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기준 중위소득 - 교육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생계급여 인상

노랗 2024. 8. 7.
반응형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은 한 나라의 모든 가구의 소득을 일렬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는 모든 가구의 소득 수준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로, 경제적 상태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쉽게 말해, 중위소득이란 "가운데 소득"을 의미하며, 절반의 가구가 이보다 적게 벌고 나머지 절반은 더 많이 버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만약 다섯 가구의 월 소득이 다음과 같다면

  • A 가구: 100만 원
  • B 가구: 200만 원
  • C 가구: 300만 원
  • D 가구: 400만 원
  • E 가구: 500만 원

이 경우, 중위소득은 C 가구의 300만 원입니다. 왜냐하면 C 가구가 가운데 위치하며, 이보다 적게 버는 가구(A, B)가 두 가구, 이보다 많이 버는 가구(D, E)도 두 가구 있기 때문입니다.

 

2024년 기준 중위소득 - 2023년 교육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생계급여

2024년 기준 중위소득 - 2023년 교육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생계급여 2024년 기준 중위소득이 최종적으로 13.18% 인상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2023년 대비 큰 폭으로 인상되었으며, 중위소득은 정부

jab-guyver.co.kr

2025년 기준 중위소득과 기초생활보장제도

2025년부터 기초생활보장제도의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인상되었습니다.

가구원수 2024년 2025년
1인 가구 2,228,445원 2,392,013원
2인 가구
3,682,609원 3,932,658원
3인 가구
4,714,657원 5,025,353원
4인 가구
5,729,913원 6,097,773원
5인 가구 6,695,735원 7,108,192원
6인 가구 7,618,369원 8,064,805원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609만 7,773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의 572만 9,913원에서 6.42% 인상된 금액입니다.

급여유형 가구원 수  급여기준
교육급여 (50%) 1인가구 1,196,007원
2인가구 1,966,329원
3인가구 2,512,677원
4인가구 3,048,887원
5인가구 3,554,096원
6인가구 4,032,403원
주거급여 (48%) 1인가구 1,148,166원
2인가구 1,887,676원
3인가구 2,412,169원
4인가구 2,926,931원
5인가구 3,411,932원
6인가구 3,871,106원
의료급여 (40%) 1인가구 956,805원
2인가구 1,573,063원
3인가구 2,010,141원
4인가구 2,439,109원
5인가구 2,843,277원
6인가구 3,224,921원
생계급여 (32%) 1인가구 765,444원
2인가구 1,258,450원
3인가구 1,608,113원
4인가구 1,950,487원
5인가구 2,274,621원
6인가구 2,580,737원

1인 가구 기준으로는 222만 8,445원에서 239만 2,013원으로 7.34% 인상되었으며 중위소득은 다양한 복지 혜택의 기준이 되며, 특히 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다.

0123456

생계급여

생계급여는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일 때 지급됩니다.

2025년에는 4인 가구 기준 월 195만 1,287원이 생계급여 선정 기준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거의 없는 4인 가구는 이 금액을 지원받아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가구 A(4인 가구)는 2024년에 생계급여로 월 183만 원을 받았습니다. 2025년에는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인해 월 195만 원을 수급하게 되어 생활이 한층 나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생계급여와 자동차 기준 완화

2025년부터는 소득이 적은 가구가 2,000cc 미만의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어도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현재 1,600cc 미만, 차량가액 200만 원 미만에서 완화된 기준입니다. 또한, 차량가액의 소득환산율도 일반재산 환산율(4.17%)을 적용하게 되어, 차량 소유로 인한 생계급여 탈락 사례가 줄어들 것입니다.

가구 B(4인 가구)는 소나타 1,999cc 차량(450만 원)을 소유하고 있지만, 소득이 150만 원에 불과합니다.

기존 기준에서는 차량가액이 100% 소득으로 환산되어 생계급여 수급이 불가능했지만, 2025년부터는 차량가액의 4.17%만 소득으로 환산되어(약 19만 원) 소득인정액이 169만 원으로 감소, 생계급여 수급이 가능해집니다.

의료급여와 본인부담차등제

의료급여는 중위소득의 40% 이하 가구에 지원되며, 2025년에는 4인 가구 기준 월 243만 9,109원이 선정 기준입니다.

의료급여제도도 개선되어, 연간 365회 초과한 외래진료에 대한 본인부담차등제가 도입됩니다. 이는 불필요한 의료 이용을 줄이고, 의료 서비스의 적절한 이용을 유도하기 위함입니다.

주거급여

주거급여는 임차가구에 지급되는 임차급여와 자가가구에 지급되는 주택 수선비용으로 나뉩니다. 2025년에는 임차가구의 기준임대료가 인상되어 가구원 수에 따라 1만 1,000원에서 2만 4,000원까지 상승합니다.

교육급여

교육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 가구에 지원되며, 2025년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교육활동지원비가 각각 5% 인상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교육비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기초생활보장제도는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을 기준으로 선정됩니다.

주요 변경 사항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교육급여 (중위 50%) ’24년 111만4,223 184만1,305 235만7,329 286만4,957 334만7,868 380만9,185
’25년 119만 6,007 196만 6,329 251만 2,677 304만 8,887 355만 4,096 403만 2,403
주거급여 (중위 48%) ’24년 106만9,654 176만7,652 226만3,035 275만358 321만3,953 365만6,817
’25년 114만 8,166 188만 7,676 241만 2,169 292만 6,931 341만 1,932 387만 1,106
의료급여 (중위 40%) ’24년 89만1,378 147만3,044 188만5,863 229만1,965 267만8,294 304만7,348
’25년 95만 6,805 157만 3,063 201만 141 243만 9,109 284만 3,277 322만 5,922
생계급여 (중위 32%) ’24년 71만3,102 117만8,435 150만8,690 183만3,572 214만2,635 243만7,878
             
’25년 76만 5,444 125만 8,451 160만 8,113 195만 1,287 227만 4,621 258만 738
  1. 생계급여: 중위소득의 32% 이하인 가구에 지원됩니다. 2025년에는 4인 가구 기준 월 195만 1287원 이하일 경우 지원을 받습니다.
  2.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2000cc 미만의 차량이면서 차량 가치가 500만 원 미만일 경우, 일반재산 환산율 4.17%만 소득으로 계산됩니다. 이로 인해, 기존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었던 가구들이 추가로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3.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부양의무자가 연 소득 1억 3000만 원 이하 또는 일반재산 12억 원 이하인 경우, 수급자격이 인정됩니다.
  4. 교육 및 주거급여 인상: 임대료와 교육비 지원이 늘어나며, 수급자의 생활 수준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재산 기준 예로 소득이 월 150만 원인 B씨 가구(4인 가구)가 1999cc의 중고차를 보유하고 있고 차량의 가치는 450만 원이라면, 기존에는 차량 가액이 소득으로 100% 환산되어 수급자격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2025년부터는 차량가액의 4.17%만 소득으로 계산되어 월 소득인정액이 19만 원으로 줄어듭니다. 이에 따라 B씨 가구는 월 26만 원의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중위소득은 국가의 경제 상태와 사회적 균형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2025년의 중위소득 인상과 다양한 제도 개선을 통해, 더 많은 저소득층이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구들이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