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료 인상 4대보험 계산방법
보건복지부에서는 지난 2017년 8월29일 기준 건강보험정책 심의 위원회를 열어 올해 2018년부터 건강보험료율을 2..04% 인상하기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국민 의료비 부담의 획기적 경감 과 고액 의료비로 인한 가계파탄 방지를 위해 이번에 새로 책정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첵의 이행을 차질없이 뒷 받침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다음 표를 통해 건강보험 추진계획 및 보험료율 인상 현황을 한눈에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18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첵 추진계획
주요내용 | 시행시기 (예정) |
치매의료비 부담 경감 | 17년 10월 |
15세 이하 아동 입원 본인부담률 완화 | |
난임 건강보험 적용 | |
18세 이하 치아홈메우기 본인부담 완화 (30% ~ 60% ->10%) | |
65세 이상 틀니 부담 경감 | 17년 11월 |
복부초음파 건강보험 적용 | 17년 12월 |
본인부담상한제 개선 | 18년 1월 |
선택진료 폐지 | |
부인과 초음파 건강보험 적용 | 18년 중 |
2.3인실 건강보험 적용 | |
간호 간 병 통합 서비스 확대 (지속 추진) | |
재난적 의료비 지원제도 시행 | |
65세 이상 임플란트 부담 경감 | |
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술 건강보험 적용 (12세 이하) | |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건강보험 적용 | |
선천성 대사이상 선별검사 건강보험 적용 | |
선천성 악안면기형의 구손비교정술 및치아교정술 건강보험 적용 | |
언어치료 건강보험 적용 | |
병적 고도비만 수술치료 건강보험 적용 | |
한방물리요법 건강보험 적용 확대 | |
MRI 검사 건강보험 적용확대 | |
신표팔수가 적용 의료기관 확대 |
연도별 건강 보험료율 현황
구분 | 2006 | 2007 | 2008 | 2009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보험료율 (인상률) | 4.48% (3.9%) | 4.77% (6.5%) | 5.08% ((6.4%) | 5.33% (4.9%) | 5.65% (5.9) | 5.80% (2.8%) | 5.89% (1.6%) | 5.99% (1.7%) | 6.07% (1.35%) | 6.12% 0.9%) | 6.12% (100%) |
연도별 건강보험료율을 보게 되면 09년과 올해 17년을 제외하면 통상적으로 매년 5~6%의 보험료율이 증가한것을 볼수 있습니다.
이번 인상의 경우 12년 이래 가장 높은 수준으로 11녀부터 건강보험의 재정이 20조에 달하는 누적 흑자를 기록한 점을 감안하여 인상율을 1%선에서 관리를 해왔습니다.
이번 이상은 앞서 말씀드린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 으로 약 3조4천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이번이상은 불가피한 부분으로 보여집니다.
이번 건강보험료율 인상으로는 직장가입자의 경우 기존 6.12%에서 6.24%로 바뀌게 되었으며 이는 평균 보혐료 10만 276원에서 10만 2242원으로 지역가입자 세대 평균으로는 8만 9933원에서 9만 1786원 수준으로 올랐습니다.
다음은 건강보험 계산기를 이용하는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강보험 계산기
기본적인 4대보험료 모의계산기입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 고용보험 / 산재보험
국민연금에 대해 모의계산을 원 급여 기준으로 계산을 합니다.
그럼 월급에 대한 연금보험료와 근로자 부담금 / 사업주 부담금이 계산됩니다.
건강보험료또한 월급여를 입력시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에 대한 총액과 근로자부담액 / 사업자 부담액이 계산됩니다.
고용보험또한 월 급여 및 근로자수를 입력하면 실업급여에 대한 부담금 및 고용안정 직능개발 부담금이 계산됩니다.
구분 | 기준액 | 보험료율 | 근로자 | 사업주 |
건강보험료 | 보수월액 | 6.24% | 3.12% | 3.12% |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 | 7.38 | 가입자 부담 50% | 사업주 부담 50% |
예) 보수월액이 1,000,000원일 때, 계산방법
건강 보험료 : 백만원(보수월액) x 6.24%(건강보험료율) = 가입자 부담금 31,200원, 사업주 부담금 31,200원
장기요양 보험료 : 62,400원 (건강보험료) x 7.38% (장기요양보험료율) = 가입자 부담금 2,000원, 사업자 부담금 2,000원
이상 2018년 건강보험료 인상 및 4대보험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건강보험 산재보험 직장인 일자리
[건강 세금/자동차 및 운전면허증] - 주정차위반 과태료 조회 및 납부방법
[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 청년디지털일자리사업 지원대상 조건 신청방법
[건강 세금/자동차 및 운전면허증] - 교통사고 2주 합의금 위자료,통원치료비,향후치료비
[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 2021년 최저임금 시급 월급 계산방법
[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 2021년 연말정산 간소화 소득공제 신고방법
[건강 세금/코로나19] - 2차 아동돌봄쿠폰 사용방법 및 기간 사용처
[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 실업급여 재취업수당 자격 및 신청방법
[건강 세금/일상 건강] - 질병 상해 실비보험금 청구 신청방법
[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 코로나19 가족돌봄휴가 가족돌봄휴직 긴급지원
[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 코로나19 권고사직 실업급여 대상?
[건강 세금/코로나19] - 코로나19 공적마스크 5부제 약국 구입방법
[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 자발적 퇴사 실업급여 받는방법
[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 알아보자
'건강 세금 > 직장인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최저시급 최저임금 한달월급 계산기 (0) | 2018.10.29 |
---|---|
현금영수증 등록 카드발급 방법 (0) | 2018.10.26 |
건강보험료 인상 4대보험 계산방법 (0) | 2018.10.25 |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신청방법 (0) | 2018.10.22 |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 수정신고 경정청구 (0) | 2018.10.22 |
2018년 공무원 호봉표 (0) | 2018.10.22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