이 여러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거죠. 하버드대 정치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한 사람이 투표에 참여할 경우, 그와 정치 이야기를 나누는 지인의 투표 확률은 약 15% 올라간다고 합니다. 결국 한 표는 셋, 다섯, 많게는 백 표의 효과를 낳을 수도 있는 겁니다.

이번 선거에서 누구를 뽑아야 할지 모르겠다면, 적어도 ‘누구를 뽑지 말아야 할지’는 판단할 수 있는데요 불법과 편법, 무책임과 무능에 익숙해진 정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말이죠. 우리는 기권을 통해 항의하는 대신, 더 나은 선택지를 고민하고 행동으로 옮기는 민주 시민이 되어야 합니다.

정치가 삶과 동떨어진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치의 결과는 고스란히 우리의 일상에 반영됩니다.

저출산, 경제위기, 세대 갈등, 양극화, 기후위기까지—이 모든 것은 ‘정치’의 영향을 받습니다. 지금 우리가 외면하면, 내일은 더 나빠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그 대가는 고스란히 우리 몫이 될 겁니다.

투표는 불만을 말로만 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현실에서 바꾸기 위한 실질적인 행동입니다.

이 한 표는 그저 종이에 도장을 찍는 게 아닙니다. 내가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를 드러내는 메시지입니다. 우리가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어떤 사회를 원하는지를 보여주는 신호입니다.

민주주의는 누군가의 선의로 유지되지 않습니다. 우리 각자의 작은 행동, 그 하나하나가 모여 민주주의를 지키고 확장시켜 나가는 것입니다. 우리는 그 과정을 통해 불공정한 세상을 조금 더 공정하게 만들고, 말뿐인 변화가 아닌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냅니다.

투표는 결국 우리의 미래를 위한 선택입니다. 단 하루의 수고로 4년, 혹은 그 이상의 삶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당신의 한 표가 만든 사회, 그 안에서 우리가 살아갑니다. 그러니, 이번 선거. 당신을 위해서, 그리고 우리 모두를 위해서 꼭 투표하세요.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